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돌봄수준의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Caregiving by Caregivers for Elders with Dementia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7 no.3, 2016년, pp.193 - 201  

강찬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  김정순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정정희 (대동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caregiving by caregiver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87 caregivers for elders with dementia who had visited in Busan Metropolitan Center for Dementia and D-University hospital outpati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주부양자 관련 요인에는 주부양자의 성별, 건강상태, 가족관계 유형, 돌봄시간, 부양기간, 동정심, 가족 기능 등이 있으나[15,16] 주부양자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부양부담감이 돌봄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부양자의 돌봄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치매중증도와 주부양자의 치매에 대한 지식, 부양부담감과의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치매노인 주부양자를 위한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부양자란 무엇인가? 6%에 불과하며 대부분의 치매노인은 가정에서 돌봄을 받고 있어[6] 가정에서 생활하는 치매노인을 돌보는 부양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실정이다. 주부양자는 치매노인과 동거하면서 돌봄의 과정에서 부양에 대한 책임을 맡아 치매노인을 일차적으로 보호하고 감독하는 사람이다[7]. 우리나라의 경우 치매노인의 주부양자는 10명 중 9명이 가족으로 치매노인의 상태에 따른 돌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7].
치매노인은 어떤 돌봄을 필요로 하는가? 노인성 치매가 발병하게 되면 심한 건망증과 기억력 장애가 생기고 우울증, 피해망상 등의 정신장애와 수면장애와 같은 신체적 장애가 나타나며[3] 치매노인의 독립적인 기능을 제한하여 일상생활수행에 대한 의존성을 높인다[4]. 이로 인해 치매노인은 다른 사람으로부터 식사, 목욕, 용변, 약물 복용, 의사소통, 사회적 관계 유지, 문제 행동 등에 대한 대처 및 관리를 포함하는 돌봄을 필요로 한다[5].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기간이 장기화될수록 돌봄수준이 떨어진다는 결과에 따라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이는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기간이 장기화됨에 따라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을 증가시켜 돌봄수준을 떨어뜨린다는 Panyavin 등[15]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따라서 주부양자의 돌봄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양부담감을 줄여야 하며 이를 위해 치매노인의 측면에서는 치매노인에게 적합한 돌봄을 제공하여 치매중증도의 진행을 늦추고, 주부양자의 측면에서는 치매노인의 문제행동과 인지기능 저하에 따른 대처방법과 돌봄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주부양자의 치매에 대한 지식이 돌봄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Nation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 elders[Internet]. Seoul: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12[cited 2015 March 02]. Available from: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286138&page1 

  2. Mosby. 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Internet]. Philadelphia, PA: Elsevier Science Health Science div. 2009 [cited 2015 November 11]. Available from:http://medical-dictionary.thefreedictionary.com/senile+dementia 

  3. Oh BH. Diagnosis and treatment for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9;52(11):1048-1054. 

  4. Hwang RI, Lim JY, Lee YW. A comparis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ir cognitive impairment lev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5):622-631. http://dx.doi.org/10.4040/jkan.2009.39.5.622 

  5. Park ES. Nursing need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elderly with early stage dementi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ersity; 2013. 49 p. 

  6. Statistics Korea. Management of cancer, dementia or chronic disease: Therapy method and nursing method [Internet]. Seoul: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5 March 19]. Available from: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217&tblIdDT_217A2010A00316&conn_pathI2 

  7. Yoon BR, Shim YS, Kim YD, Lee KO, Na SJ, Hong YJ, et al. Who takes care of patients with dementia in Korea: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patients with dementia living alone and primary caregivers.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2012;11(1):13-17. http://dx.doi.org/10.12779/dnd.2012.11.1.13 

  8. Cho MJ, Kim KW, Kim MH, Kim MD, Kim BJ, Kim SK, et al. Nation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 Research Report. Seoul: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08. Report No.:11-1351000-000227-01. 

  9. Lee MH, Yoon EK. The effect of family caregivers' coping strategies on caregiving burden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2008;19:31-54. 

  10. Sung MR, Kim KA, Lee DY.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elder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2;14(3):200-208. 

  11. Kong BH. Art of caring in nursing. Philosophy of Medicine. 2007;3(1):97-116. 

  12. McClendon MJ, Smyth KA. Quality of informal care for persons with dementia: Dimensions and corelates. Aging and Mental Health. 2013;17(8):1003-1015. http://dx.doi.org/10.1080/13607863.2013.805400 

  13. Song JA, Park JW, Kim HJ. Impact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on caregiver burden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3;15(1):62-74. 

  14. Kim JS, Lee SI, Kim KT, Jeong IS, Park NH, Lee KN, et al. An investigation on the status of care-giving for the demented elderly and desire for in-house care service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03;14(3):385-396. 

  15. Panyavin I, Trujillo MA, Peralta SV, Stolfi ME, Morelli E, Perrin PB, et al. Examining the influence of family dynamics on quality of care by informal caregivers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ementia in Argentina.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2015;30(6):613-621. http://dx.doi.org/10.1177/1533317515577129 

  16. Quinn C, Clare L, McGuinness T, Woods RT. The impact of relationships, motivations, and meanings on dementia caregiving outcome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12;24(11):1816-1826. http://dx.doi.org/10.1017/S1041610212000889 

  17. Zarit SH, Todd PA, Zarit JM. Subjective burden of husbands and wives as caregivers: A longitudinal study. The Gerontologist. 1986;26(3):260-266. http://dx.doi.org/10.1093/geront/26.3.260 

  18. Teri L, Truax P, Logsdon R, Uomoto J, Zarit S, Vitaliano PP. Assessment of behavioral problems in dementia: The revised memory and behavior problems checklist. Psychology and Aging. 1992;7(4):622-631. 

  19. Lee MH, Yoon EK. A cross-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memory and behavioral problems checklist (K-RM BPC):Exploratory and confirmatory analys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07:59(2):65-88. 

  20. Won CW, Yang KY, Rho YG, Kim SY, Lee EJ, Yoon JL, et al.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scal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02;6(2):107-120. 

  21. Yong MH, Kim EJ, Yang YA.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010;2(2):41-50. 

  22. Kosberg JI, Cairl RE. The cost of care index: A case management tool for screening informal care providers. The Gerontologist. 1986;26(3):273-278. http://dx.doi.org/10.1093/geront/26.3.273 

  23. You KS. A study on the car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for senile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001;15(1):125-147. 

  24. Shyu YI.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family caregiving factors inventory (FCFI) for home health assessment in Taiw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0;32(1):226-234. 

  25. Go SM, Lee KS, Seo SW, Chin J, Kang SJ, Moon SY, et al. Survival of Alzheimer's disease patients in Korea.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2013;35(3-4):219-228. http://dx.doi.org/10.1159/000347133 

  26. Noh JH, Lim EJ, Hur J. The factors influencing careworker's care performance for elders with dementi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2;6(3):75-84. 

  27. Health Insurance Policy Research Institute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4 long term care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2015. 685 p. 

  28. Shyu YI.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family caregiving to frail elders in Taiwan.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002;25(2):111-121. 

  29. Kim HH. The effect of geriatric care helper's knowledge of dementia on job stress, self-efficiency and care fulfillment [dissertation]. [Daegu]: Daegu Haany University; 2014. 141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