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를 위한 생태계 유형분류 방안 검토 - 국내 토지피복분류 적용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ategorizing Ecosystem Groups for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 Focused on Applicability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6 no.6, 2017년, pp.385 - 403  

여인애 (국립생태원 융합연구실) ,  배해진 (국립생태원 융합연구실) ,  홍승범 (국립생태원 융합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생태분야 리스크 평가 및 적응대책 수립의 공간적 기준이 될 수 있는 생태계 유형분류방안 검토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생태분야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와 적응대책의 특징, 국내외 리스크 평가에서 적용하는 생태계/서식지 유형분류 현황 및 관련 데이터를 조사하였다. 영국을 비롯하여 유럽 등지에서 일반적으로 생물종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공간정보DB로 토지피복분류가 널리 활용되고 있음에 착안하여, 국내 토지피복분류의 적용성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및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생태계 유형분류 시 현재 국내 대분류 토지피복 체계만으로는 분류군별 서식 경향성을 거의 알 수 없기에 대분류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국토 피복 전반을 차지하는 산림 생태계(62.3%) 및 농경지 생태계(25.0%) 유형의 세분화와 함께, 국토대비 면적은 작지만 다양한 분류군이 서식하는 습지생태계(2.9%), 특수 분류군이 서식하는 연안(0.4%) 및 해양생태계(0.6%), 도시생태계(6.1%)에 대한 분류가 고려되어야 한다. 추후 산림, 농경지 피복분류에 있어 중분류 체계 이하의 세분화가 필요하며, 국토 대비 면적에 비해 분류군의 서식지 선호비율이 높은 내륙습지, 해양/해안 서식지, 도시와 자연생태계의 전이지역 등에 대한 반영 역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howed the national ecosystem classification for the spatial standards of ecosystems-based approaches to the risk assessments and adaptation plan. The characteristics of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implement national adaptation plans, and ecosystem/habitat classification status was 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영국의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이하 CCRA)를 비롯하여 유럽 등지에서 생물종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 평가에 활용되는 공간정보DB로 토지피복분류가 일반적으로 활용됨에 착안하여,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및 적응대책에 활용하기 위해 토지피복분류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 토지피복분류 체계를 적용한 생태계 유형분류 방안의 타당성과 한계를 도출하고 추후 보완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생물종 조사 포인트에서 반경 100m 내에 있는 지역에 대해 폴리곤을 생성하고, 이를 토지피복분류와 중첩하여 분류군별 서식/이용 토지피복 면적을 계산하였다. 또한 분류군 내에서 생물종이 서식하거나 이용을 선호한다고 볼 수 있는 토지피복 비율을 계산하여 조사된 분류군별 서식/이용 특성이 토지피복분류별로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생태분야의 범위에서 국내외 기후 변화 리스크 평가 및 적응대책 보고서 등 관련 문헌을 분석하고, 토지피복분류도와 생물종 조사자료의 공간정보 분석을 통해 생태계 유형 분류방안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진행의 절차는 Figure 1과 같으며, 각 장별로 적용된 연구방법론과 활용 데이터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생태분야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체계에 활용하기 위해 토지피복분류 기준에 따른 생태계 유형분류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적용성 검토의 범위는 국내 토지피복분류와 제 3차 자연환경조사 자료의 중첩분석을 바탕으로 분류군별 토지피복 이용/선호 경향성을 확인하고 리스크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리스크 관리체계에 활용될 수 있는 생태계 유형분류는 유럽국가의 사례와 같이 국가 혹은 그 이상의 단위에서 토지피복과 생물종 및 서식지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공신력 있는 공간정보DB 구축 및 시스템화가 전제가 되어야 한다.
  • 본 절에서는 생물종 분류군별 대분류 및 중분류 토지피복 서식 현황을 정리하여 토지피복 유형과 생태계 유형 분류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먼저, 대분류 토지피복별 분류군 서식면적에 대한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해 토지피복별로 6개 분류군의 서식/이용면적을 정리한 결과는 Table 8 및 Figure 3과 같다.
