$\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마의 불쾌취 개선을 위한 당화방법별 유산균 발효 결과는 3일 발효시 엿기름과 쌀누룩 이용 당화에서 총 산도가 각각 2.23, 2.33%이었으며, 생균수는 9.14 log cfu/mL와 9.27 log cfu/mL로 높았다. 발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총 산도는 계속 높아져 3.35%까지 증가하였으나, 생균수는 3일 발효에서 가장 많았다. 아미노산 함량은 엿기름과 쌀누룩 이용 당화에서 높았고, 유리당 함량은 효소 이용 당화에서 높았으며, 그 중 glucose 함량이 가장 높았다. 천마 주성분인 gastrodin, p-HBA 등 주 성분 함량도 효소 이용 당화에서 가장 높았다. 이취성분인 p-cresol 함량이 엿기름 이용 당화에서 낮아 관능평가 결과에서도 엿기름을 이용하여 당화한 유산균 발효천마가 가장 좋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strodia elata Blume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after saccharifying by 3 methods including enzyme, malt, and rice-nuruk. The lactic acid bacteria (LAB), Pediococcus inopinatus BK-3, isolated from kimchi could reduce the unpleasan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한편, 유산균은 오래전부터 발효 유제품을 중심으로 인류 생활에 광범위하게 활용하여 왔으며(Kim 등 2009), 최근에는 Lactobacillus, Bifidobacterium, Lactococcus와 같은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발효물의 면역기능 강화, 장 기능 개선, 생리조절 작용 및 새로운 항균물질의 생성 등 여러 유익한 효능이 알려져, 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Ha 등 2010). 본 연구는 천마 유산균 발효에 적합한 당화방법을 선발하여 천마의 기호도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마의 맛과 효능은? 3%를 차지하고 있다(MAFRA, 2014). 천마의 맛은 맵고 독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연구에서 항고혈압, 항당뇨, 항염증, 항산화 효능 및 세포의 DNA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보고되었다(Paik 등 1995). 본초강목 등 고 문헌에서 천마는 고혈압, 중풍, 두통, 신경성 질환, 당뇨병, 간질, 어지럼증, 스트레스, 피로 등의 증상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uh 등 1998; Huang ZL 1985).
천마란? 천마(Gastrodia elata Blume)는 다년생 난과 식물로 엽록소가 없어서 영양 물질의 광합성이 불가능하고, 뿌리가 없어 독자적인 생존이 불가능하여 뽕나무 버섯균(Armillaria sp.)과 땅속 괴경을 형성하며, 영양을 공급받아 생장하는 기생식물이다(Lee YM 1990; Sin KG 1980). 천마는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천마 재배면적은 전국 44 ha, 생산량은 265톤으로 이 중 전북지역은 152톤으로 전국 생산량의 57.
천마의 불쾌한 맛과 냄새를 저감시키고자 하는 연구의 종류는? 최근 천마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한 발효 연구와 더불어 불쾌한 맛과 냄새를 저감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건조 방법에 따른 천마의 향기 패턴분석(Lee 등 2002), 초음파 처리 및 효소반응에 의한 천마의 불쾌취 감소 전처리 방법(Kim 등 2004)과 젖산 처리에 의한 천마의 불쾌취 감소(Chang & Ahn 2011) 연구가 있으며, 발효에 의한 생리활성 연구로는 건천마와 발효천마 추출물의 항노화 활성과 신경성장인자 유도 효과 비교(Choi 등 2013), 유산균 발효천마의 수면유도 효과 연구(Lee 등 2013), 발효천마의 기능성 물질 함량 변화 및 항산화 활성(Kim 등 2014), 흑천마 및 발효천마 제조에 따른 기능성 물질 gastrodin과 phydroxybenzyalcohol의 성분 변화(Kim HY 2014) 연구가 있다. 한편, 유산균은 오래전부터 발효 유제품을 중심으로 인류 생활에 광범위하게 활용하여 왔으며(Kim 등 2009), 최근에는 Lactobacillus, Bifidobacterium, Lactococcus와 같은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발효물의 면역기능 강화, 장 기능 개선, 생리조절 작용 및 새로운 항균물질의 생성 등 여러 유익한 효능이 알려져, 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Ha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CS, Yuh CS, Bang IS.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milk containing mulberry leaf extract. Korean J Food & Nutr 22:272-278 

  2. Bang BH, Park HH. 2000. Preparation of yogurt added with green tea and mugwort te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854-859 

  3. Chang YN, Ahn BY. 2011. Decrease in intrinsic objectionable odors and change of gastrodin contents in lactic acid treated Gastrodia elate Blume. J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5056-5062 

  4. Choi JH, Kim JH, Jung JY, Suh SG. 2013. Comparison of nerve growth factor induction and anti-aging activity using dried gastrodia and fermented gastrodia extracts. Kor J Hort Sci Technol 31:380-387 

  5. Ha JH, Jeong MH, Seo YC, Yong CW, Kim JS, Kim HH, Ahn JH, Lee HY. 2010.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bark of Berberis koreana Palibin by lactic acid fermentation.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421-428 

