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elanin 합성을 촉진하는 흑임자 에탄올추출물의 효능
Black Sesame Ethanolic Extract Promotes Melanin Synthesi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12 = no.212, 2017년, pp.1452 - 1461  

전소정 (동의대학교 화학과) ,  김문무 (동의대학교 응용화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발화과정은 인간의 노화의 표현형 중 하나로 노화의 지표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 모낭에 melanocyte의 melanin 생성이 줄어들게 된다. 이의 원인으로는 모낭내 tyrosinase 활성의 감소와 활성 산소 종$H_2O_2$에 의한 축적을 통해 나타난다. 천연물중에서 예로부터 흑모를 유도한다는 흑임자주정추출물의 비극성 층과 극성 층을 분리하여 항산화 효과 및 B16F1에서 melanin 생성 촉진 효과를 조사하였다. 항산화 실험에서 SBEEP와 SBEEO는 DPPH 소거 효과를 보여주지 않았고, 낮은 환원력을 보여주었다. SBEEP는 $8{\mu}g/ml$ 이상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났고 SBEEO는 $4{\mu}g/ml$ 이상에서 세포 독성 효과를 보여주었다. SBEEP와 SBEEO는 in vitro에서 tyrosinase 활성과 DOPA 산화 활성에 대한 높은 melanin 합성 효과를 보여주었고, 살아있는 세포에서는 SBEEP처리군은 SBEEO 처리군보다 높은 melanin 합성 촉진 효과가 나타났다. 세포 내 melanin 생성에 효과가 있는 SBEEP는 melanin 합성 기전에서 중요한 효소인 TRP-2의 발현을 통해 melanin 생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흑임자의 SBEEP가 melanin 합성을 촉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lanin production by melanocytes in human hair follicles decreases with time and leads to the graying process, which is a phenotype of human aging and an index of aging. The reduction in melanin production is the result of decreased tyrosinase activity in hair follicles and an accumulation of ac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모발의 melanin 합성 감소는 melanin생성과정의 중요한 효소인 tyrosinase의 활성 감소로 인해 발생한다[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모를 흑모로 변화시키기 위해 체내 발생되는 활성산소를 억제시키고 tyrosinase 관련 효소의 활성화를 촉진시켜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흑임자 주정 추출물(SBEE)의 melanin 생성 촉진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흑임자 주정 추출물의 기름층(SBEEO)과 침전층(SBEEP)을 분리시켜 항산화 연구뿐만 아니라 melanin 합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모낭에서 melanin을 합성하는 melanocyte인 B16F1 세포를 사용하여 melanocyte의 melanin 생성을 저해시키는 활성산소의 억제와 melanin 합성 촉진 효과를 흑임자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흑임자를 주정 추출하여 두 가지 분획물인 흑임자 주정 침전분획(SBEEP) 및 흑임자 기름 상등분획(SBEEO)을 획득하였다.
  • Tyrosinase는 모발의 melanocyte의 melanin합성에 중요한 효소로서 melanin합성의 촉진을 나타내는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다. 이 실험은 in vitro에서 tyrosinase의 활성에 대한 SBEEP 와 SBEEO의 촉진 효과를 조사하였다. Tyrosinase 활성 실험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음성 대조군으로 100 μg/ml의 vitamin C와 2,000 μg/ml의 arbutin이 사용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onso, L. and Fuchs, E. 2006. The hair cycle. J. Cell. Sci. 119, 391-393. 

  2. Bae, J. J., Yeon, S. J., Park, W. J., Hong, G. E. and Lee, C. H. 2016. Production of sesamino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fermented sesame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P8,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4356, Streptococcus thermophilus S10. Food Sci. Biotechnol. 25, 199-204. 

  3. Beavo, J. A., Rogers, N., Crofford, O., Hardman, J., Sutherland, E. and Newman, E. 1970. Effects of xanthine derivatives on lipolysis and on adenosine 3', 5'-monophosphate phosphodiesterase activity. Mol. Pharmacol. 6, 597-603. 

  4. Ben Othman, S., Katsuno, N., Kitayama, A., Fujimura, M., Kitaguchi, K. and Yabe, T. 2016. Water-soluble fractions from defatted sesame seeds protect human neuroblast cells against peroxyl radicals and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stress. Free Radic. Res. 50, 949-958. 

  5. Campos, A. C., Molognoni, F., Melo, F. H., Galdieri, L. C., Carneiro, C. R., D'Almeida, V., Correa, M. and Jasiulionis, M. G. 2007. Oxidative stress modulates DNA methylation during melanocyte anchorage blockade associated with malignant transformation. Neoplasia 9, 1111-1121. 

  6. Chandra, S. A., Stokes, A. H., Hailey, R., Merrill, C. L., Melich, D. H., DeSmet, K., Furst, S. M., Peterson, R. A., Mellon-Kusibab, K. and Adler, R. R. 2014. Dermal toxicity studies factors impacting study interpretation and outcome. Toxicol. Pathol. 43, 474-481. 

  7. Commo, S., Gaillard, O. and Bernard, B. 2004. Human hair greying is linked to a specific depletion of hair follicle melanocytes affecting both the bulb and the outer root sheath. Br. J. Dermatol. 150, 435-443. 

