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놀이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for Improving Play of Children : A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5 no.2, 2017년, pp.93 - 106  

이선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아동의 놀이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임상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ubmed, ProQuest, EBSCOhost, Scopus, RISS, KISS, 국립중앙도서관을 통하여 2007년 1월부터 2017년 4월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용어는 "Play AND Occupational Therapy AND(Intervention OR Treatment)"를 사용하였다. 2차 분류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총 11편의 논문을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였다. 결과 : 분석 대상 연구의 근거 수준은 단일 집단 비무작위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중재 방법은 중재 목표로서의 놀이 중 놀이 중심 중재를 가장 많이 적용하였다. 중재가 적용된 환경은 가정과 치료 세팅에서 동시에 적용된 것을 가장 많이 시행하였다.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평가도구는 Test of Playfulness(ToP)를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놀이와 동시에 측정된 종속변인으로는 언어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 의사소통 및 화용 기술, 문제-해결 기술, 양육자 반응성, 부모-아동 상호작용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아동의 놀이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에 대해 종합적으로 알아봄으로써 작업치료에서의 놀이 사용의 현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추후에 놀이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vidence for clinical practice by systemic analysis o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for improvement of children's play. Methods : Articles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database of Pubmed, ProQuest, EBSCOhost, Scopus, RISS, KIS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동이 가지고 있는 서로 다른 문제점들이 놀이에 영향을 미치므로, 작업치료사는 아동이 놀이를 탐색하는 데 필요한 물리적 환경적 자원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Knox, 20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놀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작업치료 중재의 대상을 알아보고, 중재 방법과 평가는 어떠한지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임상현장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한다.
  • 본 연구는 아동의 놀이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를 알아보고, 중재 방법과 평가는 어떠한지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임상현장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총 11편의 논문을 사용하여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중재 방법은 대부분 중재 목표로서의 놀이이었으며 그 중 놀이 중심 중재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아동의 놀이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에 대하여 체계적 고찰을 시행함으로써 작업치료사들에게 임상현장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의 대상이 된 논문은 총 11편으로, 선정 논문을 대상으로 근거 수준, 중재 방법, 놀이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 그리고 놀이와 동시에 측정된 종속변인을 분석하였다.
  • 놀이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를 주제로 한 논문은 국내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으로 추후에는 놀이 향상을 평가할 수 있는 신뢰도, 타당도가 높은 평가도구의 개발과 종속변인 간 관계를 확인하는 연구가 실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 놀이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를 제공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 작업치료사 협회가 정의한 놀이란? 미국 작업치료사 협회가 제공한 작업치료 실행체계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3rd edition; OTPF-3)를 살펴보면, 놀이는 작업(Occupation)의 영역 중 하나로 즐거움, 여흥, 재미 및 기분전환을 위한 자발적인 활동 또는 조직화된 활동이다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아동은 다양한 환경 속에서 스스로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 놀이를 하며, 놀이를 통해 만족감과 즐거움을 경험하게 된다 (Choi, Joung, Heo, & Kim, 2009).
신체적 또는 정신적 질환을 가진 아동이 놀이를 잘 하지 못하는 예시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그러나 신체적 또는 정신적 질환을 가진 아동은 다양한 장애로 인해 놀이 활동에서 환경과의 상호작용, 장난감과 다른 도구와의 상호 작용뿐만 아니라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까지 제한 될 수 있다 (Knox, 2010). 뇌성마비 아동은 신체장애로 인하여 놀이다움(playfulness)이 감소되는 등 전형적인 놀이 발달에서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Okimoto, Bundy, & Hanzlik, 2000).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아동은 자주 놀이를 바꾸고 한번 중단된 활동으로 돌아가는 것에 어려움을 가지는 것과 같이 일반 아동보다 더 짧은 기간 동안 장난감을 가지고 놀이를 하게 된다(Leipold & Bundy, 2000). 또한 자폐 아동은 비전형적인 놀이 선호도와 사물의 특정 기능에 대해서 몰입하며 놀이행동에 대한 창조성과 다양성 그리고 적응성이 부족하다(Baranek, Reinhartsen, & Wannamaker, 2001). 시각 장애 아동은 시각 발달의 결핍과 주변 환경 및 사물에 대한 탐색의 제한으로 복잡한 놀이에서 다른 사람과 어울리는 능력과 모방 놀이(imitative play), 역할 놀이(role play)에서 어려움을 가지며, 청각 장애 아동은 언어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제한, 추상적 개념에 대한 이해의 감소로 인하여 상징 놀이(symbolic play)에서 어려움을 보이고 혼자 하는 놀이가 증가하는 등의 모습을 보인다 (Kaplan-Sanoff, Brewster, Stilwell, & Bergen, 1988;Mogford, 1977).
놀이가 아동에게 중요한 이유는? 아동은 다양한 환경 속에서 스스로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 놀이를 하며, 놀이를 통해 만족감과 즐거움을 경험하게 된다 (Choi, Joung, Heo, & Kim, 2009). 또한 놀이는 아동이 매일 행하는 것이며, 감각 통합, 운동, 사회, 인지, 자기-관 리, 직업 기술과 같은 기능을 발달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므로 아동의 발달에 있어서 중요하다(Njelesani, Sedgwick, Davis, & Polatajko, 2010; Parham, 1996). 그러나 신체적 또는 정신적 질환을 가진 아동은 다양한 장애로 인해 놀이 활동에서 환경과의 상호작용, 장난감과 다른 도구와의 상호 작용뿐만 아니라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까지 제한 될 수 있다 (Knox,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1), 1-48. http://dx.doi.org/10.5014/ajot.2014.682006 

