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가근막이완 운동이 비만 여자대학생의 신체조성과 혈관 및 대사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elf-Myofascial Release on Body Composition, Vascular and Metabolic Functions in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4, 2020년, pp.769 - 777  

이재훈 (서울시립대학교 스포츠과학과) ,  김지선 (중원대학교 스포츠산업학과) ,  오유성 (서울시립대학교 스포츠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만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8주간의 자가근막이완 운동이 신체조성, 혈관, 대사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만 여자대학생 19명을 대상으로 포기자 1명을 제외하고 자가근막이완 운동집단(n=9)과 통제집단(n=9)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운동집단은 폼롤러를 이용하여 8주간 주 2회, 1회에 40분간 자가근막이완 운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동일한 기간 동안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측정 변인으로 신체조성은 체중과 체지방률을 측정하였고, 혈관기능은 혈압, 심박수, 맥파전파속도, 대동맥증폭지수, 상완동맥 혈관내피세포 의존성 이완능을 측정하였으며, 대사기능은 공복 혈당중성지방 수치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폼롤러를 이용한 자가근막이완 운동 후 체중과 체지방률은 유의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폼롤러를 이용한 자가근막이완 운동 후 심박수, 혈관내피세포의존성 이완능, 맥파전파속도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완동맥과 중심동맥 수축기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1), 대동맥 증폭지수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대사기능의 변인인 혈당과 중성지방은 유의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비만 여자대학생에게 8주간의 자가근막이완 운동은 신체조성 변인인 체중과 체지방률, 대사기능의 변인인 혈당과 중성지방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혈관기능의 변인인 상완동맥과 중심동맥 수축기 혈압, 대동맥 증폭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8주간의 폼롤러를 이용한 자가근막이완 운동은 비만 여자대학생의 혈관기능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인 운동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8 weeks Self-Myofascial Releas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vascular and metabolic functions in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19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n = 9)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ercise group(n=9)...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자대학생들은 잘못된 비만 관리로 인해 건강을 해칠 수 있으며[20], 미국의 첫 평균 임신 시기인 26세[21]를 고려할 때, 태아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여자대학생의 건강관리는 매우 중요하다[22]. 따라서 본 연구는 비만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8주간 폼롤러를 이용한 자가근막이완 운동이 신체조성과 혈관 및 대사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8주간의 폼롤러를 이용한 자가근막이완 운동이 비만 여자대학생의 신체조성과 혈관 및 대사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8주간의 폼롤러를 이용한 자가근막이완 운동 후 신체조성의 변인으로 체중과 체지방률은 유의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비만 여자대학생에게 8주간 폼롤러를 이용한 자가근막이완 운동이 비만 여자대학생의 신체조성과 혈관 및 대사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 9명과 통제집단 9명을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NASM에서 제시한 근막이완 운동 가이드라인을[23] 적용하여 시켰으며 8주간 주 2회, 1회당 40분으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은 남성과 다르게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 비만 성인은 일반 성인보다 심혈관질환, 당뇨병 등 다른 질병의 유병률이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체지방을 줄이는 관리가 필요하며[17], 특히 당뇨병으로 인한 관상동맥질환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위험이 더 크게 나타난다[18]. 여성은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체지방률을 보이며 비만에 노출이 되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여성들의 비만 관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19].
본 연구에서 비만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가근막이완 운동이 신체조성과 혈관 및 대사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 이유는 무엇인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자대학생들은 잘못된 비만 관리로 인해 건강을 해칠 수 있으며[20], 미국의 첫 평균 임신 시기인 26세[21]를 고려할 때, 태아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여자대학생의 건강관리는 매우 중요하다[22]. 따라서 본 연구는 비만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8주간 폼롤러를 이용한 자가근막이완 운동이 신체조성과 혈관 및 대사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자가근막이완은 어떠한 장점이 있는가?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인 근막이완은 유착되거나 원래의 배열에서 틀어진 근막을 풀어주고 재정렬하여 근육, 힘줄, 인대, 연부조직의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4]. 근막이완이 관절의 가동범위, 운동수행능력, 회복 등 컨디션 조절의 개선을 가져온다는 것은 많은 선행연구를 통해 검증되었고[5,6,7], 근막이완 기법 중 자가근막이완(self-myofascial release)은 소도구를 사용하여 스스로 근막을 이완시키는 방법으로 안전하고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K. McKenney, A. S. Elder, C. Elder, A. Hutchins, "Myofascial release as a treatment for orthopaedic condition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Vol. 48, No. 4, pp. 522-527, (2013). 

