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일옥 옥수수의 영양성분, 카로티노이드 함량분석 및 생리활성 평가
Assessment of Nutritional Components, Carotenoid Content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Maize Hybrid for Grain 'Kangilok'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2 no.6, 2017년, pp.513 - 520  

이기연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김재은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홍수영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김태희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박아름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노희선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김시창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박종열 (강원도농업기술원 옥수수연구소) ,  안문섭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김희연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마치종 황색 알곡 품종으로 등록된 강일옥 옥수수 알곡의 처리별 시료 및 속대의 일반성분, 생리활성 검정, 색소 함량을 분석하여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강일옥 옥수수를 알곡, 거피된 알곡, 알곡 껍질 및 속대로 분리하여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거피된 알곡이 12.04%로 가장 높았고 알곡 껍질의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3.19%, 8.59%, 12.01%로 강일옥 옥수수 처리별 시료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강일옥 옥수수 처리별 시료의 무기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칼슘, 칼륨, 마그네슘, 철, 망간 및 인의 6종이 검출되었으며 공통적으로 검출된 주요 무기성분은 칼륨과 인이었다. 강일옥 옥수수 속대의 칼륨 함량이 114.33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알곡 껍질의 인 함량이 2412.40 mg/100 g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강일옥 옥수수 처리별 시료의 항산화 활성 검정 결과, 강일옥 옥수수 속대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93.05%, ABTS radical 소거능은 79.88%로 처리별 시료 중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알곡, 거피된 알곡 및 알곡껍질 추출물의 DPPH 소거능은 모두 70% 이상으로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강일옥 옥수수 처리별 시료의 항염 활성 검정 결과, 강일옥 옥수수 처리별 시료 추출물은 Raw264.7 대식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NO 생성량은 모든 시료 처리군에서 LPS 단독 처리군(con(+))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NO 생성을 억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일옥 옥수수 처리별 건조분말시료의 카로티노이드 색소 함량을 분석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beta}$-carotene은 검출되지 않았고, lutein과 zeaxantin은 알곡과 알곡 껍질에서 검출되었으며 거피된 알곡과 속대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강일옥 옥수수 알곡의 lutein과 zeaxantin의 함량은 각각 $115.30{\mu}g$/100 g, $50.92{\mu}g$/100 g이었으며 알곡껍질의 lutein과 zeaxantin의 함량은 각각 $37.98{\mu}g$/100 g, $19.27{\mu}g$/100 g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basic data of 'Kangilok'.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orth of 4 parts of maize hybrid for grain, 'Kangilok' for functional foods. The 4 parts are kernels, dehulled kernels, skin of kernels and cobs of 'Kangilok'. We evaluated moisture, crude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마치종 황색 알곡 품종으로 등록된 강일옥 옥수수의 일반성분 분석, 생리활성 검정 및 색소 함량을 분석을 통하여 향후 기능성 식품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옥수수를 어떻게 구분하는가? 최근 국내 식용 옥수수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재배면적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기후 및 토양에 대한 적응력이 우수하여 우리나라 전역에서 재배가 가능하고 특히 강원도 지역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다 2,3).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옥수수는 알곡의 색차이로 흰색, 노란색, 적색, 자색, 흑색 등으로 구분되고, 종실 특성에 따라 사료용으로 사용되는 마치종, 저장성이 높은 경립종, 가공용으로 사용되는 연립종, 튀김용으로 사용되는 폭렬종, 당분 함량이 높은 감미종 등으로 구분된다 4,5). 옥수수 중에서 황색 마치 종이 대부분의 제품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황색 마치종 이외의 다른 품종들의 색소, 식이섬유, 단백질 원료 등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6,7).
강일옥 옥수수는 무엇인가? 옥수수 중에서 황색 마치 종이 대부분의 제품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황색 마치종 이외의 다른 품종들의 색소, 식이섬유, 단백질 원료 등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6,7). 본 연구에 사용된 강일옥은 강원도 농업기술원 옥수수연구소에서 2005년도에 품종 등록되었으며 단교잡종 옥수수로서 종실은 마치종이고 알곡 과피색은 황색인 종실용 옥수수 이다. 잡종강세를 이용한 단교잡종이므로 매년 갱신된 F1종자를 사용하여 재배하여야 하며 습해를 방지하기 위해 강우 시 배수 관리에 주의해야하는 특성이 있다.
강일옥 옥수수를 대상으로 한 2종류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는 어떠한가? 88%로 처리별 시료 중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알곡, 거피된 알곡 및 알곡껍질 추출물(10 mg/mL)의 DPPH 소거능은 모두 70% 이상으로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같은 추출물을 대상으로 2종류의 radical 소거 능을 측정한 결과, 상대적으로 ABTS radical 소거능 보다 DPPH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Yu M.H., Kim E.O., Choi S.W.: Quantitative change of 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s and anthocyanin in corn (Zea may L.) according to cultivars and heat process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843-852 (2010). 

