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st-traumatic Stress and Ways of Stress Coping on Problem Drinking in Firefighter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6 no.4, 2017년, pp.218 - 226  

전경선 (국립정신건강센터) ,  강경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post-traumatic stress and ways of stress coping on problem drinking in firefight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1 to June 11, 2015, in fire brigades across South Korea. Participants were 183 male firefighters who used self-report que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대처방식, 문제음주 발생간의 관계 및 소방공무원의 문제음주 발생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는 진행되지 않아 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남자 소방공무원의 PTSD와 대처방식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 향후 PTSD 예방 및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남자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결혼 상태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이 문제 음주에 영향을 미치고 대처방식은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남자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남자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는 부분외상 이상이 36.
  • 본 연구는 남자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이 문제음주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TSD란? , 2017)에 비해 10배 이상 높게 보고되고 있다. PTSD는 극심한 외상 사건을 경험하고 난 후에 발생하는 장애로, 특히 구조 및 화재진압 업무에서 가장 높게 보고하였다(Yang, Lee, & Choi, 2012). 이와 같은 사건을 지속적으로 재경험하고, 그 사건과 관련되는 자극을 지속적으로 회피하며, 일반적으로 반응이 마비되고, 각성상태가 증가하는 증상을 지속적으로 지닌다(Yang et al.
외상성 사건 경험 후 PTSD의 위험을 높이는 주요 요인은? 외상성 사건 경험 후 PTSD의 위험을 높이는 주요 요인은 우울증상, 문제해결능력, 알코올 소비(Shin et al., 2015) 등으로 PTSD나 우울 문제가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2배 이상에서 알코올 남용의 가능성이 높다(Jakupcak et al., 2010).
남자소방공무원의 음주의 단점은? 소방공무원의 음주는 외상 기억이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같은 고통스러운 증상을 완화시키고 일시적으로 긴장을 해소하고 원만한 인간관계 유지 및 동료 간 결속력을 증가시킨다(Oh, 2011; Yoo, Kim, Park, & Kim, 2012). 특히 남자소방공무원의 경우 외상사건의 스트레스나 가족 간 갈등이 음주수준을 높이게 되어 불안, 우울,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악화, 인지기능과 수행능력 손상으로 업무 수행 시 문제 발생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NEMA, 2014; Oh, 2011; Yoo et al., 2012; K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J. M.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ization shocks, social supports, coping behaviors, and PTSD sympto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ire officials. Korean Re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4(3), 141-163. 

  2. Baek, M. L. (2011).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of emergency medical personne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1(1), 29-35. 

  3. Bober, T., & Regehr, C. (2006). Strategies for reducing secondary or vicarious trauma: Do they work?. Brief Treatment and Crisis Intervention, 6(1), 1-9. 

  4. Choi, H. K. (2010). Effects of traumatic events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urnout, physical symptoms, and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s in Korean fire fight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Suwon. 

  5. Choi, E. M. (2014). The relation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on in Korean firefigh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6. Eun, H. J., Kwon, T. W., Lee, S. M., Kim, T. H., Choi, M. R., & Cho, S. J. (2005).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4(3), 303-304. 

  7.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8. Forbes, D., Creamer, M., & Biddle, D. (2001). The validity of the PTSD checklist as a measure of symptomatic change in combat-related PTSD.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9(8), 977-986. 

  9. Hong, J. P., Lee, D. W., Jin, H. B., Lee, S. H., Sung, S. J., Yoon, T., et al. (2017). The 2016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among Korean adults.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amsung Medical Center. 

  10. Hyun, J. H., & Kim, H. G. (2012). Alcohol use and traumatic experiences among government officials after foot-andmouth disease epidemic.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3(2), 41-53. 

  11. Jakupcak, M., Tull, M. T., McDermott, M. J., Kaysen, D., Hunt, S., & Simpson, T. (2010). PTSD symptom clusters in relationship to alcohol misuse among Iraq and Afghanistan war veterans seeking post-deployment VA health care. Addictive Behaviors, 35(9), 840-843. 

  12. Jo, S. D., & Park, J. B.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Alcohol-use Disorders among Fire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2(1), 133-140. 

  13. Jung, Y. K., Lim, K. Y., Cho, S. M., Cho, C. P., Kim, K. W., Shin, Y. M., et al. (2008). Survey on post-traumatic stress in firefighters: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jou University Industry and Academy Collaboration Foundation: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14. Kang, K. H., Lee, K. S., Kim, S. I., Meng, K. H., Hong, H. S., & Jeong, C. H.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e and job stress among fireme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3(4), 401-412. 

  15. Kim, B. M., Pan, S. H., & Chae, J. H. (2011).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coping style, and dissociation in Korean firefighters. Anxiety and Mood, 7(1), 29-33. 

  16.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7. Lee, J. H., Kim, J. A., Sim, M. Y., Jeon, K. S., Oh, S. A., & Yang, J. L., et al. (2015).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vent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mong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22(2). 55-62 

  18. Lee, J. Y., Lee, H. M., Seo, H. J., Woo, Y. S., Kim, T. S., & Chae, J. H. (2007). Consumption of alcohol, cigarettes, and drugs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Korean multicenter hospital samples. Anxiety and Mood, 3(1), 41-45. 

  19. Lee, J. Y., Yoo, J. M., & Hyun, M. H. (2008).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ctive coping and social support on PTSD symptoms of firefighte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3(2), 373-389. 

  20. Lee, K. H., & Moon, J. S.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PTSD on Alcohol Use Disorders in Maritime Police Officers. The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Review, 47, 105-129. 

  21. Moon, T. Y. (2013). Stress perceived by fire officials upon somatic symptoms and coping method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8), 3815-3823. 

  22. Norman, S. B., Tate, S. R., Anderson, K. G., & Brown, S. A. (2007). Do trauma history and PTSD symptoms influence addiction relapse context?. Drug and alcohol dependence, 90(1), 89-96. 

  23. Oh, H. J.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exposure to traumatic stress in male firefigh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4. Ryu, I. K., Kim, J. E., Jeon, U. J., Chung, H. S., Lee, S. H., Kim, B. N., et al. (2014). Survey on post-traumatic stress in firefighters: Ehwa University Industry and Academy Collaboration Foundation: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5. Shin, D. Y., Jeon, M. J., & Sakong, J. (2012).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related factors in male firefighters in a metropolitan cit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4(4), 397-409. 

  26. Shin, H. Y., Hwang, S. T., & Shin, Y. T.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vents and PTSD symptomes of urban fire fighter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ype D personality and coping style. Crisisonomy, 11(6), 97-120. 

  27. Yang, M. H., Lee, E. I., Choi, J. W., & Kim, H. J. (2012). PTSD and related factors among dispatched firefighters to rescue sites after the great Japanese earthquake (Running head: Dispatched Firefighters' PTSD).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4(2), 167-179. 

  28. Yoo, S. W., Kim, K. S., Park, C. Y., & Kim, M. G. (2012). The Problem Drinking and Related Factors in Female Firefight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4(2), 124-132. 

  29. Yoon, M. S., & Lee, H. J. (2014).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drinking behavior among employees. Mental Health & Social Work, 42(4), 115-142. 

  30. Yu, J. H., & Park, K. H. (2009). Psycho-social variables related to PTSD symptoms in fire-fighters: focusing on depression, anxiety,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3), 833-8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