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평족의 진단
Diagnosis of Flatfoot Deformity 원문보기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v.20 no.1, 2016년, pp.1 - 5  

이태훈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최서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김학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정형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atfoot is defined as loss of medial arch with hindfoot valgus, but normal condition is obscure due to wide individual variance. Loss or decreasing of medial longitudinal arch with radiographic image is clinically diagnosed as flatfoot. Flatfoot without symptoms is not an indication for treatm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전후면상에서는 거주상골 피복각(정상 범위 0∼4도), 거골제 1중족골간각(정상 범위 0∼20도), 거종각(정상 범위 13∼25도) 을 측정하며(Fig. 2), 측면상에서는 종골 피치각(정상 범위 20∼25도), 거골-제 1중족골간각(정상 범위 0∼4도), 거종각(정상 범위 25∼45도), 거골 수평면각(정상 범위 21∼35도) 및 내측 설상골까지 거리(정상 범위 15∼20 mm)를 측정한다(Fig. 3).
  • 편평족은 발바닥에 종아치를 볼 수 없는 평평한 상태의 발을 말한다. 종아치가 조금 낮아진 정도를 경도, 발바닥에 종아치가 보이지만 체중을 실어 디디면 종아치가 없어지는 정도를 중등도, 딛는 것과 관계없이 아치가 없고 발의 안쪽이 볼록하게 나와 있는 정도를 중증으로 분류한다. 발가락 끝으로 서거나 엄지 발가락을 뒤로 젖히면 아치가 살아나는 유형은 유연성(flexible type)이고, 그렇지 않으면 강직성(rigid type)으로 분류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평족이란 무엇인가? 편평족은 후족부가 외반되고 내측 종아치(longitudinal arch)가 소실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나, 개인의 편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정상의 기준을 명확히 제시할 수는 없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내측 종아치가 감소 또는 소실되고 영상의학적으로 감소된 종아치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편평족으로 진단할 수 있다.
편평족의 원인 및 병적 기전은 무엇인가? 편평족의 원인 및 병적 기전으로, 소아에서는 전반적인 관절 과 유연성과 연관된 유연성 편평족 및 강직성으로 흔히 보게 되는 족근골 결합이 있으며, 성인형으로는 대표적으로 중년 여성에 잘 발생하는 후경골건 기능장애가 있고, 그 외 류마티스 관절염, Charcot 신경병증, 외상이나 종양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1,2,8-10)
후천적 또는 성인형 편평족은 어떤 증상을 유발하는가? 후천적 또는 성인형 편평족의 원인은 소아기 때부터 잔존하던 편평족이 유지된 경우, 족근골 결합증, 후경골건 부전증(posterior tibial tendon dysfunction, PTTD), 외상후성 관절염, Charcot 관절증과 같은 신경병성 관절 및 신경근육성 질환 등이 있다. 후경골건 부전증이 가장 대표적인 질환으로 후족부가 외반된 상태로 보행이 지속되면 족저부 근막의 지나친 긴장으로 근육피로 증세가 나타나게 되고 후경골건의 지속적인 과부하로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게된다.11,12) 외반 변형이 되면서 아킬레스건이 외측으로 당겨지게 되어 변형이 심해지고 장기적으로 구축이 일어나게 된다. 진행하면 외측 거종골 간의 충돌과 비골건의 마멸이 일어나고 전족부의 회외 변형과 무지 외반증이 유발될 수 있다.5,9-13) 부주상골 증후군(accessory navicular syndrome)의 경우는 족부 내측의 돌출과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편평족의 발생과의 연관성은 없으나14) 해부학적으로 후경골건의 부착 부위가 부주상골에 위치하여 후경골건의 기능 약화에 의한 족부의 회외 변형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 한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Rose GK, Welton EA, Marshall T. The diagnosis of flat foot in the child. J Bone Joint Surg Br. 1985;67:71-8. 

  2. Harris EJ, Vanore JV, Thomas JL, Kravitz SR, Mendelson SA, Mendicino RW,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Pediatric Flatfoot Panel of the American College of Foot and Ankle Surgeons. Diagnosis and treatment of pediatric flatfoot. J Foot Ankle Surg. 2004;43:341-73. 

  3. Staheli LT, Chew DE, Corbett M. The longitudinal arch. A survey of eight hundred and eighty-two feet in normal children and adults. J Bone Joint Surg Am. 1987;69:426-8. 

  4. Anderson M, Blais MM, Green WT. Lengths of the growing foot. J Bone Joint Surg Am. 1956;38:998-1000. 

  5. Johnson KA, Strom DE. Tibialis posterior tendon dysfunction. Clin Orthop Relat Res. 1989;(239):196-206. 

  6. Dyal CM, Feder J, Deland JT, Thompson FM. Pes planus in patients with posterior tibial tendon insufficiency: asymptomatic versus symptomatic foot. Foot Ankle Int. 1997;18:85-8. 

  7. Ferciot CF. The etiology of developmental flatfoot. Clin Orthop Relat Res. 1972;85:7-10. 

  8. Miller M, Dobbs MB. Congenital vertical talus: etiology and management. J Am Acad Orthop Surg. 2015;23:604-11. 

  9. Lee MS, Vanore JV, Thomas JL, Catanzariti AR, Kogler G, Kravitz SR,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dult Flatfoot Panel. Diagnosis and treatment of adult flatfoot. J Foot Ankle Surg. 2005;44:78-113. 

  10. Kim SJ, Lee BG, Sung IH. Adult flatfoot. J Korean Med Assoc. 2014;57:243-52. 

  11. Sung KS, Yu IS. Acquired adult flatfoot: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nonoperative treatment. J Korean Foot Ankle Soc. 2014;18:87-92. 

  12. Ahn CY, Ahn JH, Kim MS. Operative treatment of acquired adult flatfoot. J Korean Foot Ankle Soc. 2014;18:93-9. 

  13. Durrant B, Chockalingam N, Morriss-Roberts C. Assessment and diagnosis of posterior tibial tendon dysfunction: do we share the same opinions and beliefs? J Am Podiatr Med Assoc. Published online July 22, 2015; doi: 10.7547/14-122.1. 

  14. Sullivan JA, Miller WA. The relationship of the accessory navicular to the development of the flat foot. Clin Orthop Relat Res. 1979;(144):233-7. 

  15. Kiter E, Gunal I, Karatosun V, Korman 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bialis posterior tendon and the accessory navicular. Ann Anat. 2000;182:65-8. 

  16. Arnoldner MA, Gruber M, Syre S, Kristen KH, Trnka HJ, Kainberger F, Bodner G. Imaging of posterior tibial tendon dysfunction: comparison of high-resolution ultrasound and 3T MRI. Eur J Radiol. 2015;84:1777-81. 

  17. Chadha H, Pomeroy G, Manoli A 2nd. Radiologic signs of unilateral pes planus. Foot Ankle Int. 1997;18:603-4. 

  18. Hsu TC, Wang CL, Wang TG, Chiang IP, Hsieh FJ.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of the posterior tibial tendon. Foot Ankle Int. 1997;18:34-8. 

  19. Niki H, Ching RP, Kiser P, Sangeorzan BJ. The effect of posterior tibial tendon dysfunction on hindfoot kinematics. Foot Ankle Int. 2001;22:292-300. 

  20. Park H, Hwang JH, Seo JO, Kim HW.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ssory navicular and flat foot: a radiologic study. J Pediatr Orthop. 2015;35:739-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