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을 위한 질 향상과 안전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mpetency Based Quality Improvement and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5, 2016년, pp.559 - 571  

박아영 (광주대학교 간호학과) ,  김계하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ompetency based safety and quality improving education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of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sixt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입 부분에서는 수업 내용을 질 향상과 안전 핵심역량과 연결을 지어 설명하였다. 또한 동영상, 사례, 사진을 이용하여 문제 상황 인식을 돕고,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고자 하였다. 전개 부분에서는 강의를 통해 학습 목표와 관련된 자료를 제시하고, 꼭 알아야 할 핵심적인 원리나 개념 등을 안내하여 학습자가 학습목표에 명시된 역량을 획득하도록 도왔다.
  • 마무리는 팀 활동을 통해 실제 의료기관의 안전 전략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진 후, 안전 문화를 위한 간호사의 역할과 의료 오류 예방을 위해 스스로 어떠한 노력을 할 수 있는지 의견을 나누도록 활동을 구성하였다. 모듈 3 (안전관리 지침)은 도입에서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이 제시한국제 환자안전목표와 관련된 안전보장활동 동영상을 통해 주제에 대한 관심과 학습동기를 유발하고자 하였다. 전개에서는 환자확인, 의사소통(구두/전화처방), 고위험약물관리, Timeout, 감염관리 등에 대한 강의 및 역할극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 두 번째 설계단계에서는 먼저 학습주제 및 학습목표를 설정하였다. 본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이 미래에 그들이 일할 곳에서 지속적인 질 향상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역량을 증진 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의 주제는 역량 분석을 통해 도출한 환자안전 개념, 오류 발생 원인과 시스템적 사고, 안전관리지침, 위험예지훈련, 오류보고와 위험분석도구, 진실 말하기, 팀 협동과 의사소통, 환자중심간호, 근거기반실무, 질 향상, 정보가 포함되었고, 학습자가 궁극적으로 함양해야 할 역량으로부터 학습목표를 진술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질 향상과 안전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기술 및 질 향상과 안전 역량에 대한 인식을 평가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 · 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위한 안전과 질 향상 역량강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질 향상과 안전 역량강화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기술 및 질 향상과 안전 역량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인 것으로 밝혀졌다.
  • 현재까지 간호대학생의 질 향상과 안전 역량에 대한 연구는 국외의 경우에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위한 질 향상과 안전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 다양한 교육방법을 사용해 포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현재까지 간호대학생을 위한 질 향상과 안전 역량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아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양한 학습방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근거로 하여 간호교육영역에서 질 향상과 안전 역량에 대한 연구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위한 질 향상과 안전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질 향상 역량과 안전 역량을 강화하여 의료 시스템 향상을 이끌 수 있는 전문가로 양성하기 위해 학생 수준에 맞는 전문적이고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위한 질 향상과 안전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세 번째 가설인 ‘질 향상과 안전 역량강화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질 향상과 안전역량에 대한 인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가설 3. 질 향상과 안전 역량강화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질 향상과 안전역량 인식점수가 높을 것이다.
  • • 가설 2. 질 향상과 안전 역량강화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환자안전 기술점수가 높을 것이다.
  • • 가설 1. 질 향상과 안전 역량강화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환자안전 지식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의 질이란 무엇인가? 이에 따라 오늘날 주요 선진국에서는 의료기관의 질 향상과 안전이 국가적 핵심화두로 떠올라 다각적인 전략들을 실천해가고 있다. 의료의 질이란 개인과 인구집단에 제공되는 보건의료 서비스가 바람직한 건강 결과의 가능성을 높이고, 현재의 전문적 지식과 부합하는 정도를 말하며[2], 안전은 불필요한 위해의 위험을 허용되는 최소한으로 낮추는 것을 말한다[3]. 안전은 의료의 질을 나타내는 핵심 영역인 동시에 질을 논하기 전에 기본적으로 확보되어야 할 환자의 권리이다.
비전문적 기술이란 무엇인가? 둘째, 팀워크와 협력은 보건의료 전문가로 구성된 팀 안에서 효과적으로 기능하고, 열린 의사소통을 하며, 상호 존중, 그리고 환자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해 의사결정을 공유하는 것을 말한다[7]. QSEN은 낮은 수준의 안전문화, 의사소통, 팀워크가 의료오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이해함에 따라 보건의료인의 임상적 오류를 줄이고 전문직 간 조직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TeamSTEPPS (Team Strategies and Tools to Enhance Performance and Patient Safety) 와 같은 비전문적 기술(non-technical skill) 교육 도입을 강조하는데 비전문적 기술(non-technical skill)이란 기술적 술기를 보완하고 안전과 효과적인 업무 수행에 기여할 수 있는 인지적, 사회적, 개인적 자원으로서 리더십, 상황인식, 상호지지, 의사소통 등을 말한다[9].
과거 미국의학원에서 의료의 질 개선을 위해 제안한 방안은 무엇인가? 과거 미국의학원(Institute of Medicine, IOM)에서는 간호사와 의사를 비롯한 모든 의료인이 최고 수준의 질과 가장 안전한 의료를 제공할 만큼 충분히 준비되지 않은 현실을 지적하며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제언하였다[5]. 그 개선방안이란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기술 교육을 통한 환자중심의료, 전문 분야 간 팀워크 훈련, 근거기반실무와 질 향상 방법 적용, 그리고 정보학의 이용 등을 학생 때부터 핵심으로 교육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간호사는 보건 의료 인력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끊임없이 의료 질 문제에 맞서는 중요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들을 준비시키는 것은 중요하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im YM, Kil YK, Min J, Jung YY, Choi EK. Safety care.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09. 

