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출력 전기이중층 캐패시터를 위한 핏치계 활성탄소섬유의 함산소불소화 처리
Oxyfluorination of Pitch-based Activated Carbon Fibers for High Power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8 no.6, 2017년, pp.638 - 644  

정민정 (충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  고윤영 (충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  김경훈 (충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  이영석 (충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 전극용 핏치계 활성탄소섬유의 고출력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불소와 산소 혼합가스의 다양한 불소분압에 따라 함산소불소화 표면처리를 수행하였다. 함산소불소화 처리된 핏치계 활성탄소섬유는 불소 부분압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인 불소관능기의 증가를 보였고, 산소관능기는 증가하였으나 부분압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또한 함산소불소화를 통하여 활성탄소섬유 표면의 식각 반응으로 인하여 비표면적 및 기공부피는 감소하였으나 중간기공 부피는 약 4.5배 증가하였다. 50%의 불소가스 분압으로 처리한 활성탄소섬유의 경우 5와 50 mV/s의 전압주입속도에서 비정전용량이 약 29%와 61%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비정전용량의 향상은 함산소불소화 처리를 통한 활성탄소섬유 표면의 산소 및 불소 관능기의 도입과 중간기공의 증가에 의한 효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tch based activated carbon fibers for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 electrodes were treated by oxyfluorination via varying the ratio of fluorine and oxygen gases to improve high power property. As the partial pressure of fluorine increased, the oxyfluorinated activated carbon fibers sho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전극소재인 핏치계 활성탄소섬유의 고출력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불소와 산소가스의 혼합비를 조절하여 함산소불소화 표면처리를 수행하였다. 함산소불소화처리는 핏치계 활성탄소섬유의 기공벽을 식각시켜 비표면적 및 기공부피를 감소시키며 산소와 불소관능기를 도입시켰다.
  • 다양한 이종 관능기 중 산소 관능기인 퀴논형 그룹(C=O)은 산화, 환원 반응을 통하여 다공성 탄소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알려져있다[9,10]. 이러한 산소 관능기를 탄소소재에 도입하는 방법에는 산처리, 산화처리 등이 있는데, 본 실험에서는 불소와 산소를 혼합한 가스를 사용하는 함산소불소화 방법을 이용하여 EDLC 전극물질인 핏치계 활성탄소섬유를 표면처리를 수행하고자 한다[11-13]. 함산소불소화는 기상불소화 방법 중의 하나로, 전극 물질에 불소와 산소 관능기를 동시에 도입할 수 있는 매우 독특한 표면처리 방법이다[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소가 탄소소재의 전기화학적 친화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유는? 함산소불소화는 기상불소화 방법 중의 하나로, 전극 물질에 불소와 산소 관능기를 동시에 도입할 수 있는 매우 독특한 표면처리 방법이다[14]. 불소는 전기음성도가 크기 때문에 탄소소재의 전기화학적 친화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15]. 뿐만 아니라 다공성 탄소재료의 기공특성을 변화시키는 표면처리 방법이므로 함산소불소화 표면처리를 통하여 다공성 탄소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15].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란?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or, EDLC)는 전극과 전해질 계면에 형성되는 전기이중층에서 전하를 띤 이온들이 물리적으로 흡⋅탈착되는 원리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저장, 방출하는 장치이다. 때문에 매우 높은 출력 밀도를 가지며 사용 온도 범위와 전압범위가 넓고, 충전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진다[1,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장점은?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or, EDLC)는 전극과 전해질 계면에 형성되는 전기이중층에서 전하를 띤 이온들이 물리적으로 흡⋅탈착되는 원리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저장, 방출하는 장치이다. 때문에 매우 높은 출력 밀도를 가지며 사용 온도 범위와 전압범위가 넓고, 충전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진다[1,2]. 또한, 충⋅방전 반복이 반영구적이고 사용 중 추가적인 유지보수가 불필요하며 탄소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공해 유발의 위험성이 극히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현재 매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H. Ji, X. Zhao, Z. Qiao, J. Jung, Y. Zhu, Y. Lu, L. L. Zhang, A. H. MacDonald, and R. S. Ruoff, Capacitance of carbon-based electrical double-layer capacitors, Nat. Commun., 5, 3317 (2014). 

