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주제작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책의 성과와 평가
The Accomplishment and Evaluation of the Policy of Scheduling Outsourcing Broadcasting Program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2, 2017년, pp.289 - 298  

주정민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한진만 (강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유종원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고는 방송사가 일정비율 이상의 외주제작물을 편성하여 방송하도록 규제하고 있는 외주제작 정책의 성과를 분석했다. 외주제작 정책으로 방송 프로그램의 다양성이 제고되었는지를 살펴본 결과, 외주제작 정책시행으로 제작사가 증가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원이 다양해졌으나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특정 장르에 집중되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방송영상 콘텐츠의 경쟁력이 증가했는지를 살펴본 결과, 방송 프로그램의 해외 시장 진출이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드라마 중심의 한정된 장르에 머물렀고, 지상파방송사와 외주제작사 간에 제작비와 저작권 논란 등으로 제작여건이 개선되지 못했다. 따라서 방송사에 대한 외주 편성 비율을 최저로 설정하여 방송사와 외주제작사의 제작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고, 방송사와 외주제작사 간의 갈등의 원인인 제작비와 저작권의 문제를 표준제작비와 같은 기준을 만들어 활용함으로써 공정한 거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accomplishment of the outsourcing production policy which forces broadcasting companies to schedule and broadcast more than a certain proportion of outsourcing produc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exa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policy increased the div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제작 주체의 다원화를 통해 지상파방송의 독점이 가져온 방송 프로그램의 획일화와 하향평준화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리고 영상물에 대한 수요 증가에 부응할 수 있도록 방송 프로그램 공급을 확대하여 한국 방송영상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는 것도 하나의 목적이었다. 방송 프로그램의 수급 불균형으로 예상되는 외국 방송 프로그램의 유입을 최소화하여 문화적 종속을 차단하려는 의도를 담았다.
  • 따라서 이 제도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와 평가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 제도의 목표를 제대로 달성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그동안 외주제도 정책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를 면밀히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즉, 기존 연구결과에 대한 검토와 이를 재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정책의 목표달성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따라서 제도의 도입 목적과 정책 시행의 목적이 제대로 달성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이 제도의 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외주제작의 정책목표가 제대로 달성되고 있는지를 그동안의 시행과정과 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방송 프로그램의 수급 불균형으로 예상되는 외국 방송 프로그램의 유입을 최소화하여 문화적 종속을 차단하려는 의도를 담았다. 아울러, 지상파방송의 수직적 통합구조를 해체하여 제작 효율성과 방송사 경영을 합리화하는 것이 또 다른 목표였다. 지상파방송이 자체 제작의 매너리즘에 빠져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공급하는 것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 실제로 이 제도 도입의 토대가 된 1990년 ‘방송제도연구위원회가 발간한 보고서에서는 외주제작 정책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3]. 우선 다양한 양질의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수용자의 복지를 제고하는 것이다. 즉 제작 주체의 다원화를 통해 지상파방송의 독점이 가져온 방송 프로그램의 획일화와 하향평준화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 우선 다양한 양질의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수용자의 복지를 제고하는 것이다. 즉 제작 주체의 다원화를 통해 지상파방송의 독점이 가져온 방송 프로그램의 획일화와 하향평준화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리고 영상물에 대한 수요 증가에 부응할 수 있도록 방송 프로그램 공급을 확대하여 한국 방송영상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는 것도 하나의 목적이었다.
  • 따라서 본고에서는 그동안 외주제도 정책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를 면밀히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즉, 기존 연구결과에 대한 검토와 이를 재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정책의 목표달성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외주제작 정책은 지상파방송 중심의 방송 프로그램 제작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도입했다. 즉, 방송 프로그램 제작을 지상파방송 이외에 독립제작사를 통해 담당하게 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 제작산업 기반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외주제작 정책을 옹호하는 입장에서는 지상파방송사의 내부제작(수직계열화) 구조를 유지하는 것은 방송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을 야기하여 방송 산업육성과 수용자 복지 차원에서 부정적이라는 관점을 갖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송정책 제안 및 계획에서 제시한 것은? 이후 외주제작 정책은 1995년 선진방송 5개년 계획, 1998년 방송영상 산업진흥대책, 1999년 방송개혁위원회 보고서, 2000년 방송법개정, 2001년 디지털시대 방송영상 산업 진흥정책 추진전략 등에서 일관되게 확대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2]. 이들 방송정책 제안 및 계획에서는 외주제작 정책의 지속적 유지와 활성화가 필요한 이유로 독립제작사의 육성과 이를 통한 방송영상 제작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제시했다.
외주제작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책이란? 외주제작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책은 방송사가 자신들이 아닌 독립제작사와 같은 외주제작사들이 제작한 방송 프로그램을 일정 비율 이상 편성하여 방송하도록한 제도이다. 이 제도는 1990년 <방송제도연구보고서>에서 방송 제작시장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제기되었고, 1991년에 도입되었다[1].
외주제작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책이 도입된 시기는? 외주제작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책은 방송사가 자신들이 아닌 독립제작사와 같은 외주제작사들이 제작한 방송 프로그램을 일정 비율 이상 편성하여 방송하도록한 제도이다. 이 제도는 1990년 <방송제도연구보고서>에서 방송 제작시장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제기되었고, 1991년에 도입되었다[1]. 이후 외주제작 정책은 1995년 선진방송 5개년 계획, 1998년 방송영상 산업진흥대책, 1999년 방송개혁위원회 보고서, 2000년 방송법개정, 2001년 디지털시대 방송영상 산업 진흥정책 추진전략 등에서 일관되게 확대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문성철, "외주제작 정책 20년의 성과 평가: 프로그램 제작시장의 변동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2권, 제3호, pp.154-206, 2011. 

