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부부갈등과 양육행동간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 of Young Children's Father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7 no.6, 2017년, pp.237 - 244  

이형실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여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행동의 관련성과 더불어 부부갈등, 우울, 양육행동이 관련되는 과정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 부부갈등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우울은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구조모형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부부갈등은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우울을 통해 양육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부부갈등이 우울을 통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행동의 관련성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 of fathers. The data from fathers of 1703 4-year-old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was analyzed. Findings of this study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버지의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행동의 관련성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는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여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행동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아버지의 부부갈등, 우울, 양육행동이 관련되는 과정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부부갈등은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부부갈등은 아버지의 우울을 통해 양육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부갈등이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여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행동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아버지의 부부갈등, 우울, 양육행동이 관련되는 과정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아버지의 양육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방안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아버지의 부부갈등이 우울을 통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아버지의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행동의 관련성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부부갈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더불어 우울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동시에 분석하였으며, 아버지의 부부갈등과 우울이 양육행동과 관련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유아기 자녀 아버지의 양육행동을 개선할 수 있는 개입 방안을 제시한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후속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 관련 과정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행해질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아버지의 부부갈등이 우울을 통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아버지의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행동의 관련성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부부갈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더불어 우울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동시에 분석하였으며, 아버지의 부부갈등과 우울이 양육행동과 관련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유아기 자녀 아버지의 양육행동을 개선할 수 있는 개입 방안을 제시한 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여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행동의 관련성과 더불어 부부갈등, 우울, 양육행동이 관련되는 과정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모형에서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하여 측정변인들이 잠재변인을 잘 나타내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검증한 결과는 Fig.
  • 연구문제2 : 부부갈등과 우울 및 양육행동 간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 또한, 아버지의 부부갈등, 우울, 양육행동이 관련되는 과정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아버지의 양육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방안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아와 유아를 양육하는 시기에 부부간 만족과 적응은 어떻게 되는가? 영아와 유아를 양육하는 시기에 부부간 만족과 적응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1], 더구나 영아나 유아를 둔 어머니는 우울이 증가할 위험이 있다고 보고된다[2]. 이 시기에 부모가 경험하는 부부갈등이나 우울은 자녀 발달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행동과 관련된다.
부부갈등이 있을 때 아버지는 자녀에게 어떠한 행동을 보이는가? 부부갈등이 있을 때 아버지는 자녀에게 덜 긍정적이고 보다 더 강압적인 양육행동을 보였다[14].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아버지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온정적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15].
부모의 양육행동에 대한 국내 연구 중 아버지를 포함하는 연구가 늘어난 이유는 무엇인가? 이제까지 부모의 양육행동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주로 다루었으나, 최근에는 자녀의 발달에 아버지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관심이 증가했다. 이에 따라 국내 연구들도 자녀 양육행동과 관련하여 아버지를 포함하는 연구가 늘어나고 있으나 여전히 아버지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정보는 부족한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J. Belsky, G. B. Spanier & M. Rovine. (1983). Stability and change in marriage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3), 567-577. DOI : 10.2307/351661 

  2. M. M. Weissman. (1987). Advances in psychiatric epidemiology : rates and risks for major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77(4), 445-451. DOI : 10.2105/ajph.77.4.445 

  3. S. H. Goodman & I. H. Gotlib. (1999). Risk for psychopathology in the children of depressed mothers : A developmental model for understanding mechanisms of transmission. Psychological Review, 106(3), 458-490. DOI : 10.1037//0033-295x.106.3.458 

  4. P. Kane & J. Garber. (2004). The relations among depression in fathers, children's psychopathology, and father-child conflict : A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4(3), 339-360. DOI : 10.1016/j.cpr.2004.03.004 

  5. P. M. Lewinsohn, T. M. Olino & D. N. Klein. (2005). Psychosocial impairment in offspring of depressed parents. Psychological Medicine, 35(10), 1493-1503. DOI : 10.1017/s0033291705005350 

  6. F. J. Elgar, R. S. Mills, P. J. McGrath, D. A. Waschbusch & D. A. Brownridge. (2007). Maternal and p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child maladjustment : The mediating role of parental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5(6), 943-955. DOI : 10.1007/s10802-007-9145-0 

  7. A. Krishnakumar & C. Buehler. (2000). Interparental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s : A meta analytic review. Family Relations, 49(1), 25-44. DOI : 10.1111/j.1741-3729.2000.00025.x 

  8. R. Fauber, R. Forehand, A. M. Thomas & M. Wierson. (1990). A mediational model of the impact of marital conflict on adolescent adjustment in intact and divorced families : The role of disrupted parenting. Child Development, 61(4), 1112-1123. DOI : 10.1111/j.1467-8624.1990.tb02845.x 

  9. J. Y. Cho & H. S. Doh. (2011). Pathways from interparental conflict to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through maternal support and control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32(2), 15-34. DOI : kjcs.2011.32.2.15 

  10. G. Lee. (2008).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of adolescents on adolescents' adap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1. H. Min & K. Kim.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onflict and child-rearing and school-aged children's depression in low income family and non-low income Famil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6), 33-41. 