  • 그 첫단계로, 국내 생태분야 리스크 평가의 유형 분류가 전제되어야 각 생태계 유형별 위해, 노출, 취약성의 파악과 함께 리스크 평가가 가능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생태분야 리스크 평가 및 적응대책 수립의 공간적 기준이 될 수 있는 생태계 유형 분류 방안 검토를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국가차원의 생태분야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및 적응대책 수립 사례로부터 다양한 생태계 유형 적용 방안을 파악하고, 국내 생태분야 리스크 평가 및 적응대책 수립에 적합한 생태계 유형 분류에 대해 제언한다.
  • 생태분야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는 국가의 핵심/주요 생태계 뿐만 아니라 국가 생태계 전체를 유형화 하여 서식지와 종의 리스크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생태분야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체계에 활용하기 위해 토지피복분류 기준에 따른 생태계 유형분류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적용성 검토의 범위는 국내 토지피복분류와 제 3차 자연환경조사 자료의 중첩분석을 바탕으로 분류군별 토지피복 이용/선호 경향성을 확인하고 리스크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절에서는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DB를 생물종 정보로 활용하여, 대분류 및 중분류 토지피복도별 서식특성을 살펴보고 토지피복분류가 서식특성을 반영한 생태계 유형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먼저 ArcGIS를 활용하여 2009년 제작된 대분류 및 중분류 토지피복도와 제 3차 자연환경조사자료(2006∼2013년) DB를 중첩분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변화는 무엇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기후변화는 생물종다양성과 서식지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서식지와 생물종이 견딜 수 있는 기후 한계와 저항 능력이 상이하다는 사실이 장기간의 국내외 연구 및 조사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UK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2017: Evidence Report). 국외에서는 이러한 연구조사에 근거하여, 생태계 전반에 걸쳐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서식지와 생물종 특성에 따라 리스크를 평가하고 적응대책을 수립하고 있다(Mawdsley et al.
제40차 IPCC 총회에서 승인·채택된 어느 분야에서 수자원, 생태계, 식량 및 산림, 해안, 산업, 보건 부문의 리스크 평가 및 적응에 대한 고려를 강조하였는가? 제40차 IPCC 총회에서 승인·채택된 제5차 기후변화평가보고서(Fifth Assessment Report, AR5) 중 기후변화 영향, 적응, 취약성(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평가를 담당하는 작업반(Working Group, 이하 WG)2에서는 수자원, 생태계, 식량 및 산림, 해안, 산업, 보건 부문의 리스크 평가 및 적응에 대한 고려를 강조하였다(WG2 AR5 Phase 1 Report Launch 2014). 이는 기후변화로 인해 리스크의 패턴과 잠재적 이익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평가하고, 적응과 완화 조치를 국가 단위 정책 및 계획 수립에 반영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다.
IPCC 제5차 보고서의 리스크 개념이 반영되지 않은 취약성 평가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생태분야 관련 연구의 사례로는 무엇들이 있는가? 그나마 일부 존재하는 생태분야 관련 연구는 IPCC 제5차 보고서의 리스크 개념이 반영되지 않은 취약성 평가 단계에 머무르고 있으며, 통계 모형 혹은 공간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미래 변화 예측을 통해 한반도 지역 산림의 취약성 평가 사례가 주를 이룬다. 그 사례로, 미래(2050년)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기후대 및 산림식생의 분포를 환경요소(기후, 지형, 토양)들과의 통계모형으로 예측하고 기후변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여 발생하는 취약지역의 특성(수평 확장, 수평 감소, 수직 이동)에 대해 산림기후대 및 군락단위 산림식생의 취약성을 평가한 사례(Kim & Lee 2006), 현재(2000년) 및 미래(2050년)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지역의 고산, 아고산 식생 분포를 통계모형에 의해 예측하고 식생의 출현 여부에 따른 취약성을 평가한 사례(Lee & Kim 2007), 한국형 산림분포 모델을 활용하여 기후요소에 따른 현재(1999년) 및 미래(2065년, 2099년) 잠재산림분포를 예측하고 산림분포의 변화빈도(민감성) 및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 방향(적응성)을 조합하여 잠재 산림 분포 취약성 및 행정구역별 산림분포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한 사례(Lee et al. 2011), 현재(2000년) 및 미래(2050년) 기후변화에 따른 남한 산림생태계 영향을 산림생태계 분포 및 기능모델, 사회·환경적 지표를 이용하여 취약성 평가 규준인 민감도, 노출, 적응능력의 지표에 따라 예측(Byeon et al. 2012)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또한 개별 수종에 대해서는 현재(2000년) 및 미래(2100년)에 대해 기후변화에 따른 리기다소나무림의 잠재 생육 적지분포 변화를 기후요소에 대한 정규분포를 통해 예측(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Alderman R, Hobday AJ. 2017. Developing a climate adaptation strategy for vulnerable seabirds based on prioritisation of intervention options. Deep-Sea Research II. 140:290-297. 