  2. Jung T.W., Song S.Y., Son B.Y., Kim J.T., Baek S.B., Kim C.K., Kim S.I., Kim S.J., Kim S.K., Park K.J., Shin H.M., Huh C.S.: A black waxy hybrid corn, "Heukjinjuchal" with good eating quality. Korean J. Breed Sci., 41, 599-602 (2009). 

  3. Ryu H.S.: Effects of a corn extract on mouse splenocyte and cytokine production by peritoneal macrophages. Korean J. Food & Nutr., 24(1), 65-70 (2011). 

  4. Li C.Y.: Antioxidant effect of anthocyanins from purple corn and its application to food.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2008). 

  5. Hyun Y.H., Nam H., Pyun J.W.: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prepared glutinous corn flour. Korean J. Food & Nutr., 21, 293-299 (2008). 

  6. Shukla R., Cheryan M.: Zein: the industrial protein from corn. Ind. Crop. Prod., 13, 171-192 (2001). 

  7. Zilic S., Milasinovic M., Terzic D., Barac M., Ignjatovic- Micic D.: Grain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of maize specialty hybrids. Span. J. Agric. Res., 9, 230-241(2011). 

  8. Lee K.Y., Kim J.U., Hong S.Y., Noh H.S., Kim S.C., Park J.Y., Ahn M.S., Kim H.Y.: Effect of Saekso 2 corn kernels and cobs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in rats fed high fatcholesterol diet. J. Food Hyg. Saf., 31(6), 399-405 (2016). 

  9. Ku K.M., Kim S.K., Kang Y.H.: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corn silk (Zea mays L.). Korean J. Plant Res., 22(4), 323-329 (2009). 

  10. Shin K.O., Kim Y.H., Lee K.W., Choi K.S.: Effect of in vitro antioxidant properties and extract of corn husk on serum lipids in m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2), 261-269 (2015). 

  11. Lee H.M., Chang U.J.: Effect of corn peptide on the lipid metabolism in rats. Korean J. Dietary Culture, 16(5), 416-422 (2001). 

  12. Kim M.J., Park H.J., Kim S.L., Jung G.H., Kim J.T., Shin S.H., Kwon Y.U., Chung I.M.: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weet corn kernels during grain filling stage with different sowing date. Korean J. Crop Sci., 59, 445-456 (2014). 

  13. Lee S.H., Hwang I.G., Kim H.Y., Lee H.K., Lee S.H., Woo S.H., Lee J.S., Jeong H.S.: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aehak waxy corns with different harvest ti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5), 719-724 (2010). 

  14. Lee Y.Y., Lee C.K., Lee J.S., Kim M.J., Kim S.L., Kim Y.H., Park H.M., Kim W.H., Kwon Y.U., Kim S.K.: Comparison on physicochemical and cooking properties of milled kernel in waxy corn hybrids. Korean J. Crop Sci., 58, 424-431 (2013). 

  15. Son B.Y., Moon H.G., Jung T.W., Kim S.J., Sung B.R., Huh C.S., Ryu S.H.: A new corn hybrid cultivar, "angdaok" for silage. Korean J. Breed. Sci., 38, 149-150 (2006). 