  12. J. Jang, J. Kim & Y. Kim. (2011). Effects of paternal depression, marital relationship, and parenting style on problem behaviors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2(2), 79-107. 

  13. K. J. Kaczynski, K. M. Lindahl, N. M. Malik & J. P. Laurenceau. (2006). Marital conflict,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and child adjustment : A test of mediation and moderation.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0(2), 199-208. DOI : 10.1037/0893-3200.20.2.199 

  14. M. Kim & Y. Kim. (2011). Family economic distress, paternal depression, marital relationship, controlling parenting style, and behavioral problems in young childr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5), 59-70. DOI : 10.6115/khea.2011.49.5.059 

  15. Y. Chae & S. Kwak. (2017). The effects of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s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Wellness, 12(1), 1-13. DOI : 10.21097/ksw.2017.02.12.1.1 

  16. I. Kim. (2016).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s perceived by fathers on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 Mediating effect of paternal child rearing behavior.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hildcare & Education, 12, 127-142. DOI : 10.14698/jkcce.2016.12.02.127 

  17. S. J. Kwon, S. N. Oh & S. H. Lee. (2016). A study on related variables to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 Children's, mothers', and peer relationships' variable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3(4), 385-406. DOI : 10.22155/jfece.23.4.385.406 

  18. P. K. Kerig, P. A. Cowan & C. P. Cowan. (1993). Marital quality and gender differences in parent-child inter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9(6), 931-939. DOI : 10.1037/0012-1649.29.6.931 

  19. P. Howes & H. J. Markman. (1989). Marital quality and child functioning :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Child Development, 60(5), 1044-1051. DOI : 10.2307/1130778 

  20. K. M. Lindahl & N. M. Malik. (1999). Observations of marital conflict and power : Relations with parenting in the tria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1(2), 320-330. DOI : 10.2307/353751 

  21. E. M. Cummings & P. T. Davies. (1994).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 development.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5(1), 73-122. 

  22. S. Azak & S. Raeder. (2013). Trajectories of parenting behavior and maternal depression.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36(3), 391-402. DOI : 10.1016/j.infbeh.2013.03.004 

  23. H. Choi, E. Yeon, Y. Yoon & Y. Hong. (2014). Relationships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mediated by mothers' psychological backgrounds regard to their employment status.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84, 57-84. 

  24. E. M. Yeon, H. O. Yoon & H. S. Choi. (2016).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incomes on the relationship among marital conflict, depression, and parenting attitude :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1(2), 1-28. 

  25. K. D. O'Lear, J. L. Christian & N. R. Mendell. (1994). A closer look at the link between marital discord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3(1), 33-41. DOI : 10.1521/jscp.1994.13.1.33 

  26. V. E. Whiffen & I. H. Gotlib. (1989). Stress and coping in maritally distressed and nondistressed couple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6(3), 327-344. DOI : 10.1177/0265407589063006 

  27. H. S. Doh, M. J. Kim. M. K. Choi, S. W. Kim. & S. J. Cho. (2012).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and mothers' anger and depression on the behavioral problems of preschoolers.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33(2), 145-164. DOI : 10.5723/kjcs.2012.33.2.145 

  28. H. Markman, S. Stanley & S. Blumberg. (2001). Fighting for your marriage : Positive steps for preventing divorce and preserving a lasting love. USA : Jossey-Bass Publishers. 

  29. R. C. Kessler, G. Andrew, L. J. Cople, E. Hiripi, D. K. Mroczek & S. L. Normand. (2002).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s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logical Medicine, 32(6), 959-976. DOI : 10.1017/s0033291702006074 

  30. M. H. Bornstein, C. S. Tamis-LeMonda, L. Pascual, O. M. Haynes, K. M. Painter, C. Z. Galperin & M. G. Pecheux. (1996). Ideas about parenting in Argentina,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9(2), 347-367. DOI : 10.1080/016502596385820 

  31. T. M. Song & G. S. Kim. (2012).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health welfare studies. Seoul : Hanare. 

  32. S. H. Hong.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33. D. W. Leung & A. M. S. Slep. (2006). Predicting inept discipline : The role of parental depressive symptoms, anger, and attribu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3), 524-534. DOI : 10.1037/0022-006x.74.3.524 

  34. M. K. Jung & Y. H. Kim. (2003). Maternal parenting experience, depression,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 predicting school children's maladjustment.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8), 123-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