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만경험 측정도구의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Birth Experience Assessment Instrument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3 no.4, 2017년, pp.221 - 232  

김현경 (KC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and to describe characteristics of the birth experience assessment instrument. Methods: Literatur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birth experience assessment instrument was examined using a systematic review method. A literature search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정상 분만 경험을 측정하는 도구개발 논문을 체계적 고찰의 방법으로 탐색하여 기존에 개발된 도구의 특징을 과정적, 내용적으로 분석하였다. 도구의 과정적 측면 중 도구를 개발하는 방법적 측면을 논의하고자 한다. 정상 분만의 경험은 매우 다면적이기에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이 1900년대에 이미 유럽국가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 본 연구는 정상 분만 경험과 관련된 측정도구개발 문헌의 질을 평가하고 도구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최종 17개의 논문이 분석되었으며, 분만경험 측정도구의 과정적 특징은 도구개발의 방법적 특징과 도구적 특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고찰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분만간호현실에 근접하고 여성이 경험하는 분만을 실제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기존에 존재하는 도구들이 측정의 주체도 다양하고 가정 분만이나 조산사의 도움을 받는 분만의 비중이 높은 유럽 국가들의 특징이 우리나라의 분만간호 현장과 달라 외국 도구 사용 시 수정 ․ 보완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기에[4,10], 현실에 맞는 도구를 선택하기 위한 안내가 필요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분만경험 측정도구 개발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도구의 특징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구체적인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만에 관한 정보는 어떻게 습득되는가? 17명으로 사회적으로 출산율이 저하되어 한 여성이 일생동안 낳는 아이의 수가 감소하게 되면서 여성 개인에게 분만의 경험은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었다[1]. 여성은 분만에 관한 정보를 지인의 경험, 대중매체, 이전의 분만 경험에 의해 습득하게 되며, 이에 따라 분만 경험에 대한 기대(expectation)가 형성된다[2]. 분만에 대한 경험이 긍정적이면 분만 만족도가 높게 되지만 부정적인 경험을 하게 되면 분만의 만족도는 낮아지게 된다.
모성 사망률과 신생아 사망률을 통해 측정된 분만 간호의 단점은 무엇인가? 과거에 분만 간호의 질은 사회적 건강지표인 모성 사망률과 신생아 사망률을 통하여 측정해 왔다. 이는 사회적 건강수준을 극명하게 드러내지만 여성 개인이 받는 간호의 질과 경험을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과거의 가정 분만에 비해 최근 20년간 분만방식은 기술발전에 의해 변화되어 왔으며, 태아와 모체 모니터기술, 무통 분만기술 등에 의해 산모와 가족의 요구도 달리하게 되었다[2].
분만경험이란? 분만경험(birth experience)이란 분만에 대한 개인적 평가이다[4]. 분만 만족도(birth satisfaction)란 긍정적인 분만경험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tatistics Korea. 2017 population statistics [Internet]. Seoul: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7 [cited 2017 March 2].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A. 

  2. Janssen PA, Dennis CL, Reime B.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care in obstetrics: Measure for testing satisfaction (COMFORTS) scale.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006;29(1):51-60. 

  3. Sandin-Bojo AK, Larsson BW, Hall-Lord ML. Women's perception of intrapartal care in relation to WHO recommendation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8;17(22):2993-3003. 

  4. Martin CH, Fleming V. The birth satisfaction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Care Quality Assurance. 2011;24(2):124-135. 

  5. Ford E, Ayers S, Wright DB. Measurement of maternal perceptions of support and control in birth (SCBI). Journal of Women's Health. 2009;18(2):245-252. 

  6. Mohammad K, Shaban I, Homer C, Creedy D. Women's satisfaction with hospital-based intrapartum care: A Jordanian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2014;6(3):32-39. 

  7. Smith LF. Development of a multidimensional labour satisfaction questionnaire: Dimensions, validity, and internal reliability. Quality in Health Care. 2001;10(1):17-22. 

  8. Harvey S, Rach D, Stainton MC, Jarrell J, Brant 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midwifery care. Midwifery. 2002;18(4):260-267. 

  9. Hodnett ED. Pain and women's 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 of childbirth: A system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2;186(5):160-172. 

  10. Denker A, Taft C, Bergqvist L, Lilja H, Berg M. Childbirth experience questionnaire (CEQ):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ultidimensional instrument.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2010;10:81. 

  11. Uludag E, Mete S. Development and testing of women's perception for the scale of supportive care given during labor. Pain Management Nursing. 2015;16(5):751-758. 

  12. Kim SY, Park JE, Seo HJ, Lee YJ, Jang BH, Son HJ, et al.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 271 p. 

  13. Whiting P, Rutjes AW, Reitsma JB, Bossuyt PM, Kleijnen J. The development of QUADAS: A tool for the quality assessment of studies of diagnostic accuracy included in systematic reviews. BMC Medical Research of Methodology. 2003;3(25):1-13. 

  14. Whiting PF, Rutjes AW, Westwood ME, Mallett S, Deeks JJ, Reitsma JB, et al. QUADAS-2: A revised tool for the quality assessment of diagnostic accuracy studie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11;155(8):529-536. 

  15. Fleiss JL. Statistical methods for rates and proportions. New York, NY: Wiley, John and Sons; 2003. 336 p. 

  16. Redshaw M, Martin CR. Validation of a perceptions of care adjective checklist.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2009;15(2):281-288. 

  17. Sandin Bojo AK, Hall-Lord ML, Axelsson O, Uden G, Wilde Larsson B. Midwifery car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quality based o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classification of care in normal birth.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4;13(1):75-83. 

  18. Cavalho EMP, Gottems LBD, Pires MRGM. Adherence to best care practices in normal birth: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Journal of School of Nursing. 2015;49(6):889-897. 

  19. Fleming SE, Donovan-Batson C, Burduli E, Barbosa-Leiker C, Hollins Martin CJ, Martin CR. Birth Satisfaction Scale/Birth Satisfaction Scale-Revised (BSS/BSS-R): A large scale United States planned home birth and birth center survey. Midwifery. 2016;41:9-15. 

  20. Hollins Martin CJ, Martin CR.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Birth Satisfaction Scale-Revised (BSS-R). Midwifery. 2014;30(6):610-619. 

  21. World Health Organization. Maternal and Newborn Health/Safe Motherhood Unit. Care in normal birth: A practical guide. Geneva: WHO; 1996. 53 p. 

  22. Simbar M, Ghafari F, Zahrani ST, Majd HA. Assessment of quality of midwifery care in labour and delivery wards of selected Kordestan Medical Science University hospital.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Care Quality Assurance. 2009;22(3):266-277. 

  23. Gungor I, Beji NK.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scales for measuring maternal satisfaction in normal and cesarean birth. Midwifery. 2012;28(3):348-357. 

  24. Lavender T, Wallymahmed AH, Walkinshaw SA. Managing labor using partograms with different action lines: A prospective study of women's view. Birth. 1999;26(2):89-96. 

  25. Park KH, Lee SH, Jin BK, Won JS. The effects of labor support behavior (LBS) one-to-one application and partner's delivery participation on the delivery satisfaction and delivery results among mothers who delivered premature birth and low weight infan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2):239-25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