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남자 간호대학생의 학과 적응 유형
Types of Male College of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Their Academic Department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3 no.1, 2017년, pp.108 - 117  

이은주 (백석문화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ale college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their academic department. Methods: Q methodology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subjectivity of the male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their academic department. Fifty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남자 간호대학생들에게 Q방법론을 적용하여 학과 적응에 대한 주관성의 구조에 따라 형성된 유형을 발견하고 각 유형간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학과 적응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를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남자 간호대학생들의 학과 적응에 대한 주관성을 확인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파악하여 유형별로 간호학과의 적응을 돕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남자 간호대학생의 학과 적응의 유형과 그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남자 간호대학생의 학과 적응에 대한 유형을 규명하고 유형별 특성에 따른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최종 36개의 Q표본을 선정하여 남자 간호대학생 50명에게 9점 척도상에 분류하도록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C QUANL Program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 및 교육영역에서 남자 간호대학생들이 경험하는 가장 주된 어려움엔 무엇이 있는가? 간호대학생에게 학과의 적응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많은 에너지가 요구되고 있는데(Min, 2006), 남자 간호대학생은 여자 간호대학생과 비교하여 사고, 인지, 행동의 구조 및 기능이 다를 뿐만 아니라 간호학과의 학습 환경 및 사회적인 편견 등으로 인해 학과적응에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Jeon & Yeom, 2014; Lee, Kim, Doo, An, & Lee, 2005). 학교 및 교육영역에서 남자 간호대학생들이 경험하는 가장 주된 어려움은 세심한 암기와 이해가 필요한 교육과정, 남학생에 대한 간호교육자들의 이해 부족, 여학생 위주의 교수 학습방법 등이었다(Kim, Cho, et al., 2014).
남자 간호사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까닭은 무엇인가? 대한간호협회 발표 자료(Korean Nurses Association [KNA], 2016)에 의하면 간호사 국가시험 합격자 10명 중 1명이 남자 간호대학생으로 남자 간호사가 배출된지 54년 만에 1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사회 전반적으로 간호 전문직에 대한 위상이 향상되고 성 편견이 다소 둔감해지면서 취업이 잘되고 보수가 좋다는 이유로 간호학과를 지원하는 남학생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Jeon & Ju, 2015; Kim, Cho, & Jeon, 2014).
간호사 국가시험 합격자 중 남자 간호대학생의 비율은 얼마나 되는가? 대한간호협회 발표 자료(Korean Nurses Association [KNA], 2016)에 의하면 간호사 국가시험 합격자 10명 중 1명이 남자 간호대학생으로 남자 간호사가 배출된지 54년 만에 1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사회 전반적으로 간호 전문직에 대한 위상이 향상되고 성 편견이 다소 둔감해지면서 취업이 잘되고 보수가 좋다는 이유로 간호학과를 지원하는 남학생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Jeon & Ju, 2015; Kim, Cho, & Jeon,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bushaikha, L., Mahadeen, A., AbdelKader, R., & Nabolsi M. (2014). Academic challenges and positive aspects: Perceptions of male nursing student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61(2), 263-269. 

  2. Chan, Z. C., Chan, Y. T., Yu, H. Z., Law, Y. F., Woo, W. M., & Lam, C. T. (2014). An ethnographical study on the academic experiences of Chinese mal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14(2), 130-136. 

  3. Choi, J., & Park, M. (2013).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method to evaluate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associate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7), 339-349. 

  4. Doo, H., & Kim, Y. (2008). Study on 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subjectivity in their attitude toward job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2), 167-175. 

  5. Ellis, D. M., Meeker, B. J., & Hyde, B. L. (2006). Exploring men’s perceived educational experiences in a baccalaureate program.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5(12), 523-527. 

  6. Jeon, H., & Yeom, E. (2014).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conflicts, academic stress cop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on adaptations to college life among mal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2), 796-807. 

  7. Jeon, K. S., & Ju, H. O. (2015). Career choice of male nursing students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career choice.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2(3), 177-184. 

  8. Jo, B., Yoo, E., Park, S., Jo, A., Park, S., Park, S. et al. (2013).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 self-concept by gender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4), 1718-1727. 

  9. Joo, G., & Choi, Y. (2015). Stress, emotional intelligence,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1), 7300-7309. 

  10. Jung, O. B., & Park, H. J. (2011). Experience on delivery room practice of male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1), 64-76. 

  11. Kelly, N. R., Shoemaker, M., & Steele, T. (1996). The experience of being a male student nurse.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5(4), 170-174. 

  12. Kim, H. K. (2008). Q methodology: Philosophy, theories, analysis, and application. Seoul: Communication Books. 

  13. Kim, M., Cho, S., & Jeon, G. (2014). Barriers and strategies to adaptation among Korean male nursing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2(3), 109-119. 

  14. Kim, M., Ko, S., & Park, E. (2014). Understanding the gender role identity in mal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 223-233. 

  15. Korean Nurse Association. (2016). Over 10,000 male nurses in 54 years. Retrieved February 16, 2016, from KNA web site: http://www.koreanurse.or.kr/board/board_read.php?board_idpress&member_idadmin&exec&no110&category_no&step0&tag&sgroup106&sfloat&position0&mode&findstitle&search 

  16. Lee, D., Baik, S., & Choi, J. (2013). Education experience of male nursing students. Holistic Health Science, 3(1), 25-36. 

  17. Lee, J. S., Kim, N. J., Doo, H. J., An, J. Y., & Lee, Y. K. (2005). Adaptation experience of male students in department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4(2), 159-169. 

  18. Lerardi, J. A., Fitzgerald, D. A., & Holland, D. T. (2010). Exploring male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s in an associate degree nursing program.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9(4), 215-218. 

  19. Meadus, R. J. & Twomey, J. C. (2011). Men student nurses: The nursing education experience. Nursing Forum, 46(4), 269-279. 

  20. Min, S. (2006). Adjustment experiences of students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4), 409-419. 

  21. O’Lynn, C. E. (2004). Gender-based barriers for male students in nursing education programs: Prevalence and perceived importance.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3(5), 229-236. 

  22. Park, Y. R. (2009). The adaptation process of male students in colleges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4), 449-458. 

  23. Sedgwick, M. G., & Kellett, P. (2015). Exploring masculinity and marginalization of mal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experience of belonging during clinical experiences.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4(3), 121-129. 

  24. Song, M. S., Park, Y., & Wee, H. (2015). Male nurses’ images of male students in nursing university. Health and Social Science, 38, 37-67. 

  25. Yun, S., & Min, S. (2014).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piritual well-being on college adjustment in major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2), 395-4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