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교 학생들의 학습성찰이 그들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학습 내용과 경험에 대한 성찰 활동은 컴퓨터과학 분야의 학습자들이 겪을 수 있는 학습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공적인 학습성과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3개의 컴퓨터교육 전공 수업에 수강한 대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에 수업 내용에 대한 성찰 활동을 6번 이상 수행하였다. 그리고 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과제가치, 학습참여, 학업성취도를 학기 시작 시기와 종료 시기에 측정하였다. 또한 성찰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의견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심층적인 성찰 활동은 학생들의 인지적, 행동적, 감성적 학습참여, 그리고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과제가치를 포함한 학습동기 증진을 위한 성찰 전략의 개발, 협력적 성찰 기회 제공 등이 후속 연구로 제안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flection on learning outcomes in higher education. Undergraduates enrolled in 3 courses about computer education were involved in the study. They wrote reflective notes with guided questions over six times throughout a semester, and then their task val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ewey는 반성적 사고를 어떻게 설명하였는가? Dewey는 “어떤 믿음이나 지식을 만드는 근거와 그로 인한 미래의 결과를 고려하여 그 믿음 혹은 가정된 지식에 대한 능동적이고 지속적이며 사려 깊은 고려” (p. 9)를 반성적 사고로 설명하였다 [13].
성찰지원 전략에 관련된 연구들이 측정하는 학습 성과는 크게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이 구별될 수 있는데, 인지적 영역의 학습 성과에는 무엇이 포함되는가? 성찰지원 전략에 관련된 연구들이 측정하는 학습 성과는 크게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인지적 영역의 학습 성과에는 주로 학업성취도 증진, 복잡한 문제 해결, 과제 수행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Koong과 동료들 (2014)은 컴퓨터응용 프로그램에 대하여 공부하는 일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찰학습 전략의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였다[22].
학습자가 보여주는 학습참여는 어떤 속성들을 포함하는가? 한편, 학습성찰의 긍정적인 성과의 하나로 학습자의 학습참여(learning engagement)를 분석하고자 한다. 학습자가 보여주는 학습참여는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는데, 대체로 열정과 노력, 지속성, 적극적인 행동 등의 속성을 포함한다 [29][30][31][32]. 최근에는 학업성취도에 국한하여 학습성과를 평가하는 한계를 벗어나기 위하여, 학습자들의 학습참여를 중요한 학습성과의 하나로 간주하고 있다[3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Boud, D., Keogh, R., & Walker, D. (1985). What is reflection in learning? In D. Boud, R. Keogh, D. Walker (Eds.), Reflection: Turning experience into learning (pp. 7-17). London: Kogan Page. 

  2. Dewey, J. (1980). Democracy and Education. In J. A. Boydston (ed.), John Dewey: The middle works, vol. 9, Carbondale, IL: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3.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NY: Basic Books. 

  4. Moore-Russo, D. A., & Wilsey, J. N. (2014). Delving into the meaning of productive reflection: A study of future teachers' reflections on representations of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37, 76-90. 

  5. Nesbit, P. L. (2012). The role of self-reflection, emotional management of feedback, and self-regulation processes in self-directed leadership develop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11(2), 203-226. 

  6. Hsieh, S.-W., Jang, Y.-R., Hwang, G.-J., Chen, N.-S. (2011). Eff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styles on students' reflection levels for ubiquitous learning. Computers & Education, 57, 1194-1201. 

  7. Kakavouli, S., & Metaxas, P. T. (2012). Also your job to learn!: Helping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learning progress. Journal of Computing Sciences in College, 27(6), 113-120. 

  8. Ben-Ari, M. (2001). Constructivism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Computers in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ing, 20(1), 45-74. 

  9. Scott, M. J., & Ghinea, G. (2013). Educating programmers: A reflection on barriers to deliberate practice. Proceeding of 2nd HEA Conf. on Learning and Teaching in STEM Disciplines, Birmingham, UK, 2013, pp. 028P. 

  10. Sustelo, F., & Guerreiro, P. (2010). Analyzing self-reflection by computer science students to identify bad study habits. Paper presented at IEEE EDUCON Education Engineering 2010, Madrid, SPAIN. Retrieved from https://goo.gl/1sgHbd 

  11. 유병민?전종철?박혜진 (2013). 대학 수업에서 개인적 성찰과 협력적 성찰이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4), 837-859. 

  12. Rodgers, C. (2002). Defining reflection: Another look at John Dewey and reflective thinking. Teachers College Record, 104(4), 842-866. 

  13. Dewey, J. (1933). How we think. In J. A. Boydston (ed.), John Dewey: The later works, vol. 8, Carbondale, IL: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4. 허희옥 (2003). 사이버공간에서의 '교육적 경험'을 위한 학습 환경 설계. 교육공학연구, 19(1), 197-224. 

  15. Tracey, M. W., Hutchinson, A., & Grzebyk, T. Q. (2014). Instructional designers as reflective practitioners: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y through reflect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62, 315-334. 

  16. Balgopal, M. M., & Montplaisir, L. M. (2011). Meaning making: What reflective essays reveal about biology students' conceptions about natural selection. Instructional Science, 39, 137-169. 