  2. Assessment Report 5-Working Group 2. 2014. Phase 1 Report Launch. 

  3.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for Europe, http://biodiversity.europa.eu/maes/typology-ofecosystems 

  4. Byun J, Lee WK, Choi S, Oh S, Yoo S, Kwon T, Sung J, Woo J. 2012.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Forest Ecosystem to Climate Change Based on Spatio-temporal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1):159-169. [Korean Literature] 

  5. Cabral P, Levrel H, Schoenn J, Thiebaut E, Le Mao P, Mongruel R, Rollet C, Dedieu K, Carrier S, Morisseau F, Daures F. 2015. Marine habitats ecosystem service potential: A vulnerability approach in the Normand-Breton (Saint Malo) Gulf, France. Ecosystem Services. 16: 306-318. 

  6. Chen Q, Liu J, Ho KC, Yang Z. 2012. Development of a relative risk model for evaluating ecological risk of water environment in the Haihe River Basin estuary are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20: 79-89. 

  7. Climate-Adapt-Sharing adaptation information across Europe, European Climate Adaptation Platform. http://climate-adapt.eea.europa.eu 

  8. Committee on Climate Change. 2017. UK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Evidence Report: UK Government Report. 

  9. Commonwealth of Australia. 2009. Climate Change Risks to Australia's Coast-A first pass national assessment: Government Report. 

  10. Defra (Willows R and Connell R). 2003. Climate adaptation: Risk, uncertainty and decisionmaking. UKCIP Technical Report. 

  11. Defra. 2012.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for the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Sector, UK. 

  12. Defra. 2017. UK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Evidence Report. 

  13.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and Heritage. 2006. Climate Change Impacts & Risk Management A Guide for Business and Government, Australia. 

  14. German Federal Environment Agency. 2015. Germany's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15. HMGovernment. 2013. The National Adaptation Programme: UK Government Report. 

  16. Jang DH, Kim JS. 2009. Vulnerability Assessment under the Sea Level Rise Based on Climate Change in Chungnam Coast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6(2): 1-13. [Korean Literature] 

  17. Japan Agency for Marine-Earth Science and Technology, http://www.jamstec.go.jp/sousei/eng/. 

  18. Mawdsley JR, O'Malley R, Ojima DS. 2009. A Review of Climate-Change Adaptation Strategies for Wildlife Management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Conservation Biology. 23(5):1080-1089. 

  19. Kim CC, Kim TG. 2016. Evaluation on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of Korea National Parks. The Korean Society of Limnology. 49(1): 42-50. [Korean Literature] 

  20. Kim ES, Yoon KY, and Lee SH. 2014. Lake Vulnerability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1): 6877-6883. [Korean Literature] 

  21. Kim YK, Lee WK, Kim YH, Oh , Heo JH. 2012. Changes in Potential Distribution of Pinus rigida Caused by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3): 509-516. [Korean Literature] 

  22. Kim JW, Lee DK. 2006. A Study on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Forest Vegetation using Regional Climate Model.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9(5): 32-40. [Korean Literature] 

  23. Kong WS, Lee S, Park H, Yu JA. 2012. Ecosystem Vulnerability Assessment of Local Government Due to Climate Change. The Korean Society of Climate Change Research. 3(1): 51-69. [Korean Literature] 

  24. Korea Environment Institute (Yoo and Kim). 2008. Development of Vulnerability Assessment Index and Introduction Plan. [Korean Literature] 