  2. M. S. Jafri, Mechanisms of myofascial pain. International scholarly research notices, (2014). 

  3. D. G. Simons, "Review of enigmatic MTrPs as a common cause of enigmatic musculoskeletal pain and dysfunction",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Vol. 14, No. 1, pp. 95-107, (2004). 

  4. R. Schleip, D. G. Muller, "Training principles for fascial connective tissues: scientific foundation and suggested practical applications",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Vol. 17, No. 1, pp. 103-115, (2013). 

  5. K. C. Healey, D. L. Hatfield, P. Blanpied, L. R. Dorfman, D. Riebe, "The effects of myofascial release with foam rolling on performance",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Vol. 28, No. 1, pp. 61-68, (2014). 

  6. G. Z. MacDonald, M. D. Penney, M. E. Mullaley, A. L. Cuconato,C. D. Drake, D. G. Behm, D. C. Button, "An acute bout of self-myofascial release increases range of motion without a subsequent decrease in muscle activation or force",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Vol. 27, No. 3, pp. 812-821, (2013). 

  7. G. E. Pearcey, D. J. Bradbury-Squires, J. E. Kawamoto, E. J. Drinkwater, D. G. Behm, D. C. Button, "Foam rolling for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and recovery of dynamic performance measures",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Vol. 50, No. 1, pp. 5-13, (2015). 

  8. M. Robertson, Self-myofascial release purpose, methods and techniques, Robertson training systems, (2008). 

  9. T. Okamoto, M. Masuhara, K. Ikuta, "Acute effects of self-myofascial release using a foam roller on arterial function",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Vol. 28, No. 1, pp. 69-73, (2014). 

  10. S. H. Kang, "Effects of Eexercise and Massage on Vascular Compliance",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55, No. 6, pp. 741-747, (2016). 

  11. E. P. Williams, M. Mesidor, K. Winters, P. M. Dubbert, S. B. Wyatt, "Overweight and obesity: prevalence, consequences, and causes of a growing public health problem", Current obesity reports, Vol. 4, No. 3, pp. 363-370, (2015). 

  12. S. B. Prenner, J. A. Chirinos, "Arterial stiffness in diabetes mellitus1", Atherosclerosis, Vol. 238, No. 2, pp. 370-379, (2015). 

  13. S. Samadi, M. Bozorgmanesh, D. Khalili, A. Momenan, F. Sheikholeslami, F. Azizi, F. Hadaegh, "Hypertriglyceridemic waist: the point of divergence for prediction of CVD vs. mortality: Tehran Lipid and Glucos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Vol. 165, No. 2, pp. 260-265, (2013). 

  14. T. Kawai, M. Ohishi, M. Onishi, N. Ito, Y. Takeya, R. Oguro, Y. Takami, K. Yamamoto, H. Rakugi, "Prognostic impact of regional arterial stiffness in hypertensive patients", Heart and vessels, Vol. 30, No. 3, pp. 338-346, (2015). 

  15. G. Danaei, C. M. Lawes, S. V. Hoorn, C. J. Murray, M. Ezzati, "Global and regional mortality from ischaemic heart disease and stroke attributable to higher-than-optimum blood glucose concentration: comparative risk assessment", The Lancet, Vol. 368, No. 9548, pp. 1651-1659, (2006). 

  16. G. F. Mitchell, H. Parise, E. J. Benjamin, M. G. Larson, M. J. Keyes, J. A. Vita, R. S. Vasan, D. Levy, "Changes in arterial stiffness and wave reflection with advancing age in healthy men and women: the Framingham Heart Study", Hypertension, Vol. 43, No. 6, pp. 1239-1245, (2004). 

  17. X. Ying, Z. Y. Song, C. J. Zhao, Y. Jiang,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young and middle-aged Chinese women", Journal of Zhejiang University Science B, Vol. 11, No. 9, pp. 639-646, (2010). 

  18. R. Huxley, F. Barzi, M. Woodward, "Excess risk of fatal coronary heart disease associated with diabetes in men and women: meta-analysis of 37 prospective cohort studies", British Medical Journal, Vol. 332, No. 7533, pp. 73-78, (2006). 

  19. M. K. Kim, K. Sawano,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Female College Students' Obesity Recognition and Life Sty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 39, No. 5, pp. 699-708, (2010). 

  20. U. J. Yun, Y. R. Kim, "Low Body Obesity Control with Female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Meridian Massage with Aroma Essential Oil",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9, No. 8, pp. 360-366, (2009). 

  21. J. A. Martin, B. E. Hamilton, M. J. Osterman, S. C. Curtin, T. J. Mathews, "Births: final data for 2013", National Vital Statistics Report, Vol. 64, No. 1, pp. 1-68, (2015). 

