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euconostoc mesenteroides를 이용한 브로콜리 발효물에 의한 Clostridium difficile의 생육 제어
Growth Inhibition of Clostridium difficile by Fermented Broccoli with Leuconostoc mesenteroide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2 no.6, 2017년, pp.531 - 535  

이영덕 (서원대학교 식품공학과) ,  문기성 (한국교통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부터 L. mesenteroides CJNU0041을 분리하여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으며, ${\beta}$-glucosidase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L. mesenteroides CJNU0041를 이용한 브로콜리 발효 동안 생균수와 pH 및 ${\beta}$-glucosidase 활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발효 시간은 48 hours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발효 후 생물 전환이 일어남을 HPLC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L. mesenteroides CJNU0041의 브로콜리 발효물에서 C. difficile에 대한 생육 억제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분리된 신규 L. mesenteroides CJNU0041을 C. difficile의 생육 제어를 위한 유산균 제재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브로콜리 발효물도 다양한 식품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Leuconostoc mesenteroides CJNU0041 was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ood kimchi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fermented broccoli with the isolate was tested against pathogenic Clostridium difficile. L. mesenteroides CJNU0041 showed higher glucosidase activity than other isolat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최근 다양한 임상 결과를 통해 probiotics와 이것들이 생산하는 bacteriocin 등의 물질들이 다양한 질환들에 대해 예방적 효과와 치료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 difficile의 제어를 위해 김치로부터 신규의 Leuconostoc mesenteroides를 분리하였고, 이를 이용한 브로콜리 발효물을 제조하여 C. difficile 억제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 difficile의 주요 감염원인은? C. difficile의 주요 감염원인은 암피실린(ampicillin), 아목시실린(amoxicillin),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 등과 같은 광범위한 항생제의 남용에 의한 결과로서, 이와 같은 항생제들은 C. difficile의 과증식을 유도하고, 증식된 C.
Clostridium difficile의 특징은? Clostridium difficile은 혐기성 그람양성 세균이며 포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장내에서 증식하며 다양한 병원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장 내에서 과증식 할 경우 독소를 생성하면서 급성 대장염 등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국내에서는 1997년대에 위막성 대장염 환자에게서 C.
CDAD를 일으키는 독성 인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그리고, C. difficile에 의한 독성 인자로는 대표적으로 장독소(enterotoxin)인 toxin A와 세포독소(cytotoxin)인 toxin B를 생산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8). 최근 이러한 CDAD를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 반코마이신(vancomycin),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등과 같은 항생제를 사용하여 일차적으로 치료하고 있으나, 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해 C.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Jashaami, L.S., DuPont, H.L. Management of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Gastroenterol. Hepatol. 12, 609-616 (2016). 

  2. Kelly, C.P., Pothoulakis, C., Lamont, J.T. Clostridium difficile colitis. New Engl. J. Med., 330, 257-262 (1994). 

  3. McFarland L.V., Mulligan M.E., Kwok, R.Y., Stamm, W.E. Nocosomial acquisition of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New Engl. J. Med., 320, 204-210 (1989). 

  4. Bartlett, J.G. Clostridium difficile: history of its role as an enteric pathogen and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about the organism. Clin. Infect. Dis. 18, 5265-5275 (1994). 

  5. Cartmill, T.D., Panigrahi, H., Worsley, M.A., McCann, D.C., Nice, C.N., Keith, E. Management of diarrhoea due to Clostridium difficile. J. Hosp. Infect. 27, 1-15 (1994). 

  6. Freeman, J., Wilcox, M.H. Antibiotics and Clostridium difficile. Microbes Infect. 1, 377-384 (1999). 

  7. Ackermann, G., Loffler, B., Tang-Feldman, Y.J., Cohen, S.H., Silva, J., Rodloff, A.C. Cloning and expression of Clostridium difficile toxin A gene(tcdA) by PCR amplication and use of an expression vector. Mol. Cell. Probe 18, 271- 274 (2004). 

  8. Pothoulakis, C. Effect of Clostridium difficile toxins on epithelial cell barrier. Ann. NY Acad. Sci. 915, 347-356 (2000). 

  9. Jung, S.M., Choi, S.I., Park, S.M. Heo, T.R. Antimicrobial Effect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s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64- 568 (2007). 

  10. Leroy, F. De Vuyst, L. Lactic acid bacteria as functional starter cultures for the food fermentation industry. Trends Food Sci. Technol., 15, 67-78 (2004). 

