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찰에 사용된 적색 및 녹색안료의 종류와 입자특성 분석
Species and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for Traditional Red and Green Pigments used in Temples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0 no.4, 2014년, pp.365 - 372  

유영미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한민수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이장존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찰의 단청 등 회화에 사용된 적색과 녹색안료에 대해 그 종류를 밝혀내고, 이들의 광물입자 특성을 관찰하여 서로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성분분석 결과, 적색안료는 진사(Cinnabar)와 석간주(Hematite), 연단(Minium) 등 3가지 종류가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녹색안료는 녹염동광(Atacamite)과 뇌록석(Celadonite) 그리고, 일부 석록(Malachite)이 확인되었다. 이는 사찰별로 독특한 안료를 사용하였다기 보다는 다양한 종류의 안료를 회화의 특성에 맞게 모두 이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안료의 입자특성에서는 적색안료 중에서 같은 진사라 할지라도 매끄럽거나 길쭉하고 각진모양, 판상 등 자형(hedral) 또는 타형(anhedral)의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녹색안료에서도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특히 지금까지 안료의 성분과 결정구조분석을 통해 광물을 확인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왔으나 이에 비해 입자의 형태적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 색상과 종류가 유사한 안료 그룹내에서는 이들을 보다 세밀하게 구분할 수 있고, 인자화 하는데 유리한 방법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termine the species of red and green pigments used on paintings of Korean temples and also to compare the two pigments according to the particle characteristics. The component analysis shows that the red pigment consists of cinnabar, hematite, and minium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찰의 벽화 및 단청에 사용된 적색및 녹색안료의 종류를 성분분석으로 확인하고, 현미경을 이용하여 입자특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입자 형태를 이용하여 실제 시대별, 지역별로 안료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성분분석과 결정구조분석으로 구별이 불가능한 안료의 특성자료를 인자화하고, 지속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할 경우, 고대안료에 대한 해석뿐만 아니라 문화교류를 파악하는데 보조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려 시대에 불화에 어떤 안료가 사용되었는가? 고대 우리나라에서 회화에 사용된 안료의 역사를 보면 고구려 벽화에 주사와 그을음, 황토 등이 사용되었고 (Mazzeo et al. 2005), 고려 시대에는 주사, 석록, 석청 등의 안료가 불화에 사용되었는데, 이후 조선시대에는 광물성 안료보다 간편하고 저렴하며 쉽게 구할 수 있었던 식물성 안료를 많이 사용하였다(Jeong, 2001). 이렇게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서화, 회화, 장신구, 장식품, 무기, 일상용품 등에 사용된 안료 중 현재까지 남아있는 재료는 광물성 무기안료가 대부분이며, 특히 사찰의 벽화 및 단청의 형태로 남아 있어 고대 안료 물질을 밝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안료란 무엇인가? 안료란 미세한 발색물질로 전색제(展色劑)와 함께 사용되어 채색이 되며, 전색제 속에 용해되지 않고 미립자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염료와 대조되는 물질이다(Jeong, 2001; Lee, 2012).
사찰의 단청 등 회화에 사용된 적색과 녹색안료에 대해 그 종류를 밝혀내고, 이들의 광물입자 특성을 관찰하여 서로 비교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사찰의 단청 등 회화에 사용된 적색과 녹색안료에 대해 그 종류를 밝혀내고, 이들의 광물입자 특성을 관찰하여 서로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성분분석 결과, 적색안료는 진사(Cinnabar)와 석간주(Hematite), 연단(Minium) 등 3가지 종류가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녹색안료는 녹염동광(Atacamite)과 뇌록석(Celadonite) 그리고, 일부 석록(Malachite)이 확인되었다. 이는 사찰별로 독특한 안료를 사용하였다기 보다는 다양한 종류의 안료를 회화의 특성에 맞게 모두 이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안료의 입자특성에서는 적색안료 중에서 같은 진사라 할지라도 매끄럽거나 길쭉하고 각진모양, 판상 등 자형(hedral) 또는 타형(anhedral)의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녹색안료에서도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특히 지금까지 안료의 성분과 결정구조분석을 통해 광물을 확인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왔으나 이에 비해 입자의 형태적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 색상과 종류가 유사한 안료 그룹내에서는 이들을 보다 세밀하게 구분할 수 있고, 인자화 하는데 유리한 방법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dong-si, 2004, Dismantlement and Repair Survey Report of Main Building in Bongjeongsa Temple, 67-68. 

  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Research Institute of Sungbo Cultural Heritage, 2010, Temple Murals of South Korea, Vol.38. 

  3. Cho, H.J. and Kim, W.J., 2007, A Study on Conservation Works Trend of Architecture Heritage in Buddhism, Korean Association of Architechture History, 16(3), 45. 

