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단청을 계승하고 있는 단청장을 대상으로 계보에 따른(일섭, 월주, 혜각, 만봉 등) 단청 색상에 대한 인식과 색상 기준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단청장이 인식하는 '전통색'의 기준은 주로 '스승이 전수한 단청색'이었다. 더불어 단청장 모두 표준화된 색상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그 기준은 전통색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시대에 따른 단청색상의 변천 원인을 재료의 변화와 시대의 선호도가 반영된 결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단청의 주요 색상 11종에 대하여 단청장이 선정한 색도 자료를 단청장 계파별, 색상별로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매우 다양한 색상 범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상대적으로 색상 영역이 넓고 편차가 큰 색상은 양록, 뇌록, 주홍이었으며 색상 영역이 좁고 편차가 작은 색상은 하엽, 다자, 석간주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단청장 계파별 색상 기준에 대한 뚜렷한 경향성을 찾기는 어려웠는데 이는 계파의 구성원이 가진 주관적인 예술성 등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전통 단청을 계승하고 있는 단청장을 대상으로 계보에 따른(일섭, 월주, 혜각, 만봉 등) 단청 색상에 대한 인식과 색상 기준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단청장이 인식하는 '전통색'의 기준은 주로 '스승이 전수한 단청색'이었다. 더불어 단청장 모두 표준화된 색상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그 기준은 전통색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시대에 따른 단청색상의 변천 원인을 재료의 변화와 시대의 선호도가 반영된 결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단청의 주요 색상 11종에 대하여 단청장이 선정한 색도 자료를 단청장 계파별, 색상별로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매우 다양한 색상 범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상대적으로 색상 영역이 넓고 편차가 큰 색상은 양록, 뇌록, 주홍이었으며 색상 영역이 좁고 편차가 작은 색상은 하엽, 다자, 석간주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단청장 계파별 색상 기준에 대한 뚜렷한 경향성을 찾기는 어려웠는데 이는 계파의 구성원이 가진 주관적인 예술성 등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This study surveyed color awareness and color systems according to pedigree(Ilseob, Woljoo, Hyegak, Manbong ect.) targeting Dancheongjang (craftsman) who has inherited Dancheong (traditional multicolor). From the survey of color awareness, standardized color system of 'traditional color' awareness b...
This study surveyed color awareness and color systems according to pedigree(Ilseob, Woljoo, Hyegak, Manbong ect.) targeting Dancheongjang (craftsman) who has inherited Dancheong (traditional multicolor). From the survey of color awareness, standardized color system of 'traditional color' awareness by Dancheongjang is 'the color inherited by the master'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the standardized color system in awareness and its standard is either same or similar to traditional Dancheong. Also, according to each period, colors of Dancheong have been changed, it was thought that change in color materials and preference had went with times. From eleven main colors of Dancheong, chromaticity materials which were preferred by Dancheongjang were analyzed by the faction of Dancheongjang and colors and it resulted in a variety of color ranges over all. In the case of Yangnok, Noerok, Juhong it showed a high deviation with a wide color range while there was a low deviation with a narrow color range in Hayeop, Daja, Seokganju. Through this study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clear correlations and tendencies of color system by the faction of Dancheongjangs. This is judged to be a reflection of the subjective artistry of the members.
This study surveyed color awareness and color systems according to pedigree(Ilseob, Woljoo, Hyegak, Manbong ect.) targeting Dancheongjang (craftsman) who has inherited Dancheong (traditional multicolor). From the survey of color awareness, standardized color system of 'traditional color' awareness by Dancheongjang is 'the color inherited by the master'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the standardized color system in awareness and its standard is either same or similar to traditional Dancheong. Also, according to each period, colors of Dancheong have been changed, it was thought that change in color materials and preference had went with times. From eleven main colors of Dancheong, chromaticity materials which were preferred by Dancheongjang were analyzed by the faction of Dancheongjang and colors and it resulted in a variety of color ranges over all. In the case of Yangnok, Noerok, Juhong it showed a high deviation with a wide color range while there was a low deviation with a narrow color range in Hayeop, Daja, Seokganju. Through this study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clear correlations and tendencies of color system by the faction of Dancheongjangs. This is judged to be a reflection of the subjective artistry of the membe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