  8. Cristofalo, V. 2005. SA ${\beta}$ Gal staining: Biomarker or delusion. Exp. Gerontol. 40, 836-838. 

  9. D'Mello, S. A., Finlay, G. J., Baguley, B. C. and Askarian-Amiri, M. E. 2016. Signaling pathways in melanogenesis. Int. J. Mol. Sci. 17, 1144. 

  10. Etienne, G., Cony-Makhoul, P. and Mahon, F. X. 2002. Imatinib mesylate and gray hair. N. Engl. J. Med. Overseas Ed. 347, 446-446. 

  11. Gan, E., Haberman, H. and Menon, I. 1974. Oxidation of NADH by melanin and melanoproteins. Biochim. Biophys. Acta 370, 62-69. 

  12. Ha, T. J., Lee, M. H., Seo, W. D., Baek, I. Y., Kang, J. E. and Lee, J. H. 2017. Changes occurring in nutritional components (phytochemicals and free amino acid) of raw and sprouted seeds of white and black sesame (Sesamum indicum L.) and screening of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Food Sci. Biotechnol. 26, 71-78. 

  13. Han, K. H., Oh, J. C. and Ryu, C. H. 2004. A study on the optimization for preparation conditions of germinated brown rice gruel. Prev. Nutr. Food. Sci. 33, 1735-1741. 

  14. Ide, T., Iwase, H., Amano, S., Sunahara, S., Tachihara, A., Yagi, M. and Watanabe, T. 2017. Physiological effects of ${\gamma}$ -linolenic acid and sesamin on hepatic fatty acid synthesis and oxidation. J. Nutr. Biochem. 41, 42-55. 

  15. Kim, S. R., Ahn, J. Y., Lee, H. Y. and Ha, T. Y. 2004. Various properties and phenolic acid contents of rices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Kor. J. Food Sci. 36, 930-936. 

  16. Lee, S. M., Chen, Y. S., Lin, C. C. and Chen, K. H. 2015. Hair dyes resorcinol and lawsone reduce production of melanin in melanoma cells by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and decreasing tyrosinase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expression. Int. J. Mol. Sci. 16, 1495. 

  17. Levy, C., Khaled, M. and Fisher, D. E. 2006. MITF: master regulator of melanocyte development and melanoma oncogene. Trends. Mol. Med. 12, 406-414. 

  18. Narasimhulu, C. A., Selvarajan, K., Burge, K. Y., Litvinov, D., Sengupta, B. and Parthasarathy, S. 2016. Water-soluble components of sesame oil reduce inflammation and atherosclerosis. J. Med. Food 19, 629-637. 

  19. Ning, W., Wang, S., Liu, D., Fu, L., Jin, R. and Xu, A. 2016. Potent effects of peracetylated (-)-epigallocatechin-3-gallate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damage in human epidermal melanocytes via attenuation of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Clin. Exp. Dermatol. 41, 616-624. 

  20. Pandhi, D. and Khanna, D. 2013. Premature graying of hair. Indian J. Dermatol. Venereol. Leprol. 79, 641. 

  21. Poprac, P., Jomova, K., Simunkova, M., Kollar, V., Rhodes, C. J. and Valko, M. 2017. Targeting free radicals in oxidative stress-related human diseases. Trends Pharmacol. Sci. 38, 592-607. 

  22. Prasad, N., Sanjay, K., Prasad, D. S., Vijay, N. and Kothari, R. 2012. A review on nutritional and nutraceutical properties of sesame. J. Nutr. Food Sci. 2, 1-6. 

  23. Schallreuter, K. U., Rubsam, K., Gibbons, N. C., Maitland, D. J., Chavan, B., Zothner, C., Rokos, H. and Wood, J. M. 2008. Methionine sulfoxide reductases A and B are deactivated by hydrogen peroxide (H 2 O 2) in the epidermis of patients with vitiligo. J. Invest. Dermatol. 128, 808-815. 

  24. Slominski, A., Wortsman, J., Plonka, P. M., Schallreuter, K. U., Paus, R. and Tobin, D. J. 2005. Hair follicle pigmentation. J. Invest. Dermatol. 124, 13-21. 

  25. Tenyang, N., Ponka, R., Tiencheu, B., Djikeng, F. T., Azmeera, T., Karuna, M. S., Prasad, R. B. and Womeni, H. M. 2017. Effects of boiling and roasting on proximate composition, lipid oxidation, fatty acid profile and mineral content of two sesame varieties commercialized and consumed in Far-North Region of Cameroon. Food Chem. 221, 1308-1316. 

  26. Tian, H. and Guo, R. 2017. Cardioprotective potential of sesamol against ischemia/reperfusion injury induced oxidative myocardial damage. Biomed. Res. 28. 

  27. The fate of hair follicle melanocytes during the hair growth cycle.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1999. Elsevier. 

  28. Tsatmali, M., Ancans, J. and Thody, A. J. 2002. Melanocyte function and its control by melanocortin peptides. J. Histochem. Cytochem. 50, 125-133. 

  29. Waterman, P. G. and Mole, S. 1994 Analysis of phenolic plant metabolites: Blackwell Scientific.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