  11. Vyas, U., Ranganathan, N. Probiotics, prebiotics, and synbiotics: Gut and beyond. Gastroenterol. Res. Pract., 2012, 1- 16 (2012). 

  12. Jeppsson, B., Mangell, P., and Thorlacius, H.: Use of probiotics as prophylaxis for postoperative infections. Nutri., 3, 604-612 (2011). 

  13. Wallace, T.C., Guarner, F., Madsen, K., Cabana, M.D., Gibson, G., Hentges, E., and Sanders, M.E.: Human gut microbiota and its relationship to health and disease. Nutr. Rev., 69, 392-403 (2011). 

  14. Rodriguez, H., Curiel, J.A., Landete, J.M., de las Rivas, B., de Felipe, F. L., Gomez-Cordoves, C., Mancheno, J.M., Munoz, R.. Food phenolics and lactic acid bacteria. Int. J. Food Microbiol., 132, 79-90 (2009). 

  15. Chi, H., Kim, D.H., and Ji, G.E. Transformation of ginsenosides Rb2 and Rc from Panax ginseng by food microorganisms. Biol. Pharm. Bull., 28, 2102-2105 (2005). 

  16. Kim, H.S., Kim, J.Y., Park, M.S., Zheng, H., Ji, G.E.. Cloning and expression of ${\beta}$ -glucuronidase from Lactobacillus brevis in E. coli and application in bioconversion of baicalin and wogonoside. J. Microbiol. Biotechnol., 19, 1650-1655 (2009). 

  17. Rekha, C.R., Vijayalakshmi, G. Bioconversion of isoflavone glycosides to aglycones, mineral bioavailability and vitamin B complex in fermented soymilk by probiotic bacteria and yeast. J. Appl. Microbiol., 109, 1198-1208 (2010). 

  18. Holzapfel, W.H., Schillinger, U...The genus Leuconostoc. The prokaryotes (Balows, A., Truper, H.G., Dworkin, M., Harder, W., K.H.S chleifer, eds.). Springer-Verlag, Berlin, 1508-1534 (1992). 

  19. Vijayendra, S.V.N., Palanivel, G., Mahadevamma, S., Tharanathan, R.N..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n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a non-ropy strain of Leuconostoc sp. CFR 2181 isolated from dahi, an Indian traditional lactic acid fermented milk product. Carbohydr. Polym., 72, 300-307 (2008). 

  20. Kim, Y.H., Kim, H.J., Kin, J.Y., Choi, T.B., Kang, S.M. Strain Improvement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s a Acid-Resistant Mutant and Effect on Kimchi fermentation as a Starter.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3, 41-5 (2005). 

  21. Pepin, J. 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diarrhea in a region of Quebec from 1991 to 2003: a changing pattern of disease severity. Cmaj., 171, 466-72 (2004). 

  22. Dallal, R.M. Fulminant Clostridium difficile: an underappreciated and increasing cause of death and complications. Ann. Surg., 235, 363-72 (2002). 

  23. Byun, T.J.,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ing epidemiology of 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disease (CDAD). Korean J. Gastroenterol., 54, 13-9 (2009). 

  24. Cheong, H.S. Therapeutic efficacy of metronidazole for patients with 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diarrhea. Korean J Med., 72, 639-646 (2007). 

  25. Kim, S.J.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oxin A-negative, toxin B positive variant strains of Clostridium difficile isolated in Korea. Diagn. Microbiol. Infect. Dis., 67, 198-201 (2010). 

  26. Naaber, P., Smidt, I., Jelena t epetova, Brilene. T., Annuk, H., Mikelsaar M. Inhibition of Clostridium difficile strains by intestinal Lactobacillus species. J. Med., Microbiol. 53, 551-554 (2004). 

  27. Ratsep, M., Naaber, P., Koljalg, S., Smidt, I., Shkut, E., Sepp, E.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on Clinical Isolates of Clostridium difficile in vitro. J. Prob. Health., 2014, 1-5 (2014). 

  28. Rea, M.C., Alemayehu, D., R. Ross, P., Hill, C. Gut solutions to a gut problem: bacteriocins, probiotics and bacteriophage for control of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J. Med. Microbiol., 62, 1369-1378 (2013). 

  29. Jung, S.M., Choi, S.I., Park, S.M., Heo, T.R.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s and Bifidobacterium Supernatants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64-568 (2007). 

  30. Lee, J.S., Chung, M.J., Seo, J.G. In Vitro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Toxicol. Res., 29, 99-106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