  17. Lew, M. D. N., & Schmidt, H. G. (2011). Self-reflec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is there a relationship?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16, 529-545. 

  18. Kori, K., Maeots, M., & Pedaste, M. (2014). Guided reflection to support quality of reflection and inquiry in Web-based learning.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12, 242-251. 

  19. Yilmaz, F. G. K., & Keser, H. (2016). The impact of reflective thinking activities in e-learning: A critical review of the empirical research. Computers & Education, 95, 163-173. 

  20. Chang, C.-C., & Chou, P.-N. (2011). Effects of reflection category and reflection quality on learning outcomes during web-based portfolio assessment process: A case study of high school students in computer application course. The Turkish Onlin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0(3), 101-114. 

  21. 박동국?박성훈?김철신 (2015). Self-Reflection Note를 이용한 교수학습법. 사회과학연구, 54(1), 115-142. 

  22. Koong, C.-S., Yang, T.-I., Wu, C.-C., Li, H.-T., & Tseng, C.-C. (2014). An investigation into effectiveness of different reflective learning strategies for learning operational software. Computers and Education, 72, 167-186. 

  23. 김지선?김영식 (2015). 성찰일지를 적용한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성찰일지 작성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원교육, 31(2), 115-132. 

  24. Travers, C. J., Morisano, D., Locke, E. A. (2015). Self-reflection, growth goals, and academic outcomes: A qualitative study.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5, 224-241. 

  25. 이소은 (2013). 과제가치, 조직지원이 수입차 영업직원의 교육훈련 만족도와 수행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Hulleman, C. S., & Durik, A. M. (2008). Task values, achievement goals, and interest: An integrative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0(2), 398-416. 

  27. Wigfield, A., & Cambria, J. (2010). Students' achievement values, goal orientations, and interest: Definitions, development, and relations to achievement outcomes. Developmental Review, 30, 1-35. 

  28. 한순미 (2004). 학습동기 변인들과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8(1), 329-350. 

  29. Fredricks, J. A., Filsecker, M., & Lawson, M. A. (2016). Student engagement, context, and adjustment: Addressing definitional, measurement, and methodological issues. Learning and Instruction, 43, 1-4. 

  30. Niemi, H. & Multisilta, J. (2016). Digital storytelling promoting twenty-first century skills and student engagement. Technology, Pedagogy and Education, 25(4), 451-468. 

  31. 심화영?송해덕 (2013).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목표지향성유형에 따른 동기지원전략이 학습참여와 지식구성단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공학연구, 30(4), 777-803. 

  32. 유지원?강명희 (2011),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요인, 심리적 욕구 요인, 동기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학연구, 49(4), 55-85. 

  33. Allan, E., & Driscoll, D. L. (2014). The three-fold benefit of reflective writing: Improving program assessment, student learning, and faculty professional development. Assessing Writing, 21, 37-55. 

  34. Fredricks, J. A., Blumenfeld, P. C., & Paris, A. H. (2004). School engagement: Potential of the concept, state of the evidenc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4(1), 59-109. 

  35. Learning Sciences International (2012). How to: Use student reflection on learning. Retrieved from http://www.learningsciences.com/resources/ 

  36. Edutopia (2015). The 40 reflection questions. Retrieved from http://goo.gl/0mLkYT 

  37. He, Yi-Chen (2009). Self-determination among adult Chinese english language learners: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autonomy support, intrinsic motivation, and engag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A, US. 

  38. Kvale, S., & Brinkmann, S. (2008). Interviews: Learning the craft of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ing. Thousand Oaks, CA: SAGE. 

  39.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Inc. 

  40. Durik, A. M., & Harackiewicz, J. M. (2007). Different strokes for different folks: How individual interest moderates the effects of situational factors on task interes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3), 597-610. 

  41. McKay, F. H., & Dunn, M. (2015). Student reflections in a first year public health and health promotion unit. Reflective Practice: International and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16(2), 242-253. 

  42. 임철일?김성욱?최소영?김선희 (2013). 문화다양성 교육을 위한 지속적 성찰 중심 교수설계모형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9(4), 751-782. 

  43. 배상훈?강민수?홍지인 (2015). 한국 대학생의 학습참여 진단을 위한 미국 NSSE 모델 도입 및 타당화. 아시아교육연구, 16(4), 77-104. 

  44. 하영자 (2010). 온라인 학습자의 과제가치와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리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3), 577-598. 

  45. 주영주?정애경?설현남?이상회 (2012). 사이버대학교 공학계열 학생들의 숙달접근목표지향성, 과제가치,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학업 만족도와 학업성취도 예측력 규명. 전자공학회논문지, 49(2), 65-74. 

  46. Shallcross, D. C. (2016). Concept maps for evaluating learning of sustainable development. Journal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10(1), 160-177. 

  47. Besterfield-Sacre, M., Gerchak, J., Lyons, M., Shuman, L. J., & Wolfe, H. (2004). Scoring concept maps: An integrated rubric for assessing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3(2), 105-115. 

  48. 박소연?김한별 (2012). 대학생의 저널쓰기를 통한 자아성찰 과정에서의 자아정체감 형성 경험 분석. 교양교육연구, 6(1), 153-1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