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유형, 스트레스 대처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mmunication Styles and Stress Coping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v.20 no.2, 2017년, pp.58 - 66  

이난희 (전주기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유소연 (경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tyles and stress coping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180 nursing students in a university in Gyeongsan,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Win 23.0 pro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소통유형,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유형, 스트레스 대처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 유형과 스트레스 대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유형, 스트레스 대처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는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기능적 의사소통을 많이 사용하고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적게 사용하며 스트레스에 대한 적극적 대처가 높을수록 간호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유형, 스트레스 대처방식,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간호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유형, 스트레스 대처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 유형과 스트레스 대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유형 및 스트레스 대처와 관련된 변인들을 조사하여 이들 변인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들이 효율적으로 대학 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활에 적응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대학생 시기는 발달단계의 특성 상 다양한 변화와 환경에 적응하고 정체감과 가치관을 형성해야 하는 기간으로, 대학생활에 적응한다는 것은 대학생이 처한 환경 속에서 학업 성취 뿐아니라 대인관계 형성 등과 같은 새롭고 다양한 경험에 대응해 나가며 대학생활의 요구에 대처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는 것을 의미한다(Choi & Lee, 2012). 대학생활에서 이러한 과업의 성공적 수행 여부는 성인이 된 이후 개인적, 사회적 삶에 대한 적응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성인기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의사소통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즉 인간은 의사소통을 통하여 서로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전달하며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는데, 이러한 의사소통은 스트레스에 대처하거나 적응을 위한 관계의 개선 또는 악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Ericson & Gardner, 2009). 선행연구결과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의 갈등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학업성취도가 높으며 자아존중감이 향상되고 취업과 승진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Ericson & Gardner, 2009; Lee, Choi, & Whang, 2009; Song & Ahn, 2013; Yuk, 2013). 또한 스트레스를 적게 받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의사소통은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원인임과 동시에 스트레스에 대처하게 해주는 수단으로서 매우 중요한 변인임을 알수 있다(Jang, 2010).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요인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대학생은 학업공부와 과제물, 불투명한 장래 및 진로, 대인 관계와 이성문제, 경제문제, 외모, 어학성적, 학과 성적 및 학점 등과 관련하여 학교생활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으며 이와 관련된 대학생활의 스트레스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하는 모든 사람이 심리적 고통이나 부적응의 문제를 겪지는 않으며, 개인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어떻게 합리 적으로 대처하고 관리하느냐에 따라 성공적인 적응이 가능해지므로 스트레스 요인에 반응하는데 있어 작용하는 개인차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 H. (2012).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self-development program on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and stress coping methods.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21(3), 407-421. 

  2. Choi, H. J., & Lee, E. (2012). Medi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in first year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2), 261-268. 

  3. Choi, S. O., Park, J. K., & Kim, S. H. (2015). Factors influencing the adaptation to the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2), 182-189. 

  4. Ericson, P. M., & Gardner, J. W. (2009). Two longitudinal studies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its effects on college students' success. Communication Quarterly, 40, 127-137. 

  5. Gil, E. (2016). Life stress and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Satir's communication styles among nursing students. Korean Academy on Communication in Healthcare, 11(2), 155-166. 

  6. Han, K. S., Park, Y. J., Kim, K. M., Oh, Y. J., Jin, J. H., & Kang, H. C. (2008). Communication style, self efficacy, emotional regulation, and ways of coping among nursing students.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7(1), 28-34. 

  7. Hong, Y., Kim, Y., & Son, H. (2016). Effect of nurses' incivility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 coping on burnout in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2(4), 323-333. 

  8. Jang, H. S. (2010). The differences of the college student' stress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and social-communication style. Social Science Research, 26(2), 1-19. 

  9. Jung, H. Y. (2016).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life stress, depression and ego resiliency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7), 259-268. 

  10. Kim, E. A., & Jang, K. S. (2012). Developing a prediction model regarding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to college lif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312-322. 

  1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 Report on the Social Survey. Retrieved August, 2017, from http://www.kosis.kr/ 

  12. Kwon, H. J. (2007).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nd scholastic achievement with the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 Unpublished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Lazarus, R.,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4. Lee, H. S., Choi, E. H., & Whang, M. Y. (2009). Effects of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flict resolution styles, and self-esteem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2), 1-22. 

  15. Lee, J., & Eo, Y. (2013). Effect of clinical stress and stress coping on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7(2), 125-134. 

  16. Lee, K. J., Go, S., Lee, S., Kim, G. H., Min, S. Y., Choe, Y. J., et al. (2014).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Seoul: Shinkwang. 

  17. Lee, M., & Lim, S. (2017).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burnout, stress coping and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6), 521-534. 

  18. Lee, S. (1998). Analysis of communication stance by psychological tendency. Unpublished master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9. Lim, S. J., & Park, E. Y. (2013). Changes i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pattern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fter 'Satir Communication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151-162. 

  20. Min, S. Y. (2006). Original articles: adjustment experiences of students in nursing education.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4), 409-419. 

  21. Moon, S. (2006). The prediction about the model of the university students' adaption to school life by data-mining analysi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8(2), 247-267. 

  22. Oh, J. (2017). Predi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307-317. 

  23. Oh, Y. (2017). Predi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307-317. 

  24. Park, J. (199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haracter type A & B, Ego-identity and stress coping. Unpublished master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5. Park, J. A., & Lee, E. K. (2011).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3), 267-276. 

  26. Song, K. H., & Ahn, G. (2013). The effect of employee'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sychotherapy, 5(2), 117-129. 

  27. Won, J. S., & Shin, H. S. (2008). The effect of small group based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the competency of communication and the human relationship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4(2), 60-66. 

  28. Yi, J., & Kwak, H. (2016). Rel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stress coping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1), 527-537. 

  29. Yuk, H. (2015). The effect of Satir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conformity of university students'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improvement.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12(1), 1-23. 

  30. Yun, S. Y., & Min, S. H. (2014).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piritual well-being on college adjustment in major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2), 395-4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