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적 디자인을 기본으로 한 패션문화상품 셔츠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Shirt Design as a Fashion Culture Product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9 no.6, 2017년, pp.777 - 785  

최은주 (Y'sU 와이즈유(영산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ICE industry is a new industry that combines corporate meetings, intensive tours, conventions and exhibitions. The conventio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itself) is a conception born from the interpretation of multiple industries such as conferences, incentive tourism, exhibitions and fai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각의 디자인에는 모두 다른 형태의 조각보 디자인의 구성이 추가되어 디자인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문화상품은 세계적인 보편성과 상통하는 안목을 가져야 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하고, 장식적인 기념품에 그치지 않고 보다 생활에 밀접한 문화상품을 개발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긍정적인 국가 이미지와 한국적 전통미를 느낄 수 있는 국가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패션문화상품에 적용시킬 디자인을 본 연구에서 개발하기 위해 패션문화상품 중 조선후기의 조각보의 특성과 한국 전통 복식요소를 디테일의 일부분으로 응용한 셔츠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효용성이 요구되는 아이템인 셔츠가 성별과 연령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애용되고 있는 품목이라는 점에서 효용성이 높고, 포멀에서 캐주얼까지 확대적용이 가능한 활용도가 높은 아이템이므로 알로하셔츠와 같은 캐주얼셔츠의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캐주얼셔츠는 포멀 셔츠와 드레스셔츠를 제외한 셔츠의 총칭으로 종래의 실용성과 기능성 위주로 디자인 된 다양한 목적의 셔츠들이 포함되며.
  • Table 3과 같이 조각보와 몬드리안의 회화의 연관성을 응용 하여 세계인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으면서 우리의 전통 문화가 기본으로 구성되어있는 셔츠 디자인을 조각보의 자유형, 방사형 구성 형태를 응용하여 몇 가지 형태의 디자인으로 먼저 제안하였다. 그리고 셔츠의 구성 형태는 Table 4와 같이 전통복식의 도포나 원삼 자락에서 나오는 단과 선단처리 방법을 응용하여 한국적인 포의 구성 형태 및 제작 기법들을 응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한국적 디자인의 방향을 패션문화상품 개발로 모색하는 의미에서 조각보 이미지와 전통복식 구성형식의 일부분을 셔츠디자인에 응용하여 한국적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는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해보고자 함에 있다. 그리고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의 연구방법으로 여러 형태의 패션문화상품 중 셔츠디자인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MICE 산업의 관광상품 으로 제안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 전통 공예 부문 중 독자적인 조형미와 예술성이 표현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조각보의 이미지와 전통의상 ‘포’의 구성요소 일부분을 셔츠의 디자인에 응용하여 진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한국적 디자인의 방향을 패션문화상품 개발로 모색하는 의미에서 조각보 이미지와 전통복식 구성형식의 일부분을 셔츠디자인에 응용하여 한국적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는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해보고자 함에 있다. 그리고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의 연구방법으로 여러 형태의 패션문화상품 중 셔츠디자인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MICE 산업의 관광상품 으로 제안해보고자 한다.
  • 연구목적은 우리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한국적 디자 인의 방향을 패션문화상품 개발로 모색하는 의미에서 조선시대의 조각보 이미지를 셔츠디자인에 응용하여 한국적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는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 제안해 보기 위함이다.
  • 조각보의 조형적 특성을 고찰해보고 기하학적 특성과 색채의 조화 등을 응용하여 작품제작을 하고자 하였다.
  • 최근 3D 가상착의 시뮬레이션은 패션 산업의 디자인기획 단계 및 커스터마이즈(Customize)와 같은 주문제작 방식의 제품 생산 업체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단계이므로 패션문화상품의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시제품을 만들기 위한 시간, 비용, 평가, 다양한 디자인 활용 등의 다양한 면에서 보다 적합할 것으로 생각 되어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 이용하고 그 결과를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산업에 3D 가상착의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또한 연구방법으로 사용한 3D 가상착의 시뮬레이션은 글로벌 패션산업의 발전과 함께 소비자의 다양한 디자인 욕구 등에 부합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빠른 시제품 생산이 요구되는 패션 산업 환경을 고려할 때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의 개발에 있어 짧은 시간에 미리 점검할 수 있으므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및기획과정의 프로세스를 줄여주고, 제작과정에서의 피팅시간과 비용을 경감시키며, 디자인 데이터 베이스 활용 등을 확대할 수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발전될 것으로 기대된다.
MICE 산업이란? 원래 MICE 산업이란 용어는 1990년대 후반 싱가포르, 홍콩,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의 국가가 컨벤션 사업을 계기로 경제 도약의 전기를 맞이하며 등장하였다(“MICE”, 2017). MICE 산업은 좁은 의미에서는 국제회의 자체를 뜻하는 컨벤션이 회의·인센티브 관광·각종 전시· 박람회 등 복합적인 산업의 의미로 해석되면서 생겨난 개념이다. 줄여서는 비즈니스 관광이라고도 하며 일반 관광산업과 다르게 기업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 관광산업보다 그 부가 가치가 훨씬 높다(“MICE industry”, 2017).
조각보에 우리 조상의 일반적인 조형의식이 반영되었다고 말하는 이유는? 민보(民褓)인 조각보는 폐품활용이라는 생활의 지혜의 소산 으로 일반 서민층에서 주로 통용되었고 실제로 궁보(宮褓)에서는 발견된 예가 없다. 당시 서민 여성들인 비전문가의 손에 의하여 계승, 발전된 생활용품으로 천 조각을 잇는 활동에는 여가 시간의 활용과 직물의 재활용이라는 실용적 의미 이외에도, 화려 한 배색에 대한 동경의 표현양식 이었으며, 장수와 복을 비는 여인네들의 신복(祈福) 신앙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는 여성들의 내면세계를 그대로 반영한 전통 생활용품이자 순수 추상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Heo, 1988). 그러므로 조각보에는 당시의 사상과 가치관에 따른 우리 조상의 일반적인 조형의식이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2005 APEC (Busan)'. (n. d.). Retrieved November 24, 2017, from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8&aid0000331682 