  4. Do, J.Y., 2008, Characterization of Noerog, A Traditional Green Mineral Pigment, J. Miner. Soc. Korea, 21(3), 271-281. 

  5. Do, J.Y., 2009, A Study on Functionality of the Ulreungdo Seokganju as Korean Traditional Red Pigment, J. Miner. Soc. Korea, Vol.22, No.2, 153-162 

  6. Han, K.S., 2001, Pigments of Mural Paintings in Dunhuang Mogao Caves, Art History Association of Korea, 177-197. 

  7. Han, M.S. and Hong, J.O., 2003, A study on the analysis of ancient pigments - Focus on the Buddha pigments at the Ssanggye templ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Vol.24, 131-1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Han, M.S. and Hong, J.O., 2005, A scientific analysis of pigments for the Ilweoloakdo, Conservation Studies,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Vol.26, 165-1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Han, M.S., 2011, A Scientific Analysis of Ancient Pigments on Wall Paintings at Yeongsanjeon in Tongdo Temple Using a Field-XRF,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44, No.3, 132-149. 

  10. Han, M.S., 2011, Scientific Analysis of Traditional Pigments. Tributaries Fabric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76-2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ana Sanyova.Sophie Cersoy.Pascale Richardin.Olivier Laprevote.Philipp Walter.Alain Brunelle, 2011, Unexpected Materials in a Rembrandt Painting Characterized by High Spatial Resolution Cluster-TOF-SIMS Imaging, American Chemical Society, Vol.83, 753-760. 

  12. Jeong, H.S., Byung, G.C. and Hee, S.J., 2011, Pigment Analysis and Conservation Method of Avalokitesvara in Potalaka of Hyeondeungsa, Gapyeong, Conservation Studies, Vol.27, No.2, 223-2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Jeong. J.M., 2001, Materials and Techniques of Korean Painting, Color and Fill in Our Pictures, Hakgojae. 

  14. Kim. H.K., 2002, Focusing on the Pigment Study on Dunhuang Grottoes Murals, Buddhist Archeology, Vol.2, Uiduk University, 21-28. 

  15. Kim, K.H., Song, Y.N., Lim, D.S. and Song, J.J., 2007, The Nondestructive Analysis of the Pigments on the Korean 12-fold screen, Haehakbando-do, Conservation Studies,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Vol.28, 122-1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S.H., 1997, Study on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fluoride considered, Study of Oriental Studies, Vol.2, 233-282. 

  17. Kim. W.R., An. H.J., 2004, History of Korea Art, Contractor 

  18. Michele R. Derrick.Dusan Stulik.James M. Landry, 1999,Infrared Spectroscopy in Conservation Science-ScientificTool for Conservation,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19. Moon, S.Y., Yu, H.S. and Ham, S.W., 2009, A Study on Pigments used to Portrait of Lee Ha-eung(GeumGwan JoBokBon), Hochkultur, Vol.73, 111-134. 

  20. Moon. S.Y., 2007, Woohak Foundation Possession Royal Nectar Pigment Analysis, Cultural properties conservation the 10 years, Yong In University, 207-215. 

  21. Moon, W.S., 2004, Scientific analysis of the pigments gwaebul, Gwaebul,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78-201. 

  22. Park. J.H., Kim. S.J., Kim. S.K., 2011, Analysis of fiber and pigment in Palsapumdo from Hyeonchungsa, Conservation Studies, Vol.32, 76-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Park. J.S., 1999, Scientific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Fluoride, Fluoride in Korea, Vol.18, Research Institute of Sungbo Cultural Heritage, 197-210. 

  24. Rutherford J. Gettens.George L. Stout, 1966, Painting Materials: A Short Encyclopaedia, Dover Publications, Inc., New York. 

  25. R. Mazzeo.E. Joseph.V. Minguzzi.G. Grillini.P. Baraldi, 2005, Scientific Investigations of the Tokhung-ri Mural Paintings of the Koguryo Er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Koguryo Mural Paintings Conservation International Seminar, 3-17. 

  26. Seoul Museum of History, 2009, Pigments Applied On Documentary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8-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Shin, E.J., Han, M.S. and Kang. D.I., 2005, A study on the Red Painting of stone monuments,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38. 

  28. Sin. J.S., 2009, Using the History of Our Country and of the Mineral Pigments, Ceramist, Vol.12, No.4, 98-105 

  29.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 The Survey Report of Hwaeomsa in Gurye, Ministry of Culture and Communications, 1986, 140-145. 

  30. Yu. H.S., 2005, Taejo a given pigment analysis, Jeonju National Museum, 242-26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