  22. S. H. Jo, "Pregnancy and childbirth in Obesity",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 9, No. 1, pp. 25-27, (2000). 

  23. NASM, Corrective exercise training. Seoul: Hanmi Medical Books, (2014) 

  24. G. S. Han, G. D. Kim, M. H. Kang, "Effects of Myofascial Release Massage Therapy on the Changes in Blood Lipids, Blood Pressure, and Intra-abdominal Fat in Middle-aged Obese Wome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3, No. 6, pp. 1395-1406, (2014). 

  25. H. J. Jung, M. H. Lim, "Effect of Myofascial Massage and High Frequency Treatment on Middle Aged Women's Abdominal Obes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Vol. 19, No. 4, pp. 596-606, (2013). 

  26. M. Y. Kang, N. R. Han, C. J. Han, "The effect of meridian scraping therapy on body composition, lipid profiles and pulse wave velocity -focused on wear high heels in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 Beauty and Art, Vol. 12, No. 1, pp. 127-142, (2011). 

  27. E. H. Kwak, "The Effects of Meridian Massage Therapies for the Four-Week Weight Reduction Program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Strength, Physiological Changes, and Electrolytic Concentration"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ics society, Vol. 4, No. 14, pp. 57-69, (2006). 

  28. S. H. Pack, S. J. Yun, M. H. Shin, D. S. Kim, H. R. Jung, "The effect of sports-massage on cardiovascular function, blood sugarand body composition for obese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ics society, Vol. 7, No. 4, pp.47-56, (2009). 

  29. E. R. Gonzalez, C. M. Lorenzo, G. A. M. Penarrocha, R. G. Barrilao, M. E. A. Ferrandiz, A. M. C. Sanchez,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yofascial release manual therapy and physical therapy for venous insufficiency in postmenopausal women",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Vol. 20, No. 5, pp. 291-298, (2012). 

  30. R. Walaszek, "Impact of classic massage on blood pressure in patients with clinically diagnosed hypertension",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Vol. 35, No. 4, pp. 396-401, (2015). 

  31. P. Weerapong, P. A. Hume, G. S. Kolt, "The mechanisms of massage and effects on performance, muscle recovery and injury prevention", Sports medicine, Vol. 35, No. 3, pp. 235-256, (2005). 

  32. I. Supa'At, Z. Zakaria, O. Maskon, A. Aminuddin, N. A. M. M. Nordin, "Effects of Swedish massage therapy on blood pressure, heart rate, and inflammatory markers in hypertensive women",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3). 

  33. K. M. Madden, C. Lockhart, K. Khan, "Arterial stiffness and the response to carotid sinus massage in older adults",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Vol. 22, No. 1, pp. 36-41, (2010). 

  34. N. C. Franklin, M. M. Ali, A.T. Robinson, E. Norkeviciute, S. A. Phillips, "Massage therapy restores peripheral vascular function after exer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95, No. 6, pp. 1127-1134, (2014). 

  35. S. Nichols, "Glucose control improves after stress management training". Diabetes Week [online]. [cited 2011 July 15], Available from: URL:http://www.newsrx.com/newsletters/Diabetes- Week/2002-03-04/200203043335DW.html (accessed Mar, 4, 2002). 

  36. P. Weerapong, P. A. Hume, G. S. Kolt, "The mechanisms of massage and effects on performance, muscle recovery and injury prevention", Sports medicine, Vol. 35, No. 3, pp, 235-256, (2005). 

  37. K. H. Seong, J. H. Jang, C. G. Kim, T. S. Yeam, K. C. Jung, D. S. Lee, "Effects of Gyung - Rak massage and routine physical activity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profile in obese women", The Journal of Korean Aerobic Exercise, Vol. 16, No. 1, pp. 33-47, (2001). 

  38. K. R. Kim, H. S. Bang, "The Effects of Abdominal Massage on the Body Composition, Cardiorespiratory Functions, Isokinetic Articular Muscle Functions and Serum Lipids in Obese Wome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55, No. 5, pp. 419-432, (2011). 

  39. E. S. Yoon, S. J. Jung, S. Y. Jae,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and brachial artery endothelium-dependent flow mediated vasodilation in obese adolescents", Exercise Seience, Vol. 19, No. 2, pp. 165-174, (2010). 

  40. H. K. Kim, S. M. Kang, S. Y. Lee, S. H. Park, K. W. Min, K. A. Han,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with or without Weight Reduction on Endothelial Function in Overweight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 20, No. 3, pp. 129-137, (201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