  2. 윤석민, 장하용, "외주정책을 둘러싼 논쟁의 특성과 그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6권, 제2호, pp.242-274, 2002. 

  3. 최세경, "방송외주제도 20년의 평가와 개선방안," 인문콘텐츠, 제17권, pp.67-97, 2010. 

  4. 권호영, "외주정책의 새로운 지평탐색," 코가포커스, 2013-04호(통권 70호), 2013. 

  5. 박소라, "지상파방송사의 외주제작 프로그램의 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6권, 제2호, pp.341-379, 2002. 

  6. 김관규, 정길용, "지상파방송사 외주정책 성과 평가: 독립제작사 육성과 프로그램편성 평가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4호, pp.5-37, 2009. 

  7. 김재영, "국내 외주제작 정책에 대한 평가와 반성," 방송문화연구, 제15권, 제2호, pp.161-184, 2003. 

  8.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방송영상산업백서, 나주: 한국콘텐츠진흥원, pp.163-203, 2017. 

  9. 박소라, 양현모, "외주정책이 제작시장과 외주제작 공급 및 프로그램 다양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0권, 제1호, pp.50-95, 2006. 

  10. 김대호, "외주정책과 콘텐츠산업의 변화," 방송문화연구, 제20권, 제2호, pp.7-30, 2008. 

  11. 김재영, 이재호, "외주정책과 방송산업 육성: 독립제작사 활성화와 시청자 복지 증진을 중심으로," 외주정책 10년의 평가와 전망 세미나 발표논문, 한국언론학회, 2002. 

  12. 송경희, 외주제작 의무편성 정책의 효과 및 개선 방안 연구,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1999. 

  13. 권장원, "방송정책과 방송사 조직 내부 관행간의 상호작용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38권, pp.245-275, 2007. 

  14. 김경환, 방송환경 변화와 외주정책의 재정립방안, 문화연대 주최 '지상파 방송 3사 외주제작 프로그램 편성실태보고 및 개선방안을 위한 토론회' 발표문, 2007. 

  15. 김동준, "외주전문채널 설립 (반대): 새로운 독점 구조 탄생은 자명," 신문과 방송, 제409호, pp.147-151, 2005. 

  16. 김인경, 조미애, "국내 외주제작 현황에 따른 성화 방안 모색," 동서언론, 제11권, pp.273-295,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