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중재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행동증상, 타이밍, 및 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Interactive Metronome Intervention on Behavior Symptoms, Timing, and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ADHD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5 no.2, 2017년, pp.35 - 45  

구기쁨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강제욱 (부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수민 (도담 통합발달센터) ,  김경미 (인제대학교 보건의료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에게 사용되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임상에 적용 가능하도록 수정된 IM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행동증상, 타이밍 및 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부산 소재의 기초정신건강증진센터 내에 있는 7-12세의 ADHD 아동 13명을 대상으로 단일 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다. 중재는 회당 30분, 주 3회, 24회기 동안 실시하였으며, 중재 전과 후의 행동증상, 타이밍 및 운동기능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부모보고형 한국어판 ADHD 평정척도, IM의 Long Form Assessment(LFA),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2판(BOT-2)을 사용하였다. 결과 : 행동증상 중 과잉행동/충동성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고, 타이밍과 손의 협응 및 신체협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결론 : 임상에 적용 가능하도록 수정된 IM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행동증상을 개선하고, 타이밍 및 운동기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dified Interactive Metronome (IM) program which is applicable to clinical practice based on the IM protocol on the behavioral symptoms, timing and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M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에서 제시하는 한 회기는 최소 40-50분에서 1시간으로 치료시간이 30내외로 정해져 있는 임상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ADHD 아동에게 사용되는 IM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임상에 적용 가능하도록 수정하고, 수정된 IM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행동증상, 타이밍 및 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로 진단받은 아동에게 수정된 IM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아동의 행동증상, 타이밍 및 운동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IM 매뉴얼에서 제시하는 총 시간 및 트리거를 두드리는 총 횟수를 고려하여 회기를 늘리고 한회기당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였음에도 아동의 행동증상, 타이밍 및 운동기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유사 실험연구로써 단일 집단 사전-사후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실험기간은 2016년 1월부터 8월까지로 중재 전에 사전평가, 중재 후에사후평가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발병률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아동기에 나타나는 가장 흔한 신경발달장애 중 하나로 학령기 아동의 4%에서20%에 이른다(Biedermann et al., 2006; So, Noh, Kin,Ko, & Koh, 2007).
ADHD는 어떤 요인을 보고 결정되는가? , 2006; So, Noh, Kin,Ko, & Koh, 2007). ADHD는 연령에 부절적한 부주의, 과잉행동과 충동성의 패턴에 의해 정의된다(APA, 2000).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가 있을 시 행동은 어떠한가? ADHD 아동은 문제 전체를 듣기도 전에 대답을 하거나 순서를 기다리지 않고 의견을 말하는 등 충분한 시간을 두지 않고결정을 하거나 행동을 한다(Yoon, 2001). 즉. ADHD 아동은 과도한 운동량을 보이지만 운동을 조절하고 상황에 적합한 행동을 억제할 수 있는 자기통제력이 부족하다고 한다(Barkley,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piner, N. (2004). The role of fMRI in defining auditory-motor processing networks. White paper presented at National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Conference.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Test Revision(DSM-IV-TR)).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 Barkley, R. A. (1997).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ogical bulletin, 121(1), 65-94. 

  4. Ben-Pazi, H., Gross-Tsur, V., Bergman, H., & Shalev, R. S. (2003). Abnormal rhythmic motor respons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45(11), 743-745. 

  5. Biederman, J., Monuteaux, M. C., Mick, E., Spencer, T., Wilens, T. E., Silva, J. M., et al. (2006). Young adult outcom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controlled 10-year follow-up study. Psychological medicine, 36(2), 167-179. 

  6. Bruininks, R. H., & Bruininks, B. D. (2005).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2nd Edition. Minnesota: AGS Publishing. 

  7. Bruininks, R. H., Steffens, K., Spiegel, A., & Werder, J. K. (1989). The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Development, research, and intervention strategies. Better by moving: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Symposium Psychomotor Therapy and Adapted Physical Activity. Lueven, Belgium: Acco. 

  8. Cassily, J. F., & Jacokes, L. E. (2001). The Interactive Metronome; A new computer-based technology to measure and improve timing, rhythmically, motor planning, sequencing and cognitive capabilities. Paper presented at The Infancy and Early Childhood Training Course, Advanced Clinical Seminar, Arlington, Virgina. 

