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동반 아침식사에 따른 청소년의 영양섭취상태 평가 -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in Korean Adolescents according to Eating Breakfast together as a Family - Based on the 2013~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6, 2017년, pp.1210 - 1221  

배윤정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eating breakfast together as a family and the nutritional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2013~201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data. This study investigated 1,300 adolesc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일 열량 섭취량 및 절대적인 총 열량 섭취의 군간 차이를 피하기 위하여 열량 섭취 1,000 kcal당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으며, 에너지에 기여하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기여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개인마다 영양소 필요량과 섭취량이 다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집단의 식사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 영양소를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식품 섭취 상태 분석 시 1일 총 식품섭취량을 분석하였으며, 식품군별 섭취에서는 군간 총 식품섭취량의 차이에 따른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식품군별 열량 섭취에 기여하는 비율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족 동반 아침식사가 성장기 청소년의 식사섭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국가단위의 대규모 데이터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남녀 청소년에서 가족 동반 아침식사 여부 및 아침결식에 따라 가족 동반 아침식사군, 혼자 아침식사군, 아침결식군으로 구분 후 일반사항, 식습관, 영양소 및 식품 섭취 상태 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단위 대규모 데이터인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2~18세 청소년을 성별로 나누어 가족 동반 아침식사 여부 및 아침결식에 따라 가족 동반 아침식사군, 혼자 아침식사군, 아침결식군으로 나누어 일반사항, 식습관, 영양소 및 식품 섭취 상태, 건강식생활 관련 지표 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 동반 식사가 아동 및 청소년의 어떠한 점에 영향을 미치는가? 가족 동반 식사가 아동 및 청소년의 식생활 환경, 영양상태, 건강상태 등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들은 계속 보고되고 있다(Larson 등 2007). 가족 동반 식사의 빈도와 식사섭취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에서 가족을 동반한 저녁식사의 증가는 아동에게 있어 질적 수준이 낮은 식사를 할 위험률을 유의적으로 낮추어 준다고 보고하였으며(Veugelers 등 2005),전향적 연구에서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하는 청소년들은 영양섭취의 질이 높으며, 과일, 채소와 같은 식품군 이외에도 섬유소, 칼슘 및 철 등의 섭취는 높은 반면, 가당 음료와 포화지방의 섭취는 낮다고 하였다(Burgess-Champoux 등 2009).
남녀 청소년에서 가족 동반 아침식사 여부에 따른 영양소 섭취 상태 결과는? 3. 영양소 섭취 상태를 조사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아침결식군이 가족 동반 아침식사군과 혼자 아침식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열량 섭취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212, p<0.0001). 남학생의 경우, 섬유소와 칼륨의 섭취밀도에서 가족 동반 아침식사군이 혼자 아침식사군과 아침결식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p=0.0168,p=0.0065), 여학생에서는 나트륨 섭취 밀도에서 가족 동반 아침식사군이 아침결식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417).
청소년기에 있어 가족과 함께 하는 식사는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특히, 가족이 함께 하는 식사는 단지 함께 먹는 행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인 교감과 함께 가족 내에서 식행동을 공유할 수 있으며, 가족 구성원간의 식품소비패턴이 서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청소년기에 있어 가족과 함께 하는 식사에 대한 관심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Wang 등 2009; Wang 등 2011). 2013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12~18세 청소년의 경우, 아침식사의 가족 동반 식사율이 2005년 5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exy U, Wicher M, Kersting M. 2010. Breakfast trend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Frequency and quality. Public Health Nutr 13:1795-1802 

  2. Bae YJ. 2015.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food variety by age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2010~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48:236-247 

  3. Befort C, Kaur H, Nollen N, Sullivan DK, Nazir N, Choi WS, Hornberger L, Ahluwalia JS. 2006. Fruit, vegetable, and fat intake among non-Hispanic black and non-Hispanic white adolescents: Associations with home availability and food consumption settings. Am Diet Assoc 106:367-373 

  4. Burgess-Champoux TL, Larson N, Neumark-Sztainer D, Hannan PJ, Story M. 2009. Are family meal patterns associated with overall diet quality during the transition from early to middle adolescence? J Nutr Educ Behav 41:79-86 

  5. Devine CM, Stoddard AM, Barbeau EM, Naishadham D, Sorensen G. 2007. Work-to-family spillover and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mong construction laborers. Am J Health Promot 21:175-182 

