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농방법이 논에 서식하는 미꾸리 개체군의 체중-체장 관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arming Practices on Weight-Length Relationship of the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Population in Rice Paddy Fields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5 no.4, 2017년, pp.446 - 451  

김명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최순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어진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권순익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송영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친환경농법과 관행농법으로 대별되는 영농방법이 논 생태계에 서식하는 미꾸리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4년 9월에 친환경 논과 관행 논에서 미꾸리망을 이용하여 미꾸리 개체군의 빈도분포 및 무게-길이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채집된 전체 미꾸리의 발육단계별 개체수 빈도분포는 큰 차이를 나타냈다. 미꾸리의 무게와 길이의 평균값은 친환경 논이 관행 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범위는 관행 논이 높게 나타났다. 무게-길이 상관관계식은 친환경 논과 관행 논에서 각각 $W=0.000004L^{3.0747}$, $W=0.000002L^{3.2106}$으로 나타났다. 평균 비대지수(K)는 친환경 논이 0.95로 관행 논 0.67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영농방법이 논에 서식하는 미꾸리 개체군의 발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ength frequency and weight-length relationships within the loach population of Misgurnus anguillicaudatus were investigated in environment-friendly (EFP) and conventional paddy fields (CP) in South Korea,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farming practices to the loach population living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근거에 의하여 논 생태 계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데 미꾸리 개체군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친환경농법 논과 관행농법 논에 서식하는 미꾸리 개체군의 크기별 빈도분포 및 무게-길이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영농방법이 미꾸리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친환경농법과 관행농법으로 대별되는 영농방법이 논 생태계에 서식하는 미꾸리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4년 9월에 친환경 논과 관행 논에서 미꾸리망을 이용하여 미꾸리 개체군의 빈도분포 및 무게-길이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채집된 전체 미꾸리의 발육단계별 개체수 빈도분포는 큰 차이를 나타냈다.

가설 설정

  • 미꾸리는 봄철 논에 물을 댈 때 논으로 들어와서 활동하며 가을철 벼 수확을 위해 논의 물을 빼게 되면 토양 속 또는 주변 수로로 이동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조사 시기를 논의 물을 빼기 전인 2014년 9월로 하였으며, 이때에 채집되는 미꾸리 개체들은 1년간 논에서 이루어진 영농활동의 영향을 받았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꾸리의 포식자는 어떤 생물인가? 2011; Oh 2012; Han et al. 2013), 논을 주요 서식지로 이용하는 백로류의 중요한 먹이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Katayama et al. 2015).
미꾸리란? 논과 그 주변 환경에는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지만, 최근 경지정리, 제초제와 살충제 등 농약의 과도한 사용에 의해 그곳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의 수가 감소하고 있다. 특히,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는 미꾸리과 (Cobitidae) 미꾸리속 (Misgurnus)에 속하는 담수어로 우리 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다. 본 종은 주로 논이나 그 주변의 수로, 습지 등에 살고 있으며, 논이나 수로 등의 일시적 수역을 번식장소로 이용한다 (Saitoh et al.
논 생태 계의 건전성을 평가하는데 미꾸리 개체군을 활용하는 이유는? 2015). Han et al. (2013)은 영농방법에 따른 미꾸리류의 개체수 차이를 보고하였으며, 친환경농법 논에서 미꾸리류 개체수가 많다는 것을 제시하였 으며, Saitoh et al. (1988)은 다른 어류에 비해 미꾸리는 논에 머무는 시간이 길고 논에서 산란하기 때문에 논 생태계의 환경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하였다. Kano et al. (2010)은 농약이 논에서 미꾸리의 감소 또는 소멸의 주요 요인의 하나라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근거에 의하여 논 생태 계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데 미꾸리 개체군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derson RO and RM Neumann. 1996. Length, weight, and associated structural indices. pp. 447-482. In Fisheries Techniques, 2nd edition (Murphy BR and DW Willis eds.). American Fisheries Society. Bethesda, Maryland. 

