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119구급대원의 외상사건 경험, 외상후 스트레스와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s of Traumatic Events, Post-traumatic Stress and the Need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of 119 Paramedic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8 no.4, 2017년, pp.524 - 536  

강미숙 (제주소방안전본부 서부소방서) ,  김영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  근효근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s of traumatic events, post-traumatic stress (PTS), and the need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of 119 paramedics. Methods: Experiences of traumatic events, PTS, and need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were measured using a stru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19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16가지 외상사건에 대한 경험 정도에서 대상자의 절반은 5가지의 다양한 사건을 경험하였으며, 외상 후 스트레스 정도에 대한 위험군은 대상자의 32.
  • 본 연구는 119구급대원의 외상사건 경험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119구급대원 개개인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경험도과 요구도를 비교하며, 특히 프로그램 경험에 비하여 요구도가 높은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119구급대원의 직무특성에 적합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일 지역에 근무하는 119구급대원의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경험도와 요구도 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119구급대원의 일반적 특성과 외상사건 경험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정도를 사정하고, 이에 관련하여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관한 경험도 및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대상자의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한다.
  • 시행) 소방본부에 소방보건의를 두고 소방공무원의 건강관리, 상담 및 정신건강 프로그램 운영 등을 하게 되었으나[12], 아직은 초기 단계로 사업추진이 미진한 상태이며, 개개인의 특성이 반영된 건강증진 프로그램 수행이 필요하다. 이에 119구급대원들의 직무환경을 고려하여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정도와 대상자 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경험도를 알아보고 제반특성에 따른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119구급대원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건강증진 프로그램개발과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과 구급업무 수행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19구급대원이란 무엇인가? 119구급대원은 불의의 사고나 부상 및 각종 질병으로 응급의료가 필요한 국민에게 신속한 응급처치를 시행하고, 의료기관으로 이송업무를 수행하는 소방공무원이다. 119구급대는 1980년 부산소방본부에서 시범적으로 운영한 것을 시작으로, 2014년 현재 전국 1,282개 기관에서 8,134명의 구급대원이 활동하고 있다[1].
사업장에서의 건강증진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사업장에서는 1996년 이후 산업안전보건법에 의거하여 사업장의 업종 및 규모에 따라 적합한 자격을 갖춘 보건관리자에 의해 근로자의 건강관리와 건강증진 사업이 체계적으로 수행되고 있다[8]. 사업장에서의 건강증진은 영양, 절주, 금연, 운동 등 생활습관 개선뿐만 아니라 작업과 관련해서 흔히 일어나는 질병 등을 예방하고 관리하여 근로자를 최적의 건강상태로 만들기 위한 일련의 활동이다. 한편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환경은 기본 인권의 하나로 강조되고 있고, 사업장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이 근로자의 결근과 의료비 지출을 감소시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9], 최근에는 사업장 근로자의 작업 관련성 질환을 예방 ․ 관리하기 위하여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이 효과적인 전략으로 부각되고 있다[10].
119구급대원은 어떠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가? 119구급대원은 직무특성상 24시간 교대근무를 하면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사건, 사고 및 생명과 연관된 응급상황 등에 대처하기 위하여 근무시간 내내 출동에 대기하는 등 긴장된 상태에서 근무하게 된다. 또한, 자연재난이나 사고로 인한 폭발물의 파편, 화재 시 발생하는 열과 유해가스 등의 위험물질, 환자의 혈액이나 분비물로 인한 감염 등의 위험에도 노출되어 있다[3]. 119구급대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대부분은 손상이나 질병에 대해 흥분한 상태에 있거나 일부는 술에 취한 상태여서[4],119구급대원은 환자나 보호자의 폭행, 폭언 등에 그대로 노출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Fire service materials and statistics [Internet]. Sejong: Department of Fire Administration. 2015. [cited 2016 May 1]. Available from: http://www.mpss.go.kr/home/policy/statistics/statisticsData/?boardIdbbs_0000000000000042&modeview&cntId18&category&pageIdx 

  2.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ion 119 rescue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ternet]. Sejong: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4. [cited 2016 March 16]. Available from: http://125.60.26.84/lsSc.do?menuId0&query119%20%EA%B5%AC%EA%B8%89%EB%8C%80%20%EC%9E%90%EA%B2%A9%EC%A1%B0%EA%B1%B4#undefined 

  3. Jang HY, Han MA, Park J, Rye SY. Associated factors with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mong 119 rescue crew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5;26(3):232-239. 

  4. Kim HJ, Choi ES. The experience of violence and turnover intention of femal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013;17(2):65-76. 

  5. Baek ML.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of emergency medical personnels.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1;11(1):29-35. https://doi.org/10.9798/KOSHAM.2011.11.1.029 

  6. Choi SS, Han MA, Park J, Ryu SY, Choi SW, Kim HR. Impact of job-related characteristics and post-traumatic str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119 rescue crew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5;26(4):286-296. 