  6. Fulkerson JA, Larson N, Horning M, Neumark-Sztainer D. 2014. A review of associations between family or shared meal frequency and dietary and weight status outcomes across the lifespan. J Nutr Educ Behav 46:2-19 

  7. Fulkerson JA, Neumark-Sztainer D, Story M. 2006. Adolescent and parent views of family meals. J Am Diet Assoc 106: 526-532 

  8. Jo JE, Park HR, Jeon SB, Kim JS, Park GE, Li Y, Lim YS, Hwang J. 2013.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food consumption frequencies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Using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rom 2011. Korean J Community Nutr 18:165-176 

  9. Keller A, Bucher Della Torre S. 2015.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obes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view of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Child Obes 11:338-346 

  10. Kwon JE, Park HJ, Lim HS, Chyun JH. 2013. The relationships of dietary behavior, food intake, and life satisfaction with family meal fre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8:272-281 

  11. Larson N, MacLehose R, Fulkerson JA, Berge JM, Story M, Neumark-Sztainer D. 2013. Eating breakfast and dinner together as a family: Associations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or diet quality and weight status. J Acad Nutr Diet 113:1601-1609 

  12. Larson N, Wang Q, Berge JM, Shanafelt A, Nanney MS. 2016. Eating breakfast together as a family: Mealtime experiences and associations with dietary intake among adolescents in rural Minnesota, USA. Public Health Nutr 19:1565-1574 

  13. Larson NI, Neumark-Sztainer D, Hannan PJ, Story M. 2007. Family meals during adolescence are associated with higher diet quality and healthful meal patterns during young adulthood. J Am Diet Assoc 107:1502-1510 

  14. Lee HA, Park H. 2015. Correlations between poor micronutrition in family members and potential risk factors for poor die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Nutrients 7:6346-6361 

  15. Lee HY, Oh SI, Cho HK, Choi MK, Kim MH. 2016.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2nd ed. pp.184-208. Kyomunsa 

  16. Lee Y, Oh YJ, Cho W, Jo PK. 2015. Differences in solo eating perceptions and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by gender. J Korean Diet Assoc 21:57-71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pp.v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Ministry of Education. 2016 Korea Youth Health Statistics, 2016. pp.138-14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pp.416-42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The Forth Health Plan: 2016-2020. pp.9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1. Neumark-Sztainer D, Hannan PJ, Story M, Croll J, Perry C. 2003. Family meal patterns: Associations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mproved dietary intake among adolescents. J Am Diet Assoc 103:317-322 

  22. Neumark-Sztainer D, Larson NI, Fulkerson JA, Eisenberg ME, Story M. 2010. Family meals and adolescents: What have we learned from Project EAT(Eating Among Teens)? Public Health Nutr 13:1113-1121 

  23. Neumark-Sztainer D, Wall M, Fulkerson JA, Larson N. 2013. Changes in the frequency of family meals from 1999 to 2010 in the homes of adolescents: Trends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J Adolesc Health 52:201-206 

  24. Neumark-Sztainer D. 2006. Eating among teens: Do family mealtimes make a difference for adolescents' nutrition? Dir Child Adolesc Dev 111:91-105 

  25. Rampersaud GC, Pereira MA, Girard BL, Adams J, Metzl JD. 2005. Breakfast habits, nutritional status, body weigh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Am Diet Assoc 105:743-760 

  26. Utter J, Scragg R, Schaaf D, Mhurchu CN. 2008. Relationships between frequency of family meals, BMI and nutritional aspects of the home food environment among New Zealand adolescents. Int J Behav Nutr Phys Act 5:50 

  27. Veugelers PJ, Fitzgerald AL, Johnston E. 2005. Dietary intake and risk factors for poor diet quality among children in Nova Scotia. Can J Public Health 96:212-216 

  28. Wang Y, Beydoun MA, Li J, Liu Y, Moreno LA. 2011. Do children and their parents eat a similar diet? Resemblance in child and parental dietary intak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65:177-189 

  29. Wang Y, Li J, Caballero B. 2009. Resemblance in dietary intakes between urban low-income African-American adolescents and their mothers: The healthy eating and active lifestyles from school to home for kids study. J Am Diet Assoc 109: 52-63 

  30. Welsh EM, French SA, Wall M. 2011.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al frequency and individual dietary intake: Does family cohesion play a role? J Nutr Educ Behav 43:229-235 

  31. Woodruff SJ, Hanning RM. 2008. A review of family meal influence on adolescents' dietary intake. Can J Diet Pract Res 69:14-2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