  2. Arbesman, M., Sche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13(5), 18-22. 

  3. Baranek, G. T., Reinhartsen, D. B., & Wannamaker, S. W. (2001). Play: Engaging young children with autism. In R. Heubner (Ed.), Autism: A sensorimotor approach to management (pp. 313-351). Gaithersburg, MD: Aspen. 

  4. Bergen, D. (1988). Play as a medium for learning and development: A handbook of theory and practice. Portsmouth, NH: Heinemann. 

  5. Bundy, A. C. (1991). Play theory and sensory integration. In A. G. Fisher, E. A. Murray, & A. C. Bundy (Eds.),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p. 46-68). Philadelphia, FA: Davis. 

  6. Bundy, A. C., Luckett T., Naughton, G. A., Tranter, P. J., Wyver, S. R., Ragen, J., et al. (2008). Playful interaction: Occupational therapy for all children on the school playgroun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2(5), 522- 527. http://dx.doi.org/10.5014/ajot.62.5.522 

  7. Choi, J. H., Joung, S. Y., Heo, J., & Kim, K. M. (2009).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lue of play of choice for school 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2), 65-76. 

  8. Cordier, R., Bundy, A., Hocking, C., & Einfeld, S. (2010). Empathy in the play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30(3), 122-132. http://dx.doi.org/10.3928/15394492-20090518-02 

  9. Couch, K. J., Deitz, J. C., & Kanny, E. M. (1998). The role of play in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2(2), 111-117. http://dx.doi.org/10.5014/ajot.52.2.111 

  10. Docking, K., Munro, N., Cordier, R., & Ellis, P. (2013). Examining the language skills of children with ADHD following a play-based intervention. Child Language Teaching and Therapy, 29(3), 291-304. http://dx.doi.org/10.1177/0265659012469042 

  11. Engel-Yeger, B. (2009). Sociodemographic effects on activities preference of typically developing Israeli children and youth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1), 89-95. http://dx.doi.org /10.5014/ajot.63.1.89 

  12. Fabrizi, S. E. (2015). Splashing our way to playfulness! an aquatic playgroup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a repeated measures desig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Schools, & Early Intervention, 8(4), 292-306. http://dx.doi.org/10.1080/19411243.2015.1116963 

  13. Fabrizi, S. E., Ito, M. A., & Winston, K. (2016).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led playgroups in early intervention on child playfulness and caregiver responsiveness: A repeated-measures desig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0(2), 1-9. http://dx.doi.org/10.5014/ajot.2016.017012 

  14. Henning, B., Cordier, R., Wilkes-Gillan, S., & Falkmer, T. (2016). A pilot play-based intervention to improve the social play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ir typically developing playmates.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63(4), 223-32. http://dx.doi.org/10.1111/1440-1630.12285 

  15. Kaplan-Sanoff, M., Brewster, A., Stilwell, J., & Bergen, D. (1988). The relationship of play to physical/motor development and to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D. Bergen (Ed.), Play as a medium for learning and development (pp. 137-162). Portsmouth, NH: Heinemann. 

  16. Kim, S. Y., & Min, Y. S. (2016). Literature review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for children and youth regard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Focusing on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4(4), 161-174. 

  17. Knox, S. H. (1974). A play scale. In M. Reilly (Ed.), Play as exploratory learning: Studies of curiosity behaviour (pp. 247-266). Beverle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8. Knox, S. H. (1993). Play and leisure. In H. L. Hopkins, & H. D. Smith (Eds.), Willard and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8th ed., pp. 260-268).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 Knox, S. H. (2010). Play. In J. Case-Smith, & J. Clifford O' Brien. (Eds.),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6th ed., pp. 540-554). St Louis, MO: Mosby. 