  2. N. L. Torad, R. R. Salunkhe, Y. Li, H. Hamoudi, M. Imura, Y. Sakka, C. C. Hu, and Y. Yamauchi,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based on highly graphitized nanoporous carbons derived from ZIF-67, Chem. Eur. J., 20, 7895-7900 (2014). 

  3. D. Bhattacharjy and J. S. Yu, Activated carbon made from cow dung as electrode material for electrochemical double layer capacitor, J. Power Sources, 262, 224-231 (2014). 

  4. L. Wei and G. Yushin, 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ors with activated sucrose-derived carbon electrodes, Carbon, 49, 4830-4838 (2011). 

  5. Q. Li, F. Liu, L. Zhang, B. J. Nelson, S. Zhang, C. Ma, X. Tao, J. Cheng, and X. Zhang, In situ construction of potato starch based carbon nanofiber/activated carbon hybrid structure for high-performance 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or, J. Power Sources, 207, 199-204 (2012). 

  6. M. J. Jung, E. Jeong, S. Cho, S. Y. Yeo, and Y. S. Lee, Effects of surface chemical properties of activated carbon modified by amino-fluorination for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 J. Colloid Interface Sci., 381, 152-157 (2012). 

  7. J. W. Lim, E. Jeong, M. J. Jung, S. I. Lee, and Y. S. Lee, Preparation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ctivated carbon electrode by amino-fluorination, Appl. Chem. Eng., 22, 405-410 (2011). 

  8. C. Lei, N. Amini, F. Markoulidis, P. Wilson, S. Tennison, and C. Lekakou, Activated carbon from phenolic resin with controlled mesoporosity for an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 (EDLC), J. Mater. Chem. A, 1, 6037-6042 (2013). 

  9. V. Gupta and N. Miura, Polyaniline/single-wall carbon nanotube (PANI/SWCNT) composites for high performance supercapacitors, Electrochim. Acta, 52, 1721-1726 (2006). 

  10. E. R. Thomas, D. Hulicova-Jurcakova, Z. Zhu, and G. Q. Lu, Nanoporous carbon electrode from waste coffee beans for high performance supercapacitors, Electrochem. Commun., 10, 1594-1597 (2008). 

  11. E. Lee, S. H. Kwon, P. Choi, J. C. Jung, and M. S. Kim,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activated carbon electrode materials with various post treatments for EDLC, Korean J. Mater. Res., 24, 285-292 (2014). 

  12. J. G. Wu, I. P. Hong, S. M. Park, S. Y. Lee, and M. S. Kim,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EDLC electrodes prepared by acid and heat treatment of commercial activated carbons, Carbon Lett., 9, 137-144 (2008). 

  13. M. J. Jung, H. R. Yu, D. Lee, and Y. S. Lee, Effect of boric acid treatment 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phenol-based activated carbon, Appl. Chem. Eng., 24, 201-207 (2013). 

  14. Y. S. Lee and B. K. Lee, Surface properties of oxyfluorinated PAN-based carbon fibers, Carbon, 40, 2461-2468 (2002). 

  15. M. J. Jung, E. Jeong, S. Kim, S. I. Lee, J. S. Yoo, and Y. S. Lee, Fluorination effect of activated carbon electrodes on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J. Fluor. Chem., 132, 1127-1133 (2011). 

  16. M. J. Kim, M. J. Jung, S. S. Choi, and Y. S. Le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chromium ion at low concentration using oxyfluorinated activated carbon fibers, Appl. Chem. Eng., 26, 432-438 (2015). 

  17. R. Hesse, P. Streubel, and R. Szargan, Product or sum: comparative tests of Voigt, and product or sum of Gaussian and Lorentzian functions in the fitting of synthetic Voigt-based X-ray photoelectron spectra, Surf. Interface Anal., 39, 381-391 (2007). 

  18. C. Popov, M. F. Plass, A. Bergmaier, and W. Kulisch, Synthesis of carbon nitride films by low-power inductively coupled plasma- activated transport reactions from a solid carbon source, Appl. Phys. A, 69, 241-244 (1999). 

  19. A. Tressaud, E. Durand, and C. Labrugere, Surface modification of several carbon-based materials: comparison between $CF_4$ rf plasma and direct $F_2$ -gas fluorination routes, J. Fluor. Chem., 125, 1639-1648 (2004). 