  9. Chung, J. I. (2010).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gnitive Enhancement Therapy and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effects on Attention and Impulsivity on Children with ADHD. Master's degree,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0. Cubillo, A., Halari, R., Smith, A., Giampietro, V., Taylor, E., & Rubia, K. (2012). Fronto-cortical and fronto-subcortical brain abnormalities in children and adults with ADHD: A review and evidence for fronto-striatal dysfunctions in adults with ADHD followed up from childhood during motivation and attention. Cortex, 48(2), 194-215. 

  11. Cosper, S. M., Lee, G. P., Peters, S. B., & Bishop, E. (2009).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and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32(4), 331-336. 

  12. DuPaul, G. J. (1991). Parent and teacher ratings of ADHD symptoms: Psychometric properties in a community-based sample.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20(3), 245-253. 

  13. Gresham, F. (2001).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Mahwah, NJ: Erlbaum. 

  14. Ilg, W., Giese, M. A., Gizewski, E. R., Schoch, B., & Timmann, D. (2008). The influence of focal cerebellar lesions on the control and adaptation of gait. Brain, 131(11), 2913-2927. 

  15. Jang, S. Y., Park, J. W., Lee, S. W., Lee, J. H., Jang, K. M., Choi, B. N., et al. (2012). The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for increasing concentration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e Disorder (ADHD) Chil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4(1), 73-97. 

  16. Jung, J. H., & Kim, S., K. (2013). The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on bilateral coordination, balanc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for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Single-subject researc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1(2), 37-46. 

  17. Kim, I. H. (2007). The effect of social skills training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6(4), 420-428. 

  18. Majewicz-Hefley, A., & Carlson, J. S. (2007). A meta-analysis of combined treatments for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s, 10(3), 239-250. 

  19. Melinda, L. B., & Robin, L. D. (2005).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for a 9-year-old boy with attention and motor coordination difficulties. Physiotherapy Theory and Practice, 21(4), 257-269. http://dx.doi.org/10.1080/09593980500321085 

  20. Namgung, Y., Son, D. I,, & Kim, K, M. (2015).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timing, attention and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ADHD: Case report. Journal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3(2), 63-72. http://dx.doi.org/ 10.18064/JKASI.2015.13.2.063. 

  21. Noreika, V., Falter, C. M., & Rubia, K. (2013). Timing deficits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Evidence from neurocognitive and neuroimaging studies. Neuropsychologia, 51(2), 235-266. 

  22. Rubia, K., & Smith, A. (2004). The neural correlates of cognitive time management: A review. Acta neurobiologiae experimentalis, 64(3), 329-340. 

  23. Rubia, K. (2006). The neural correlates of timing functions. Timing the future: The case for a time-based prospective memory. NJ: World Scientific Publishing. 

  24. Rubia, K. (2011). "Cool" inferior frontostriatal dysfunction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versus "hot" ventromedial orbitofrontallimbic dysfunction in conduct disorder: A review. Biological psychiatry, 69(12), 69-87. 

  25. Seok, I. S. (2009). Effects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in children with impulsive and inattentive behavioral problem.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 25(1), 109-122. 

  26. Sergeant, J. A. (2005). Modeling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critical appraisal of the cognitive-energetic model. Biological psychiatry, 57(11), 1248-1255. 

  27. Shaffer, R. J., Jacokes, L. E., Cassily, J. F., Greenspan, S. I., Tuchman, R. F., & Stemmer, P. J. (2001).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R)}$ training on children with ADH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5(2), 155-162. 

  28. Smith, A., Taylor, E., Warner Rogers, J., Newman, S., & Rubia, K. (2002). Evidence for a pure time perception deficit in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3(4), 529-542. 

  29. So, Y. K., Noh, J. S., Kim, Y. S., Ko, S. G., & Koh, Y. J. (200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parent and teacher ADHD rating scal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1(2), 283-289. 

  30. Toplak, M. E., Dockstader, C., & Tannock, R. (2006). Temporal information processing in ADHD: Findings to date and new methods. Journal of neuroscience methods, 151(1), 15-29. 

  31. Toplak, M. E., Rucklidge, J. J., Hetherington, R., John, S. C. F., & Tannock, R. (2003). Time perception deficits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comorbid reading difficulties in child and adolescent sample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4(6), 888-903. 

  32. Wiener, M., Turkeltaub, P., & Coslett, H. B. (2010). The image of time: A voxel-wise meta-analysis. Neuroimage, 49(2), 1728-1740. 

  33. Yoon, C. Y.. (2001).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ADHDT: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Emotional Disturbances & Learning Disabilities, 17(1), 107-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