  16. Moon H.G., Son B.Y., Cha S.W., Jung T.W., Lee Y.H., Seo J.H., Min H.K., Choi K.J., Huh C.S., Kim S.D.: A new single cross hybrid for silage "Kwangpyeongok". Korean J. Breed. Sci., 33, 350-351 (2001). 

  17. Son B.Y., Moon H.G., Jung T.W., Kim S.J., Kim J.D.: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of different corn hybrids for silage. Korean J. Crop Sci., 51, 233-238 (2006). 

  18. Jeong G.H., Kim M.J., Son B.Y., Kim S.L., Yoon M.R., Kwak J.E., Choi I.D., Kwak K.S., Lee C.K.: Characterization of chemical compositions on kernel of Korean maize hybrids. Korean J. Breed. Sci., 48(4), 450-459 (2016). 

  19. Food standards codex,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II(10), pp. 1-33 (2011). 

  20.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sis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80 (1990). 

  21. Food standards codex,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II(10), pp. 56-58 (2011). 

  22. Blois M.A.: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200 (1958). 

  23. Pellegrin N., Re R., Yang M., Rice-Evans C.: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 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 379-389 (1998). 

  24. Byun S.H., Yang C.H., Kim S.C.: Inhibitory effect of Scrophulariae Radix extract on TNF- ${\alpha}$ , IL-1 ${\beta}$ , IL-6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aride-activated Raw264.7 cells. Kor. J. of Herbol., 20, 7-16 (2005). 

  25. Seo Y.H., Kim I.J., Min H.K., Rhee H.I., Park J.Y.: Fatty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y in waxy corn (Zea mays L.) F1'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15-1420 (1990). 

  26. Watson S.A.: Description, development,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the corn kernel. In Corn: Chemistry and Technology, 2nd ed.; White J, Johnson L, Eds.; AACCH: St. Paul, MN, pp. 69-101 (2003). 

  27. Song E.M., Kim H.Y., Lee S.H., Woo S.H., Kim H.S., Kyung K.S., Lee J.S., Jeong H.S.: Chemical componen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waxy corns cultured by conventional and environmentally-friendly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62-968 (2011). 

  28.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9th versionII,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Wanju, Korea. pp. 36-37 (2016). 

  29. Cho M.H., Lee D.J., You S.G.: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and solvent partitioned fractions from various red seaweeds. Ocean and Polar Research, 34, 445-451 (2012). 

  30. Moon H.I., Ahn K.T., Lee K.R., Zee O.P.: Flavonoid compounds and biological activities on the aerial parts of Angelica gigas. Yakhak Hoeji, 44, 119-127 (2000). 

  31. Ryu J.H., Ahn H., Kim J.Y., Kim Y.K.: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s on nitric oxide synthesis in LPS-activated macrophages. Phytother Res., 17, 485-489 (2003). 

  32. Lee B.H., Baik D.S., Yun S.U., Shin J.M., Kim J.H., Yun S.Y., Kim B.H., Kim S.B., Shin J.E., Song I.H.: Peripheral nitric oxide activity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Korean J. Med., 73, 251-257 (2007). 

  33. Lee S.H., Suh S.J., Lee K.H., Yang J.B., Choi S.U., Park S.S.: Anti-inflammatory effect of peel extracts from citrus fruits. J. Food Hyg. Saf., 28, 342-348 (2013). 

  34. Lee S.J., Shin J.H., Lee H.J., Tak H.M., Kang M.J., Sung N.J.: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f functional plant materials. J. Life Sci., 23, 859-878 (2013). 

  35. Masferrer J.L., Zweifel B.S., Manning P.T., Hauser S.D., Leahy K.M., Smith W.G., Lsakson P.C., Seibert K.: Selective inhibition of inducible cyclooxygenase 2 in vivo is antiflammatory and nonulcerogenic. Proc. Natl. Acad. Sci., 99, 3228- 3232 (1994). 

  36. Poneleit C.G.: Specialty corns, Second edition. Breeding white endosperm corn. CRC Press, Florida, pp. 225-262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