  6. Hayashi J, Sekine T, Deguchi S, Lin Q, Horie S, Tsuchiya S, Yano S, Watanabe K, Ikegami F. 2002. Phenolic compounds from Gastrodia rhizome and relaxant effects of related compounds on isolated smooth muscle preparation. Phytochemistry 59:513-519 

  7. Huang JH. 1989. Comparison studies in pharmaceutical properties of injection Gastrodia elata, gastrodin-free fraction and gastrodin. Acta Academiae Medicine Sinicae 11:147-152 

  8. Huang ZL 1985. Recent developments in pharmaceutical study and clinical application of Gastrodia elata in China. Chung-Hsi-I-Chihe-Ho-Tsa-Chih 5:251-258 

  9. Huh K, Kim JS, Kwon TK, Kim JA, Yoag CC, Ha JH, Lee DU. 1998. The mechanism of anticonvulsive effect of the rhizoma of Gastrodia elata in pentylenetetrazole treated rats. J Kor Pharm Sci 42:330-335 

  10. Kang TS, Kong YJ, Kwon HJ, Choi BK, Hong JG, Park YK. 2002. A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biological activities of a hot water extracts of Gastrodia elata.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30:136-141 

  11. Kim HJ, Kwak IS, Lee BS, Lee HC, Lee EM, Lim JY, Yun YS, Chun BW. 2004. Methods of pretreatment for decrease of discomfortable odor of Gastrodia elata Blume. J Engineering Research 35:135-140 

  12. Kim HT, Park EJ. 2013. Change of major functional components of Gastrodia elata Blume with cultivation conditions and harvest times. Korean J Med Crop Sci 21:282-288 

  13. Kim HY. 2014. Change of functional substances, gastrodin and p-hydroxybenzyl alcohol in the manufacturing of black Gastrodia elata Blume and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 Korea 

  14. Kim JH, Lee WJ, Cho YW, Kim KW. 2009. Storage-life and palatability extension of Betula platyphylla sap using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87-794 

  15. Kim JM, Moon YS, Yoon KY, Suh SG. 2010. Quality properties and preference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Kor J Hor Sci Technol 28:507-514 

  16. Kim JS, Lee JH, Chang YE, Kim GC, Kim KM. 2013.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mash by mixing ratios of rice and rice koj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2035-2041 

  17. Kim MH, Kim JG, Choi JH. 2014.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s in major functional components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 Food & Nutr 27:684-691 

  18. Lee BY, Yang YM, Han CK. 2002. Analysis of the aroma pattern of Gastrodia rhizoma by the drying con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3-17 

  19. Lee DH, Hong JH. 2016.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mulberry by lactic acid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202-208 

  20. Lee JW, Kim YK. 1997.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in the rhizoma of Gastrodia elata.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40:455-458 

  21. Lee JY, Jang YW, Kang HS, Moon H, Sim SS, Kim CJ. 2006. Anti-inflammatory 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Gastrodia elata root. Arch Pharm Res 29:849-858 

  22. Lee KH, Rhee KH, Kim BS, Choi YH, Kim CH. 2013. Sleep inducing effect of Gastrodia elata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Kor J Pharmacogn 44:281-285 

  23. Lee YM. 1990. In Oriental Medicine Dictionary. Sammundang. Seoul. p.814 

  24. Lee YR, Kim KY, Lee SH, Kim MY, Park HJ, Jeong JS. 2012.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Humulus japonicus. Korean J Food & Nutr 25:357-361 

  25. Lin JH, Liu YC, Hau JP, Wen KC. 1996. Parisiens B and C from of Gastrodia elata. Phytochemistry 42:549-551 

  26.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4. Statistics Yearbook 

  27. Paik US, Song JK, Yoon CH, Chung KS, Yun-Choi HS. 1995. Anti-platelet and anti-thrombotic effects of Gastrodia elata.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6:385-389 

  28. Sin KG. 1980. In Sinssi Herbology. Sumunsa. pp.288-290 

  29. Sung JM, Choi HY. 2014. Effect of mulberry powder 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690-697 

  30. Taniguchi H, Yosioka I, Yamasaki K, Kim IH. 1981.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Gastrodia elata Blume. Chem Pharm Bull 29:55-62 

  31. Yu TJ, Rhi JW. 1982. Studies on preparation of lactic acid fermented beverages from a malt syrup. Korean J Food Sci Technol 14:57-62 

  32. Yun-Choi HS, Pyo MK, Park KM. 1998. Isolation of 3-O-(4'-hydroxybenzyl)- ${\beta}$ -sitosteroland 4-[4'-(4"-hydroxybenzyloxy)benzyloxy] benzyl methyl ether)] from fresh tubers of Gastrodia elata. Arch Pharm Res 21:357-360 

  33. Zhou J, Yang YB, Yang CR. 1979. Chemical study on gastrodin and related compounds,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chemical constitutes of Gastrodia elata B1. Acta Chem Sinica (in Chinese) 37:183-1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