  2. 'Aloha shirt'. (n. d.). Retrieved November 24, 2017, from http://blog.naver.com/thespelling/220746888175 

  3. An, H. J. (2015). Design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applying DTP of Jeju Gotjawal - Focusing on Jeju suvenir shirt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7(4), 145-160. 

  4. 'Batik'. (n. d.). Retrieved November 24, 2017, from http://blog.naver.com/skylove1959/30109963881 

  5. Chang, S. Y. (2016). Design development for fashion cultural product using traditional flower patterns - Focused on Peony patter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6(2), 159-171. doi:10.18652/2016.16.2.10 

  6. Chang, M. J. (2010). A study on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e product utilizing the Korean traditional patchwork.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3(3), 169-181. 

  7. Cho, S. R., Park, S. K., & Yun, E. Y.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signs for the shirts and accessories using the traditional kerchiefs and embroideries in the era of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1(4), 76-91. 

  8. Choi, Y. J. (2012). A study on the jewelry design with the decorative needlework.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9. Eom, K. H., & Choi, Y. M. (2011). A study on home interior product design applying Jogakbo patterns of the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7(2), 345-357. 

  10. Han, S. J. (2001). Research on computer based transcription design for souvenir artmaking of Jeollanamdo's tourists -Focused on T-shirts produc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 & Design, 4(2), 169-186. 

  11. Heo, D. H. (1988). The wonder cloth. Seoul: The museum of Korean embroidery. 

  12. Hwang, S. S., & Kwak, T. G. (2016). A study of developement for Jeju shirt design as a cultural product utilizing characteristics of Jeju region. Conference of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5, pp. 26-27. 

  13. 'Kariyushi'. (n. d.). Retrieved November 24, 2017, from http://blog.naver.com/okinawakanko/60148047520 

  14. Kim, H. Y. (2013). A study on the shirts design applying the luck physiognomy test of tradition motiv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15. Kim, J. M. (2006). A study on developing the modern fashion design with the application of plasticity of patchwork wrapping clot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4), 507-518. 

  16. Kim, K. H. (2014). Development of cool business wear for the climate warming based on Korean herit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Eui University, Busan. 

  17. Kim, S. Y. (2010). Design development for fashion cultural products by use of traditional floral wall pattern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8(4), 731-740. 

  18. Kong, M. R. (2006). A study on design of family look style T-shir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4), 134-147. 

  19. Lee, K. H. (2007). Design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rocess of Aloha shirt.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9(2), 59-68. 

  20. Li, Q. Q. (2011). A developing of clothing design through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Chokagbo patte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21. 'MICE'. (n. d.). Wikipedia. Retrieved June 12, 2017, from https://ko.wikipedia.org/wiki/MICE 

  22. 'MICE Industry'. (n. d.). Naver current affairs dictionary. Retrieved June 12, 2017,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0215&cid43667&categoryId43667 

  23. 'Mondrian'. (n. d.). Wikimedia commons. Retrieved June 20, 2017,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56434&cid46696&categoryId46696 

  24. National Folk Museum. (1988). Korean traditional wrapping-cloth. Seoul: Samhwa. 

  25. National Museum of Korea. (1988). Beauty of Korea. Seoul: Peace Printing. 

  26. Oh, J. Y. (2002). A study on the formation of color and plane in Jogakbo-mainly dealing with writer's wor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27. Park, S. Y. (2005). Ornament used by traditional patchwork wrapping-cloth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Busan. 

  28. Rhee, S. C., & Kim, J. H.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carf design utilizing traditional patchwork in Korea -Focusing on composition of patter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6(1), 230-241. 

  29. Seok, E. K. (2012). Recommendation on dress shirts design based on collection tre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Yongin. 

  30. 'Shinsegae, switched to men's shirt store'. (2009, March). Apparel news. Retrieved October 2, 2017, from http://www.appnews.co.kr/21cNet/inews.php?queryview&tableinternet_news&uid32011 

  31. Suh, M. Y. (2008). A study on the type of Hibiscus pattern on Aloha shirt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0(6), 857-863. 

  32. Yang, J. N. (2013). A study on women's clothing design using the image of traditional patchwork. Journal of Easter Art Studies, 22, 239-263. 

  33. Yang, S. H. (2014). Development of traditional Baeja design applied Jogakbo and knot.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6(4), 189-203. 

  34. Yang, S. H. (2016). A study on establishing MICE industry's eco system. Journal of Tourism Enhancement, 4(1), 63-72. 

  35. Yoon, W. J., & Lee, H. J. (2014). A research of the correlation of Korean design's feature-in-form and neoplasticism -Jogakbo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Mondrian's neoplasticism-. Korea Design Knowledge Journal, 32, 75-8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