  25. Korea Environment Institute (Chae et al). 2013a. Analysis on Risk Factors and Management Plan for Minimizing National Risks in Sector. [Korean Literature] 

  26. Korea Environment Institute (Lee et al). 2013b. A Study on Response Plan to Climate Change Risk in Korea for Coping with Global Adaptation Strategies. [Korean Literature] 

  27.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ark et al). 2014. Prospect for Climate Environment Risk and National Strategy (I). [Korean Literature] 

  28. Korea Environment Institute (Cho et al.). 2014. Study on Quantifying Risk of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1. [Korean Literature] 

  29. Korea Environment Institute(Park et al). 2014. A Study on the Second National Adaptation Strategy to Climate Change. [Korean Literature] 

  30. Korea Environment Institute (Chae et al). 2016. Developing Climate Change Combat Capability Assessment Framework. [Korean Literature] 

  31. Korean National Park Service. Korean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3. Establishment of Monitoring System of Ecosystem Impact from Climate Change. [Korean Literature] 

  32. Lee DK, Kim JW. 2007. Vulnerability Assessment of Sub-Alpine Vegetations by Climate Change in Korea.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0(6):100-119. [Korean Literature] 

  33. Lee S, Choi S, Lee WK, Park T, Oh S, Kim SN. 2011. Vulnerability Assessment of Forest Distribution by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2): 256-265. [Korean Literature] 

  34. Ministry for the Environment. 2008. Climate change effects and impacts assessment: A Guidance Manual for Local Government in New Zealand-2nd Edition. New Zealand. 

  35.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15.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and National Adaptation Planning Process in Japan. Government of Japan. 

  36.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2011. Study on Vulnerability Due to Climate Change for supporting Pilot Development of Specific Adaptation Action Plan in Lower Level Local Government. [Korean Literature] 

  37. National Biodiversity Center in Korea, http://www.cbd-chm.go.kr 

  38. National Environment Information Network System of Korea Environment Institute, http://www.neins.go.kr 

  39.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4. Methodological Development of the Ecosystem Services Assessment and Valuation. [Korean Literature] 

  40. Okey TA, Agbayani S, Alidina HM. 2015. Mapping ecological vulnerability to recent climate change in Canada's Pacific marine ecosystems. Ocean & Coastal Management. 106: 35-48. 

  4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9. Repor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2009(Study on Agricultural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811-823. [Korean Literature] 

  42. Samhouri JF, Levin PS. 2012. Linking land- and seabased activities to risk in coastal ecosystems. Biological Conservation. 145(1): 118-129. 

  43. Sample JE, Baber I, Badger R. 2016. A spatially distributed risk screening tool to assess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mpacts on waterrelated ecosystem services.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83: 12-26. 

  44. Stelzenmuller V, Ellis JR, Rogers SI. 2010. Towards a spatially explicit risk assessment for marine management: Assessing the vulnerability of fish to aggregate extraction. Biological Conservation. 143(1): 230-238. 

  45. Southern Metropolitan Regional Council. 2009.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Risk Management and Adaptation Action plan for the Southern Metropolitan Councils: Australian Government Report. 

  46. Summit Enterprises International Inc. 2014. Canadian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Guide: A Strategic Overview of Climate Risks and Their Impact on Organizations, Canada. 

  47. The Federal Government. 2008. German Strategy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German Government. 

  48. The Korean Society of Climate Change Research. 2012. Advanced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Each Sector of Local Government. [Korean Literature] 

  49. US Land Cover - The USGS Land Cover Institute, https://landcover.usgs.gov/uslandcover.php 

  50. Webster MS, Colton MA, Darling ES, Armstrong J, Pinsky ML, Knowlton N, Schindler DE. 2017. Who Should Pick the Winners of Climate Change?. Cellpress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32(3): 167-173. 

  51. Xu Y, Shen ZH, Ying LX, Ciais P, Liu HY, Piao SL, Wen C, Jiang YX. 2016. The exposure, sensitivity and vulnerability of natural vegetation in China to climate thermal variability (1901-2013): An indicator-based approach, Ecological Indicators. 63: 258-2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