  2. Institute of Medicine. Medicare: a strategy for quality assurance, Volume I.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y Press; 1990. 

  3. Kim JE, Lee JH, Lee SY. A Korean version of the WHO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patient safety: A validity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2009;15(4):381-92. 

  4. Park HU. Legal aspects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2009;15(1):27-36. 

  5. Institute of Medicin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bridge to Quality.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03. 

  6. Institute of Medicine. The future of nursing: Leading change, advancing health.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10. 

  7. Cronenwett L, Sherwood G, Barnsteiner J, Disch J, Johnson J, Mitchell P, et al.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Nursing Outlook. 2007;55(3):122-31. 

  8. Chenot TM, Daniel LG. Frameworks for patient safety in the nursing curriculum.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0;49(10):559-68. 

  9. Sherwood G, Barnsteiner J. Quality and Safety in Nursing: A competency based approach to improving outcomes. New Jersey: Wiley Publications.; 2012. 

  10.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Institute. Quality and Safety Competencies [Internet]. Cleveland: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Institute; 2013 [cited 2013 June 27]. Available from: http://qsen.org/about-qsen/ 

  11. Djukic M, Kovner CT, Brewer CS, Fatehi FK, Bernstein I, Aidarus N. Improvements in educational preparedness for quality and safety. Journal of Nursing Regulation. 2013;4(2):15-21. 

  12. Manning ML, Frisby AJ. Multimethod teaching strategies to integrate selected QSEN competencies in a doctor of nursing practice distance education program. Nursing Outlook. 2011;59(3):166-73. 

  13. Park YM, Kim JA, Ko JK, Chung MS, Bang KS, Choe MA, et al. An identification study on core nursing competenc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4):663-74.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4.663 

  14. Gantt LT, Webb-Corbett R. Using simulation to teach patient safety behaviors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0;49(1):48-51. 

  15. Piscotty R, Grobbel C, Tzeng HM. Integrating quality and safety competencies into undergraduate nursing using studentdesigned simul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1;50(8):429-36.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10429-04 

  16. Murray ME, Douglas S, Girdley D, Jarzemsky P. Teaching quality improvement.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0;49(8):466-9.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00430-09 

  17. Kim YM, Kim SY, Kim MY, Kim JH, Lee SK, Jang MK. Patient safety program and safety cult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4):455-65. 

  18. Kim MS, Kim Y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atient safety reporting promoting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1):284-95.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284 

  19. Oh J, Shin HW, Jennie C. QSEN competencies in pre-licensure nursing education and the application to cinenur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18(3):474-85.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3.474 

  20.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Korean standard dictionary [Internet]. Seoul: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8 [cited 2012 November 7]. Available from: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21. Schnall R, Stone P, Currie L, Desjardins K, John RM, Bakken S. Development of a self-report instrument to measure patient safety attitudes, skills, and knowledg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8;40(4):391-4. 

  22. Korean Academy of Nursing. The great encyclopedia of nursing science[Internet]. Seoul;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6 [cited 2012 November 7]. Available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86003&cid50367&categoryId50367 

  23. Miller CL, LaFramboise L. Student learning outcomes after integration of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competencies into a senior-level critical care cours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9;48(12):678-85. http://dx.doi.org/10.3928/01484834-20091113-07 

  24. McKeo LM, Norris T, Cardell B, Britt T. Developing patientcentered care competencies among prelicensure nursing students using simul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9;48 (12):711-5. http://dx.doi.org/10.3928/01484834-20091113-06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uidelines on hand hygiene in health care: A summary [Internet]. Geneva: WHO Press [cited 2012 March 5]. Available from: http://www.who.int/gpsc/5may/tools/who_guidelines-handhygiene_summary.pdf 

  26. Myung SJ, Shin JS, Kim JH, Roh HR, Kim Y, Kim J, et al. The patient safety curriculum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as a first step toward improving patient safety. Journal of Surgical Education. 2012;69(5):659-64. http://dx.doi.org/10.1016/j.jsurg.2012.04.012 

  27. Agency for Health Research and Quality. TeamSTEPPS. [Internet]. Agency for Health Research and Quality[cited 2012 April 20].Available from: http://www.ahrq.gov/professionals/education/curriculumtools/teamstepps/index.html 

  28. Roh HR. Development of competencies for managing and preventing surgical errors with the patient safety education during surgical clerkship.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29. Abdi Z, Delgoshaei B, Ravaghi H, Heyrani A. Changing medical student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bout patient safety. HealthMED. 2012;6(9):3129-35. 

  30. Halbach JL, Sullivan LL. Teaching medical students about medical errors and patient safety: evaluation of a required curriculum. Academy of Medicine. 2005;80(6):600-6. 

  31. Park SJ.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ersity; 2008. 

  32. Choi JH, Lee KM, Lee MA.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0;17(1):64-72. 

  33. Singh R, Naughton B, Taylor JS, Koenigsberg MR, Anderson DR, McCausland LL, et al. A comprehensive collaborative patient safety residency curriculum to address the ACGME core competencies. Medical Education. 2005;39(1):1195-2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