  20. R. B. Mathur, V. Gupta, O. P. Bahl, A. Tressaud, and S. Flandrois, Improvement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acrylonitrile (PAN)-based carbon fibers after fluorination, Synth. Met., 114, 197-200 (2000). 

  21. Y. S. Lee and B. K. Lee, Surface properties of oxyfluorinated PAN-based carbon fibers, Carbon, 40, 2461-2468 (2002). 

  22. M. J. Jung, J. W. Lim, I. J. Park, and Y. S. Lee, Fluorination of polymethylmethacrylate (PMMA) film and its surface characterization, Appl. Chem. Eng., 21, 317-322 (2010). 

  23. A. Bismarck, R. Tahhan, J. Springer, A. Schulz, T. M. Klapotke, H. Zell, and W. Michaeli, Influence of fluorination on the properties of carbon fibres, J. Fluor. Chem., 84, 127-134 (1997). 

  24. G. Milczarek, A. Ciszewski, and I. Stepniak, Oxygen-doped activated carbon fiber cloth as electrode material for electrochemical capacitor, J. Power Sources, 196, 7882-7885 (2011). 

  25. B. Xu, F. Wu, R. Chen, G. Cao, S. Chen, and Y. Yang, Mesoporous activated carbon fiber as electrode material for high-performance electrochemical double layer capacitors with ionic liquid electrolyte, J. Power Sources, 195, 2118-2124 (2010). 

  26. S. J. Gregg and K. S. W. Sing, Adsorption, Surface Area and Porosity (2nd ed.), Academy Press, London, UK (1982). 

  27. K. Laszlo, Adsorption from aqueous phenol and aniline solutions on activated carbons with different surface chemistry, Colloid Surf. A, 265, 32-39 (2005). 

  28. E. Jeong, M. J. Jung, and Y.-S. Lee, Role of fluorination in improvement of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activated carbon nanofiber electrodes, J. Fluor. Chem., 150, 98-103 (2013). 

  29. M. J. Jung, E. Jeong, and Y. S. Lee, The surface chemical propertie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odified by thermal fluorination for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 Appl. Surf. Sci., 347, 250-257 (2015). 

  30. K. L. Yang, S. Yiacoumi, and C. Tsouris, Electrosorption capacitance of nanostructured carbon aerogel obtained by cyclic voltammetry, J. Electroanal. Chem., 540, 159-167 (2003). 

  31. Y. H. Lee, K. H. Chang, and C. C. Hu, Differentiate the pseudocapacitance and double-layer capacitance contributions for nitrogen- doped reduced graphene oxide in acidic and alkaline electrolytes, J. Power Sources, 227, 300-308 (2013). 

  32. M. Ramani, B. S. Haran, R. E. White, and B. N. Popov,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hydrous ruthenium oxide-carbon supercapacitors, J. Electrochem. Soc., 148, A374-A380 (2001). 

  33. M. J. Jung E. Jeong, J. W. Lim, S. I. Lee, and Y. S. Lee, Physico-chemical surface modification of activated carbon by oxyfluorination and its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Colloid Surf. A, 389, 274-280 (2011). 

  34. W. Xiong, M. Liu, L. Gan, Y. Lva, Y. Li, L. Yang, Z. Xu, Z. Hao, H. Liu, and L. Chen, A novel synthesis of mesoporous carbon microspheres for supercapacitor electrodes, J. Power Sources, 196, 10461-10464 (2011). 

  35. M. Endo, T. Takeda, Y. J. Kim, K. Koshiba, and K. Ishii, Supercapacitor electrodes from new ordered porous carbon materials obtained by a templating procedure, Carbon Lett., 1, 117-128 (2001). 

  36. M. J. Jung, E. Jeong, Y. Kim, and Y. S. Lee, Influence of the textual properties of activated carbon nanofibers on the performance of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J. Ind. Eng. Chem., 19, 1315-1319 (2013). 

  37. C. Vix-Guterl, S. Saadallah, K. Jurewicz, E. Frackowiak, M. Reda, J. Parmentier, J. Patarin, and F. Beguin, Supercapacitor electrodes from new ordered porous carbon materials obtained by a templating procedure, Mater. Sci. Eng. B, 108, 148-155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