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쌀귀리 가루의 입도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Effect of particle size of naked oat flours on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y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4 no.7, 2017년, pp.965 - 974  

전현일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유선희 (정읍시 농업기술센터) ,  송근섭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영수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쌀귀리의 식품산업 이용률을 높이고자 쌀귀리를 입도별로 제조하여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쌀귀리의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이 각각 15.7%, 10.0% 및 1.8%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이들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비필수아미노산 중에서는 cystine(58.3 mg%), ${\beta}$-aminoisobutyric acid(53.8 mg%) 등, 필수아미노산 중에서는 phenylalanine(8.6 mg%)과 histidine (12.2 mg%)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함량은 감소하였다. 총 전분, 아밀로스, 손상전분, 총 식이섬유, ${\beta}$-glucan 및 총 유리당 함량은 각각 56.4%, 21.4%, 11.7%, 11.0%, 4.7% 및 2,555.3 mg%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총 전분, 아밀로스 및 손상전분의 함량은 감소한 반면에 총 식이섬유와 ${\beta}$-glucan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색도는 L 값이 75.3, a 값이 0.3 및 b 값이 13.1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L 값은 증가하였으나 a와 b 값은 감소하였다. 호화특성은 최고점도가 263.8 RVU, 최저점도가 155.6 RVU 및 최종점도가 399.3 RVU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최고점도와 최종점도는 증가하였다. TPC, TFC 및 항산화 활성(DPPH radical assay, ABTS radical cation assay 및 reducing power)은 각각 $237.8{\mu}g/g$, $90.9{\mu}g/g$, 57.3%, 53.4% 및 0.23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은 감소하였다. 한편 TPC와 TFC에 관한 각 항산화 활성의 결정계수(correlation determination coefficient, $R^2$) 값이 각각 0.87 이상과 0.81 이상으로 나타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은 상관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le size of naked oat flour (NOF) on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antioxidant activity. The NOF was passed through $250{\mu}m$ and $160{\mu}m$ size sieves to obtain three fractions (fraction A: $250{\mu}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곡류를 활용한 가공제품의 제조에는 입도별 이화학적 특성 및 가공적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하지만 이에 관한 연구가 아직까지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쌀귀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쌀귀리 가루의 입도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귀리의 효능은? 특히, 귀리에 다량 함유된 페놀성 화합물, β-glucan 등과 같은 생리활성 성분이 체내의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노화를 지연시켜 고지혈증, 당뇨, 암 등의 만성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건강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들이 오트밀이나 스낵 형태로 가공된 아침식사 용도로 이용하고 있으며,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10,11).
귀리란? 벼과 작물인 귀리(Avena sativa L.)는 세계적으로 밀, 옥수수, 벼, 보리 다음으로 많이 생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양질의 단백질, 지질, 섬유질, 무기질, 페놀성 화합물 등을 함유하여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건강식품으로 인식되어 매년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는 곡물이다(1,2). 품종별로는 껍질의 유무에 따라 겉귀리와 쌀귀리로 구분되며, 껍질 제거가 용이한 쌀귀리가 영양성, 기호성 및 가공적성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3,4).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개발된 국내산 쌀귀리 품종은? 품종별로는 껍질의 유무에 따라 겉귀리와 쌀귀리로 구분되며, 껍질 제거가 용이한 쌀귀리가 영양성, 기호성 및 가공적성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3,4). 과거에는 국산용 쌀귀리 품종이 없어서 캐나다, 호주, 러시아 등에서 대부분 수입하여 식용이나 가공제품에 사용하였으나 근래에는 국내에서 재배 및 생산량이 적합한 조양, 선양, 대양 등과 같은 쌀귀리 품종이 개발되었다(5). 이 중에서 조양(Choyang)은 조숙성인 식용귀리를 모본으로 귀리 23호를 부본으로 교배시켜 육종한 조숙성 품종으로 곡실의 발현율이 높고 수량이 많아 벼와 연계한 이모작 재배가 가능하여 국내산 쌀귀리의 국내 자급율 향상을 위해서 육성되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Zhou M, Robards K, Glennie-Holmes M, Helliwell S (1999) Oat lipids. J Am oil Chem Soc, 76, 159-169 

  2. Manolache FA, Hanganu A, Duta DE, Belc N, Marin DI (2013) The physico-chemical and spectroscopic composition characterization of oat grains and oat oil samples. Rev Chim, 64, 45-48 

  3. Biel W, Bobko K, Maciorowski R (2009)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of husked and naked oats grain. J Cereal Sci, 49, 413-418 

  4. Pomeranz Y, Youngs VL, Robbins GS (1973) Protein cont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oat species and tissues. Cereal Chem, 50, 702-707 

  5. Lee YT (199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s of ${\beta}$ -glucans in barley and oats. Korean J Crop Sci, 41, 10-24 

  6. Han OK, Park HH, Park TI, Seo JH, Park KH, Kim JG, Heo HY, Hong YG, Kim DH (2008) A new early-heading and high-yielding naked oat cultivar for human consumption, 'Choyang'. Korean J Breed Sci, 40, 512-516 

  7. KMFDS (2016) Analysis report for annual production of functional food in 2016.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eoul, Korea, p 1-12 

  8. Lee NY (2013) Starch and quality characteristic of Korean rice cultivar with waxy and non-waxy type. Korean J Crop Sci, 58, 226-231 

  9. Son CG (2014) Progress of functional food in Korea and strategy of Korean medicine. J Korean Med, 35, 68-74 

  10. Seo YK, Whang K (1998) In vitro cholesterol adsorption activity of oat g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785-788 

