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성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지털 눈 콘텐츠 표현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Digital Eye Contents for Emotional Communic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2, 2017년, pp.563 - 571  

임윤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감성공학과) ,  이은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감성공학과) ,  권지은 (상명대학교 휴먼지능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눈 콘텐츠의 감성 표현 요소를 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스마트 인형의 적용 가능한 감성을 도출하고, 각 감성에 대한 표현 요소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첫째, 문헌 정보, 애니메이션, 실제 사람의 영상을 바탕으로 눈으로 표현되는 감성 표현에 대한 개념 및 특징을 연구한다. 둘째, FGI를 통해 스마트 인형의 디지털 눈에 필요한 6가지 감정 -Happy, Angry, Sad, Relaxed, Sexy, Pure-을 정의하고, 각 감성에 따른 표현 요소를 추출하였다. 셋째, 추출된 요소를 분석하여 디지털 눈의 감성 표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정립하였다. 연구 결과 각 감성을 구분하고 표현하기 위한 요소는 눈매, 시선, 홍채 크기, 특수 효과의 총 4가지로 나타났고 각 감성 별로 구분되는 요소별 정의와 특징을 도출하였다. 얼굴 표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눈에 대한 감성 표현 연구는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디지털 콘텐츠와 로봇, 스마트 인형 등의 감성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n emotional expression factors of digital eye contents that can be applied to digital environments. The emotion which can be applied to the smart doll is derived and we suggest guidelines for expressive factors of each emotion. For this paper, first, we 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마음의 창이라는 말과 같이 감성 표현의 중요한 요소인 ‘눈’에 대한 연구는 얼굴 표정의 일부로만 다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눈’ 자체에 대한 상세한 감성 표현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에 기반을 둔 감성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눈 콘텐츠의 감성 표현에 대한 요소를 정립하고자 한다. 특히,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인형 개발을 위한 디지털 눈 콘텐츠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 본 실험은 스마트 인형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에 초점을 맞추어 눈의 감성을 분류하고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추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과정에서는 스마트 인형에 삽입되는 초소형 디스플레이에 나타날 수 있는 안구의 범위로 제한한다.
  • 본 연구를 위해서 첫째, 눈을 통한 감성 표현에 대한 개념 및 특징을 연구한다. 이를 위하여 학술 서적, 논문, 단행본 등의 문헌 정보와 디지털 애니메이션과 등을 통해 살펴본다.
  • 본 연구에서 디지털을 기반을 둔 눈 콘텐츠의 감성 표현 요소를 추출하고 추후 결과를 적용하게 될 구체관절 인형의 감성표현의 가이드라인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에 기반을 둔 감성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눈 콘텐츠의 감성 표현에 대한 요소를 정립하고자 한다. 특히,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인형 개발을 위한 디지털 눈 콘텐츠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 연구된 결과는 스마트 인형뿐만이 아니라, 로봇이나 애니메이션 등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에서 감성을 표현하고 얼굴 표정을 완성하는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공의 특징은? 동공은 무자극 상태에서 자극이 주어졌을 시에 확장되며 중립적인 자극보다 감성적인 자극을 느꼈을 때 보다 확장된다. 또한 감성적으로 긍정적인 상태에 놓여있을 때보다 부정적으로 느꼈을 때 더욱 확대된다고 보고 되었다[11].
눈 깜박임이란? 눈 깜박임은 사람의 감성에 따른 생체적 반응으로 부정, 초조, 흥분, 슬픔과 같은 감성을 느꼈을 때 빈도가 증가하고 긍정적인 자극을 느꼈을 시에는 빈도가 감소한다[16]. 애니메이션에서는 주로 상황에 따른 반응으로 표현되어 주로 한 응시점에서 다른 방향으로 시선을 옮길 때 눈을 깜빡인다.
자신의 감성을 비언어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사람은 자신의 감성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비언어적 표현을 한다. 자신의 신체를 활용한 몸짓, 얼굴 표정과 기호, 이미지를 활용한 표현 등 많은 방법이 있다. 그 중 얼굴 표정은 내적 상태를 반영하여 감성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언어를 제외한 가장 강력하고 복잡한 신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Phil-Sik Jang, Woo-Hyun Jung, Joo-Seok Hyun, "Effect of Abstraction and Realism on Uncanny Valley in 3D Character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4, No.10, pp.277-285, 2016. 

  2. Byoung-Dae Na, Joong-Gyoo Kim,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Convergence and Work-Family Confli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8, pp.207-222, 2015. 

  3. Eun-Jin Jung, Joo-Chang Kim, Hoill Jung, Jyungyoung Chung, "Social Network based Sensibility Design Recommendation using {User - Associative Design} Matrix.",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4, No.8, pp.313-318, 2016. 

  4. Ha Yan Oh, "The Case Study on the Emotion Expression of Animation Character - Based on Facial Expression of Character -" , Master of Design & Ceramics Education, 2012. 

  5. OmiKentaro, "Formative Psychology", Dongguk, 1991 

  6. Junsu Kim, "Considerations on Plasticity of Character Design - Focusing on Eye Design of Highly Recognized Characters",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Vol. 10, No. 3, pp.73-81, 2010. 

  7. Sun-A Yang, "A Study on the Personality Formation of the Character Design", Master of Visual Media Image Design, 2001. 

  8. Soo Kyeong Mun, "A Study of Pinhole Effects for Visual Acuity and Stereopsis in Astigmatic Eyes", Master of Optometry, 2016. 

  9. Joon Chul Park,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 on Pupil Size and Visual Acuity", Doctor of Biology, 2017. 

  10. Ilseok Jeong, "Application of Eye Movement Analysis to Kamsung Evaluation of Product Design", Master of Industrial Engineering, 1997. 

  11. Se ho Maeng, Uoon Kyung Jeong, Joong Lee, "Pupillary Responses as an Indication of Emotional Arousal", Korean Journal of Psychology:general, Vol.32, No. 4, pp.829-844, 2013. 

  12. Kil Nam Hwang,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3D Character Facial Animation", Journal of the Moving Image Technology Assession of Korea, Vol.-, No.6, pp.61-70, 2004. 

  13. Byung Moon Ko, Jin Kwon, Seung Taek Park, Chang Hyun Lee, Han Shin Jung, Jae Moon Ko, Jung Woo Kim, Ji Eun Seo, Suk Hee Jung, "Human Anatomy", pp. 160, Jungmunkag, 2008. 

  14. Dong-Yeop Lee, "Study of Expression in Virtual Character of Facial Smile by Emotion Recognition", Korean Society of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Vol.-, No.33, pp.383-402, 2013. 

  15. Wei-li Chen, Kyung Ho Lim, "A Research in the Symbol of Used Eyes in Poster",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s, Vol.38, pp.225-234, 2013. 

  16. Jihoon Oh, Jaeseung Jeong, "Potential Significance of Eyeblinks as a Behavior Marker of Neuropsychiatric Disord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Psychiatry, Vol.19, No.1, pp.17-28, 2012. 

  17. Hye Young Ko, "Meaning and Function-Expression Method for Animation Character's Natural Facial Acting",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eustry Association, Vol.5, No.2, pp. 15-24, 2011. 

  18. Daejoong Kim, "Gaze Aversion as a Deception Cue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 Centered on the Roles and Funcions of Gaze Aversion in Different Conversation Phases",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60, No.3, pp.7-35, 2016. 

  19. Russell James A, "A circumflex Model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39, No.6, pp. 1161-1178, 19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