  2. Han MS, KJ Cho, HK Nam, KK Kang, YE Na, M Kim and MH Kim. 2013. Variation in population size of mudfish by agricultural practices in paddy fields. Korean J. Environ. Agric. 32:24-34. 

  3. Han SC, HY Lee, EW Seo, JH Shim and JE Lee. 2007. Fish fauna and weight-length relationships for 9 fish species in Andong reservoir. J. Life Sci. 17:937-943. 

  4. Jeong MR. 2010. A study of habita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mudfish inhabited in rice field. Master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5. Kano Y, Y Kawaguchi, T Yamashita and Y Shimatani. 2010. Distribution of the oriental weather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in paddy fields and its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in Sado Island, Japan. Ichthyol. Res. 57:180-188. 

  6. Kanou K, S Saito, S Fuchigami, A Imamura, H Imai and Y Taki. 2007. Occurrence patterns and food habits of introduced alien loach Paramisgurnus dabryanus and native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at irrigation drainages around rice fields in the Watarase river system, Central Honshu, Japan. Aquacul. Sci. 55:109-114. 

  7. Katayama N, H Murayama and M Mashiko. 2015. The effect of organic farming on food intake and abundance of egrets and herons in rice fields. Jpn. J. Ornithol. 64:183-193. 

  8.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n Vol. 37 Freshwater Fishes. Ministry Education, Seoul. 

  9.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ress Co., Seoul, 465p. 

  10.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ress., Seoul, 512p. 

  11. Kim JH, SY Han and DH Yeom. 2012. The ecological health screening assessment of agricultural area using biomarkers and bioindicators in Misgurnus anguillicaudatus (case study). Korean J. Pesti. Sci. 16:62-68. 

  12. Kim JO, HS Shin, JH Yoo, SH Lee, KS Jang and BC Kim. 2011. Functional evaluation of small-scale pond at paddy field as a shelter for mudfish during midsummer drainage period. Korean J. Environ. Agric. 30:37-42. 

  13. Kimura A and Y Koya. 2011.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a wild population of oriental weather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in Gifu Prefecture, central Japan. Japan. J. Ichthyol. 58:1-12. 

  14. Kubota Z. 1961a. Ecology of the Japanese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CANTOR)-VI. Frequency distribution of body length and body weight. Contr. Shimonoseki College Fish. 338:241-245. 

  15. Kubota Z. 1961b. Ecology of the Japanese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CANTOR)-IV. Growth and Fatness. Contr. Shimonoseki College Fish. 336:213-234. 

  16. Kubota Z, M Kuga, T Okamasa and T Maeda. 1965. Studies on culturing of Japanese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CANTOR)-VII. Yield of the loach fry cultured in ponds, with estimation of the suitable stage to transferring, suitable ingredient of artificial food and the promotive effect of mud covering the bottom. Contr. Shimonoseki College Fish. 443:59-73. 

  17. Oh MK. 2012. Study on respiratory system of Misgurnus mizolepis (Cobitidae) related to environmental change of rice field. PhD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18. Saitoh K. 1990. Reproductive and habitat isolation between two populations of the straited spined loach. Environ. Biol. Fishes 28:237-248. 

  19. Saitoh K, O Katano and A Koizumi. 1988. Movement and spawning of several freshwater fishes in temporary waters around paddy fields. Jpn. J. Ecol. 38:35-47. 

  20. Seo J. 2005. Fish fauna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rk chub (Zacco temminckii) population in the mid-upper region of Gam stream. Korean J. Limnol. 38:196-206. 

  21. Tanaka M. 1999. Influence of different aquatic habitats on distribution and population density of Misgurnus anguillicaudatus in paddy fields, Japan. J. Ichthyol. 46:75-81. 

  22. Tanaka M. 2001. The seasonal changes of the Misgurnus anguillicaudatus (Cantor) population in paddy fields and surrounding waters. Jpn. J. Environ. Entomol. Zool. 12:91-101. 

  23. Umemura J. 2004. Distribution of Cobitidae in Toyota City and evaluation of river environment. Res. Yahagi River 8:249-2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