  11. Dhingra D, Michael M, Rajput H, Patil RT (2012) Dietary fibre in foods: a review. J Food Sci Technol, 49, 255-266 

  12. Gray DA, Auerbach RH, Hill S, Wang R, Campbell, GM, Webb C, South JB (2000) Enrichment of oat antioxidant activity by dry milling and sieving. J Cereal Sci, 32, 89-98 

  13. Jeong HS, Kang TS, Jung IS, Park HJ, Min YK (2003) ${\beta}$ -glucan contents with different particle size and varieties of barley and o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610-616 

  14. Peterson DM, Emmons CL, Hibbs AH (2001) Phenolic antioxidant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rling fractions of oat groats. J Cereal Sci, 33, 97-103 

  15. AOAC (1996)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1121-1180 

  16. KFDA (2005)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Code.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 358-364 

  17. Spackman DH, Stein WH, Moore S (1958) Automatic recording apparatus for use in chromatography of amino acids. Anal chem, 30, 1190-1206 

  18. McCleary BV, Solah V, Gibson TS (1994)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otal starch in cereal flours and products. J Cereal Sci, 20, 51-58 

  19. Williams WB, Cuvelier ME, Berset C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ebensmn Wiss Technol, 28, 25-30 

  20. Boyaci IH, Williams PC, Koksel H (2004) A rapid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damaged starch in wheat flour. J Cereal Sci, 39, 139-145 

  21. Prosky L, Asp NG, Schweizer TF, Devries JW, Furdal I (1998) Determination of insoluble, soluble and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and food products, Interlaboratory study. J Assoc Off Anal Chem, 71, 1017-1025 

  22. McCleary BV, Glennie-Holmes M (1985) Enzymic quantification of (1 $\rightarrow$ 3),(1 $\rightarrow$ 4)- ${\beta}$ -D-glucan in barley and malt. J Inst Brew, 91, 285-295 

  23. Cho IK, Jin SW, Kim YD (2009) Analysis of components in the parts of Opuntia ficus indica from Shina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6, 742-746 

  24. Cha MN, Jun Hl, Song GS, Kim YS (2012) The Effects of germination conditions on GABA and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barley. J Food Sci Technol, 44, 41-47 

  25. Dewanto V, Wu X, Adonm KK, Liu RH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3010-3014 

  26.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y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27. Williams WB, Cuvelier ME, Berset C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ebenson Wiss Technol, 28, 25-30 

  28. Arts MJTJ, Haenen GRMM, Voss HP, Bast A (2004) Antioxidant capacity of reaction products limits the applicability of the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od Chem Toxicol, 42, 45-49 

  29.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antioxidant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amin. Japanese J Nutr Diet, 44, 307-315 

  30. SAS (2004) SAS/STAT 9.1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p 421-480 

  31. Kim HY, Hwang IG, Woo KS, Kim KH, Kim KJ, Lee CK, Lee JS, Jeong HS (2010) Chemical components changes of winter cereal crops with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00-1704 

  32. Han OK, Park HH, Heo HY, Park TI, Seo JH, Park KH, Kim JG, Hong YG, Kim DH (2008) A new naked oat cultivar for human consumption, 'Daeyang' with high-yielding and good-quality. Korean J Breed Sci, 41, 56-60 

  33. Hahn JD, Chung TK, Baker DH (1990) Nutritive value of oat flour and oat bran. J Anim Sci, 68, 4253-4260 

  34. Kosieradzka I, Fabijanska M (2001) Comparison of the nutritive value of naked and husked oat protein with wheat and maize. J Anim Feed Sci, 10, 309-314 

  35. Hoover R, Senanayake SPJN (1996)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at starches. Food Res Int, 29, 15-26 

  36. Tian B, Xie B, Shi J, Wu J, Cai Y, Xu T, Xue SJ, Deng Q (2010) Physicochemical changes of oat seeds during germination. Food Chem, 119, 1195-1200 

  37. Seo YK, Whang K (1998) In vitro cholesterol adsorption activity of oat g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785-788 

  38. Jun HI, Yang EJ, Kim YS, Song GS (2008) Effect of dry and wet milling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lack rice flou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00-907 

  39. Meuser F, Klingler RW, Niediek EK (1978) Characterization of mechanically modified starch. Starch, 30, 376-384 

  40. Leonova S, Shelenga T, Hamberg M, Konarev AV, Loskutov I, Carlsson AS (2008) Analysis of oil composition in cultivars and wild species of oat (Avena sp.). J Agric Food Chem, 56, 7983-7991 

  41. Kim CH, Tie J, Ryu GH (2012) Effect of moisture content on physical properties of extruded creal flou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03-1610 

  42. Lee YT, Seog HM, Cho MK, Kim SS (199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ull-less barley flours prepared with different ginding mi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078-1083 

  43. Ovando-Martinez M, Whitney K, Reuhs BL, Doehlert DC, Simsek S (2013) Effect of hydrothermal treatment on physicochemical and digestibility properties of oat starch. Food Res Int, 52, 17-25 

  44. Brindzova L, Certik M, Rapta P, Zalibera M, Mikulajova A, Takacsova M (2008) Antioxidant activity, ${\beta}$ -glucan and lipid contents of oat varieties. Czech J Food Sci, 26, 163-173 

  45. Yu L, Perret J, Davy B, Wilson J, Melby CL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cereal products. J Food Sci, 67, 2600-2603 

  46. Peterson DM (2001) Oat antioxidants. J Cereal Sci, 33, 115-129 

  47. Guo X, Yao H (2006) Fraction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artary buckwheat flour proteins. Food Chem, 98, 90-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