  20. Kuhaneck, H., Tanta, K. C., Coombs, A., & Pannone, H. (2013). A survey of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use of play.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Schools, and Early Intervention, 6(3), 213-227. http://dx.doi.org/10.1080/19411243.2013.850940 

  21. Lee, S. A., & Choi, J. S. (2004). Play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using the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2(1), 43-52. 

  22. Mogford, K. (1977). The play of handicapped children. In B. Tizard, & D. Harvey (Eds.), Biology of play (pp. 170-184). Philadelphia, JB: Lippincott. 

  23. Leipold, E., & Bundy, A. C. (2000). Playfulness and children with ADHD.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20(1), 61-79. http://dx.doi.org/ 10.1177/153944920002000104 

  24. Lewis, V., Boucher, J., Lupton, L., & Watson, S. (2000). Relationships between symbolic play, functional play, verbal and non-verbal ability in young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5(1), 117-127. http://dx.doi.org/10.1080/136828200247287 

  25. Llorens, L. A. (1974). The effects of stress on growth and developmen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8, 82-86. 

  26. Mcaloney, K., & Stagnitti, K. (2009). Pretend play and social play: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child-initiated pretend play assess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8(2), 99-113. http://dx.doi.org/10.1111/j.1440-1630.2008.00761.x 

  27. Njelesani, J., Sedgwick, A., Davis, J. A., & Polatajko, H. J., (2010). The influence of context: A naturalistic study of Ugandan children's doings in outdoor spaces.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8(20), 124-132. http://dx.doi.org/10.1002/oti.310 

  28. Nyaradzai, M., Matthew, C., Adraine, M., & Mildred, C. T. (2016). Occupational Therapists perspectives on the use of play as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Zimbabw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tific and Research Publications, 6(7), 182-188. 

  29. Okimoto, A. M., Bundy, A., & Hanzlik, J. (2000). Playfulness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y: Measurement and interven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4(1), 73-82. http://dx.doi.org/10.5014/ajot.54.1.73 

  30. Parham, L. D. (1996). Perspectives on play. In R. Zemke & F. Clark (Eds.), Occupational science: The evolving discipline. Philadelphia: F.A. Davis. 

  31. Parham L. D. (2008). Play and occupational therapy. In L. D. Parham & L. S. Fazio (Eds.), Play in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pp. 3-39). St. Louis: Mosby/Elsevier. 

  32. Rios-Rincon, A. M., Adams, K., Magill-Evans, J., & Cook, A. (2016). Playfulness in children with limited motor abilities when using a robot.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 36(3), 232-246. http://dx.doi.org/10.3109/01942638.2015.1076559 

  33. Rodger, S. (1994). A survey of assessments used by pa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41, 137-142. http://dx.doi.org/10.1111/j.1440-1630.1994.tb01300.x 

  34. Stagnitti, K. (2004). Understanding play: The implications for play assessment.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51(1), 3-12. http://dx.doi.org/10.1046/j.1440-1630.2003.003 87.x 

  35. Stagnitti, K., O'Connor, C.,& Sheppard, L. (2012). Impact of the Learn to Play program on play, social competence and language for children aged 5-8 years who attend a specialist school.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59(4), 302-311. http://dx.doi.org/10.1111/j.1440-1630.2012.01018.x 

  36. Tanta, K. J., & Knox, S. H. (2015). Play. In J. Case-Smith, & J. Clifford O' Brien. (Eds.),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7th ed., pp. 491-495). St Louis, MO: Mosb 

  37. Waldman-Levi, A., & Weintraub, N. (2015). Efficacy of a crisis intervention in improving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play functioning.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9(1), 1-11. http://dx.doi.org/10.5014/ajot.2015.013375 

  38. Wallen, M. & Doyle, S. (1996). Performance indicators in paediatrics: The role of standardised assessments and goal setting.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43(3-4), 172-177. http://dx.doi.org/10.1111/j.1440-1630.1996.tb01853.x 

  39. Whalen, C. K. & Henker, B. (1991). Therapies for hyperactive children: Comparisons, combinations, and compromis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9(1), 126-137. 

  40. Wilkes-Gillan, S., Bundy, A., Cordier, R., & Lincoln, M. (2014). Evaluation of a pilot parent-delivered play-base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6), 700- 709. http://dx.doi.org/10.5014/ajot.2014.012450 

  41. Wilkes-Gillan, S., Bundy, A., Cordier, R., Lincoln, M., & Chen, Y. W. (2016).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a play-based intervention to improve the social play skill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PLoS One. 11(8), 1-22.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60558 

  42. Wilkes, S., Cordier, R., Bundy, A., Docking, K., & Munro. N. (2011). A play-base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DHD: A pilot study.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58, 231-240. http://dx.doi.org/10.1111/j.1440-1630.2011.0092 8.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