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적 분석에 의한 은해사 괘불탱의 상태 및 재료 해석
Scientific Study of Characteristics and Material Properties of Hanging Painting of Eunhaesa Temple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5 no.6, 2019년, pp.689 - 700  

이은우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경유진 (성보문화재연구원) ,  윤지현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권윤미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송정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서민석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이장존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은해사에 소장되어 있는 보물 제1270호 은해사 괘불탱에 대한 과학적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여 보존 상태, 재질 및 채색 안료 등에 대한 성격과 특징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대상의 미술사적 배경을 짚어보고 보존적 측면의 상태조사 및 안료 색상별 재료적 특성을 알기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백, 연단, 활석, 진사, 석황, 금, 녹염동광, 공작석, 회청 등의 무기안료와 먹 등의 유기염료를 사용하여 다채로운 색을 구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바탕화면은 조선시대 불화의 재료로 흔치 않은 초(綃)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백색 채색층은 여러 종류의 백색계열의 안료를 사용한 형태로 이는 괘불탱 백색 채색으로는 드문 사례라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rved state, materials, and colored pigments of a Buddhist painting of Eunhaesa temple(gwaebultaeng), which is Treasure No. 1270 of Korea, through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analysis.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영천시 은해사에 소장되어 있는 보물 제1270호 은해사 괘불탱(銀海寺 掛佛幀)에 대한 과학적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여 보존 상태, 재질 및 채색 안료 등에 대한 성격과 특징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17세기 괘불탱 제작기법과 재료 분석 데이터를 확보하고 향후 조선시대 채색기법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영천시 은해사에 소장되어 있는 보물 제1270호 은해사 괘불탱(銀海寺 掛佛幀)에 대한 과학적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여 보존 상태, 재질 및 채색 안료 등에 대한 성격과 특징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17세기 괘불탱 제작기법과 재료 분석 데이터를 확보하고 향후 조선시대 채색기법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보물 제1270호로 지정된 은해사 괘불탱은 당시 유행한 아미타불과 관련된 판본을 수용한 괘불탱으로서 연구 및 보존적 가치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은해사 괘불탱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괘불탱의 상태, 제작에 사용된 직물과 안료의 성격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Gyeong, Y.J., 2019, A study on jangeomsin gwaebul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166-1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Han, M.S. and Hong, J.O., 2003, A study on the analysis of ancient pigments - Focus on the Buddha pigments at the Ssanggye temple. Conservation Studies, 24, 131-1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Jeong, M.H., 2004, A study on the gwaebul painting of the late Joseon dynasty.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243, 159-1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Lee, J.J., Ahn, J.Y., Yoo, Y.M., Lee, K.M. and Han, M.S., 2017, Diagnosis of coloration status and scientific analysis for pigments to used large Buddhist painting (gwaebultaeng) in Tongdosa templ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3(6), 431-4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Lee, J.J., Gyeong, Y.J., Lee H.S. and Seo, M.S., 2019, Scientific analysis research on the art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painting pigments of gwaebultaeng in Boeun Beopjusa temple. Bulkyomisulsahak 28, 523-5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Moon, S.Y., 2010, A study of pigments applied on paintings since the mid-Joseon dynasty. Ph.D.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60-2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4, Investigation report for hanging paintings of Korea III. 178-210. (in Korean) 

  8. National Museum of Korea, 2007, Buddhist hanging scroll at Buseoksa. 37-46. (in Korean) 

  9. Park, J.S., 2013, Korean Gwaebultaengs and their materials and techniques. Dongak Art History, 15, 327-3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RRUFF, 2019a, Source by James Shigley. http://rruff.info/cinnabar/displaydefault/R070532 (November 24, 2019) 

  11. RRUFF, 2019b, Source by University of Arizona Mineral Museum 11828. http://rruff.info/cinnabar/displaydefault/R070532 (November 24, 2019) 

  12. Seong, M.J., 2018, A study on the Yeombul-Wangsaeng cheobgyeongdo of Eunhaesa.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99-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Sim, Y.O., 2002, 5000 years of Korean textiles. Institute for Studies of Ancient Textiles, 71-72. 

  14. Song, Y.N. and Kim G.H., 2014, A consideration of pigments name on ceremonial writing of Youngsan ritual ceremony gwaebultaeng, Bongjeongs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0(1), 13-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Youngcheon-si, Eunhaesa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of Gochang, 2011, The Buddha painting in Eunhaesa temple.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