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rrier Free 출입문 규격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Barrier Free Door Standard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3 no.4, 2017년, pp.7 - 15  

김인배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  김원필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a Barrier Free Certification System since 2008 to create a secure and convenient environment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The drastic increase in the number of BF-certification facilities is expected due to the revision of the system and increasing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총 288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지표 중 출입문 관련 항목을 국·내외 기준과 비교·분석하여 출입문의 규격, 유효폭, 전면유효거리, 활동공간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출입문 인증지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의 목표는 무엇인가?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의 개념은 1974년 국제 연합 장애인 생활환경 전문가 회의에서 “Barrier Free Design”에 관한 보고서가 제출된 이후, 건축분야를 중심으로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고령자, 장애인 등 신체적 능력의 제한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생활환경속에서의 물리적 장애요소를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현대사회에서는 사회구성원의 구조가 변화하고 의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Barrier Free의 대상이 포괄적 사회적약자로 확대되었다.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란 무엇인가?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는 사회적약자가 개별시설물을 이용하거나 지역을 이동함에 있어 불편요소가 없도록 설계·시공되어있는지를 공신력 있는 기관을 통해 평가·인증을 하는 제도이다.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을 위해서는 국토교통부와 보건복지부 행정규칙 (국토교통부; 보건복지부, 2015)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지표를 심사기준으로 활용하게 된다.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은 언제부터 도입되기 시작하였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의 개념은 1974년 국제 연합 장애인 생활환경 전문가 회의에서 “Barrier Free Design”에 관한 보고서가 제출된 이후, 건축분야를 중심으로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고령자, 장애인 등 신체적 능력의 제한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생활환경속에서의 물리적 장애요소를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DIN 18040-1, 2010, "Barrierefreies Bauen - Planungsgrundlagen - Teil 1: Offentlich zugangliche Gebaude", Beuth Verlag GmbH. 

  2. DIN 18040-2, 2011, "Barrierefreies Bauen - Planungsgrundlagen - Teil 2: Wohnungen", Beuth Verlag GmbH. 

  3. E. Feddersen; I. Ludtke; U. Rau; U. Reinold; H. Wulf, 2013, barrierefrei - bauen fur die zukunft, 3. vollstandig uberarbeitete Auflage ed., Berlin.Wien.Zurich, Beuth Verlag GmbH. 

  4. ISO/FDIS 21542, 2011, "Building construction -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the built environment",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5. Land & Housing Institute, 2013, Performance Analysis of Barrier Free Certification. 

  6. Lee, Kyoo-Il; Kang, Byoung-Keun,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Barrier-Free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 Focusd on the Evaluation Items of the Building",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pp.25-37 

  7. Norm SIA 500 / SN 521 500, 2009, "Hinderfreie Bauten", Sweizerischer Invalidenverband. 

  8. ONORM B 1600, 2017, "Barrierefreies Bauen - Planungsgrundlagen", Austrian Standard. 

  9. Shin, Gang-Won; Lee, Suk-Hwan; Choi, Seo-Youn; Lee, Eun-Jin, 2011, "Improving the Barrier Free Accreditation Standards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pp.257-262. 

  10. 국토교통부; 보건복지부, 2015,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심사기준 및 수수료기준등". 

  11. 보건복지부, 2016,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 [별표1] 편의시설의 구조.재질 등에 관한 세부기준(제2조 제1항 관련)". 

  12. 서울특별시, 2016, 2016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매뉴얼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