  7. Hong SG. The evaluation of musculoskeletal symptom and patient transport work of 119 EMTs by ergonomics tool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14;28(4):81-88. 

  8. Ministry of Government Legistlati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ternet]. Sejong: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4. [cited 2017 March 5].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lsSc.do?menuId0&p1&subMenu1&nwYn1§ion&tabNo&query%EC%82%B0%EC%97%85%EC%95%88%EC%A0%84%EB%B3%B4%EA%B1%B4%EB%B2%95#undefined 

  9. Yoo SH, JeKarl J, Kim HK. Trends of workplace health promotion models and strategies. Health and Social Science. 2015;39:25-47. 

  10. Kim YI, Lee BI. Comparison of occupational health providers' perception on workers' health promotion program by business types: Focusing on need, necessity, performance, barriers, and effectiveness of progra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6;25(1):29-40. https://doi.org/10.5807/kjohn.2016.25.1.29 

  11.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Enforcement decree of the fire official welfare act [Internet]. Sejong: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4. [cited 2016 May 1]. Available from: http://www.lawnb.com/lawinfo/contents_view.asp?cidC4578D61F5FC4ACAB9B816FAA7A12CE7 

  12.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The 1st fire safety health and welfare basic plan 2016-2020 [Internet]. Sejong: Department of Fire Administration. 2016. [cited 2016.May 1]. Available from: http://www.mpss.go.kr/home/news/eventGallery/?boardIdbbs_0000000000000050&cntId195&modeview&category 

  13. Yoon YK. A study on literature therapy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firefighter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Cyber University; 2015. 144 p. 

  14. Choi HK. Effects of traumatic events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urnout, physical symptoms, and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s in Korean fire fighters [dissertation]. [Suwon]: Ajou University; 2010. 87 p. 

  15. Foa EB, Cashman L, Jaycox L, Perry K. The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1997;9(4):445-451. https://doi.org/10.1037/1040-3590.9.4.445 

  16. Park YS. The effects of violence of husband on psychopathology of wife [master's thesis].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2. 65p. 

  17. Yoon SH, Choi SJ, Shin DH, Chung IS, Ha JS. Job stressors in subway workers and firemen.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7;19(3):179-186. 

  1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4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ternet]. Cheongju: Division of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2015. [cited 2016 May 3]. Available from: http://cdc.go.kr/CDC/intro/CdcKrIntro0201.jsp?menuIdsHOME001-MNU1154-MNU0005-MNU0011&cid65846 

  19. Wilkinson ML, Brown AL, Poston WS, Haddock CK, Jahnke SA, Day RS. Physician weight recommendations for overweight and obese firefighters, United States, 2011-2012. Preventing Chronic Disease. 2014;11:E116. https://doi.org/10.5888/pcd11.140091 

  20. Shin DY, Jeon MJ, Joon SK.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related factors in male firefighters in a metropolitan cit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2;24(4):397-409. 

  21. Kim TH. Actual analysis of fire official's PTSD: Focus on control effects of personality and self-control and social supports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6. 88 p. 

  22. Jo SD, Park JB.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firefight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3;13(5):219-224. 

  23. Kim YI, Jung HS, Lee SY, Kim SL, Kim SY, Lee KJ. A survey of workplac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their health promotion program nee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6;17(2):195-209. 

  24. Choi SK, Lee KS, Lee JW, Koo JW, Park CY. Health behavior practices and need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according to shift work pattern in subway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3;5(1):37-51. 

  25.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ct on the prevention of sexual assault and protection, etc. of victims thereof [Internet]. Sejong: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1. [cited 2017 Jul. 10].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lsSc.do?menuId0&p1&subMenu1&nwYn1§ion&tabNo&query%EC%82%B0%EC%97%85%EC%95%88%EC%A0%84%EB%B3%B4%EA%B1%B4%EB%B2%95#liBgcolor0 

  26. Jhang WG, Jung KR, Kim CW. A review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02;12(1):102-124. 

  27. Barger LK, O'Brien CS, Rajaratnam SMW, Qadri S, Sullivan JP, Wang W, et al. Implementing a sleep health education and sleep disorders screening program in fire departments: A comparison of methodology.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6;58(6):601-609. https://doi.org/10.1097/JOM.0000000000000709 

  28. Moon TY, Kim JH, Gwon HJ, Hwan BS, Kim GY, Smith N, et al. Effects of exercise therapy on muscular strength in firefighters with back pain.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5;27(3):581-583. https://doi.org/10.1589/jpts.27.581 

  29. Poston WS, Haddock CK, Jahnke SA, Jitnarin N, Day RS. An examination of the benefits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the national fire service. BioMedCentral Public Health. 2013;13:805. https://doi.org/10.1186/1471-2458-13-8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