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적응정책 관련 생태계 지식정보 수요와 활용도 증진 방향 - 생태계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및 적응대책을 중심으로 -
A Survey of Ecological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Korea - Focused on the Risk Assessment and Adaptation Strategy to Climate Change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9 no.1, 2020년, pp.26 - 36  

여인애 (국립생태원) ,  홍승범 (국립생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생태계 적응 연구 및 지식현황을 진단하고, 국가의 기초생태정보가 생태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지식 및 근거기반으로 기능하는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생태계 분야 기후변화 지식과 생태정보 발전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생태계 관련 국가기관 및 17개 광역지자체 출연연구원에서 생태계 분야 적응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를 대상으로, "생태계 분야 기후적응 지식기반 진단 및 정보수요"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기후변화 적응정책 수립 연구 수행을 위한 생태정보 활용현황, 생태계 분야 적응지식 향상을 위한 정보 수요, 생태정보 활용도 증진방안을 도출하였다. 설문응답자의 대다수(90.7%)는 생태정보가 적응 연구수행과 연관성이 크다고 응답하였지만, 현행 생태정보가 적응 연구 수행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것은 과반(53.2%)에 불과하며, 생태정보 전반의 내용 및 품질향상과 함께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변화(생산성, 군집구조, 먹이사슬, 생물계절, 분포범위, 개체수 등)'에 대한 지식기반 강화 및 정보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연구자들은 생태분야 적응 연구 및 정보생산 고도화를 위해, 지역 생태계 조사 및 인벤토리 구축, 기후변화 모니터링 설계 고도화, 지역 사례연구 필요성을 지적한 가운데, 정보생산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생태계 변화모니터링 지침/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생태정보의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생태정보 플랫폼 구축을 통해 국가 및 지역의 적응 네트워크를 운영함으로써 지식과 정보를 교류하는 동시에 생태계 유형 및 시공간 정보/지식의 확장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present research and knowledge-base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ecosystem sector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basic information on ecosystem that functions as evidence-base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to deduce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f...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생태계 적응 연구 및 지식현황을 진단하였다. 국가의 기초생태정보가 생태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지식 및 근거기반으로 기능하는 현황을 파악하였다. 우리나라 생태계 관련 국가기관 및 17개 광역지자체 출연연구원에서 생태계 분야 적응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를 대상으로, “생태계 분야 기후적응 지식기반 진단 및 정보수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기후변화 적응 연구에 현행 생태정보가 도움이 되는 정도를 파악하였다. 생태정보가 적응 연구 수행과 관련이 있다고 응답한 연구자가 9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생태정보는 연구 수행의 전제조건이라고 할 만큼 업무 연관성이 높다(Table 3).
  • 기후변화 적응에 따른 생태계 정보 생산과 이용 및 교류 등 활성화 방안에 대해 조사하였다. 효율적 정보생산과 생산되는 정보의 품질을 고도화하는 방안을 우선순위로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 분야 기후적응 지식기반 진단 및 정보수요” 조사 대상을 생태계 분야 국가 기후 변화적응대책 및 지자체의 세부이행계획 수립 정책연구를 포함하여 생태계 적응 관련 주제에 대해 기초연구 수행 경험이 있는 연구자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생태계 분야의 기후변화 적응 연구 및 지식현황을 진단하고 생태계 분야 기후 변화 지식과 생태정보 발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우리나라 생태분야 적응 지식의 주요 생산처 및 수요처는 국가기관/지자체, 학계 등 일반 연구자가 중심이 된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생태계 적응 연구 및 지식현황을 진단하였다. 국가의 기초생태정보가 생태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지식 및 근거기반으로 기능하는 현황을 파악하였다.
  • 생태계 적응연구 및 정보생산 방안에 대해 연구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자들은 현행 연구 및 정보 생산 고도화를 위해 지역단위에서 생태계 조사를 실시하고 지역의 생태계 인벤토리를 구축하는 동시에 DB 화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의견에 가장 많이 동의하였다 (42%).
  •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적응 주제별 연구진행 및 지식의 축적 정도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어떠한 정보들이 부족하고 향후 보완되어야 할지 확인하였다. 적응 주제별 연구현황에 근거하여 향후 중요도 및 시급도에 따라 보완되어야 할 정보를 도출하였다. 적응 분야의 주제는 한국환경정책평가원에서 제공하는 ‘생태계 부문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지원 매뉴얼(KEI 2016)’을 참고로 하였다(Table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생태계 적응 연구 및 지식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생태계 분야 기후변화 지식과 생태정보 발전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생태계 분야 기후적응 지식기반 진단 및 정보수요'를 조사한 결과는?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생태계 관련 국가기관 및 17개 광역지자체 출연연구원에서 생태계 분야 적응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를 대상으로, "생태계 분야 기후적응 지식기반 진단 및 정보수요"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기후변화 적응정책 수립 연구 수행을 위한 생태정보 활용현황, 생태계 분야 적응지식 향상을 위한 정보 수요, 생태정보 활용도 증진방안을 도출하였다. 설문응답자의 대다수(90.7%)는 생태정보가 적응 연구수행과 연관성이 크다고 응답하였지만, 현행 생태정보가 적응 연구 수행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것은 과반(53.2%)에 불과하며, 생태정보 전반의 내용 및 품질향상과 함께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변화(생산성, 군집구조, 먹이사슬, 생물계절, 분포범위, 개체수 등)'에 대한 지식기반 강화 및 정보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연구자들은 생태분야 적응 연구 및 정보생산 고도화를 위해, 지역 생태계 조사 및 인벤토리 구축, 기후변화 모니터링 설계 고도화, 지역 사례연구 필요성을 지적한 가운데, 정보생산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생태계 변화모니터링 지침/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생태정보의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생태정보 플랫폼 구축을 통해 국가 및 지역의 적응 네트워크를 운영함으로써 지식과 정보를 교류하는 동시에 생태계 유형 및 시공간 정보/지식의 확장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환경부 산하의 여러 생태전문 연구기관의 역할은? 현재 우리나라의 기초 생태정보는 국가적으로는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등과 지역적으로는 지자체 조례에 의거하여 작성되고 관련 정책 수립에 활용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산림청, 환경부 산하의 여러 생태전문 연구기관에서는 생태계 조사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초 생태정보(공간자료)를 작성하여 국가 자연환경보전정책 수립에 활용하고 있다. 국가의 기초생태 정보를 뼈대로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적응지식을 축적하고 이를 다시 공간정보로 통합함으로서 생태정보를 확장시켜나갈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기초 생태정보는 무엇에 의거하여 작성되고 있는가? 그러나 우리나라의 생태분야 리스크 평가 및 적응정책의 근거기반이 되는 생태정보의 양과 질은 상당히 제약이 있는 실정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기초 생태정보는 국가적으로는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등과 지역적으로는 지자체 조례에 의거하여 작성되고 관련 정책 수립에 활용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산림청, 환경부 산하의 여러 생태전문 연구기관에서는 생태계 조사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초 생태정보(공간자료)를 작성하여 국가 자연환경보전정책 수립에 활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ooth TH. 2012. Biodiversity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Australia: Strategy and Research Developments. Advances in Climate Change Research. 3(1): 12-21. 

  2. Committee on Climate Change. 2017. UK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evidence report : UK Government Report. 

  3. Conroy MJ, Runge MC, Nichols JD, Stodola KW, Cooper RJ. 2011. Conservation in the face of climate change: The roles of alternative models, monitoring, and adaptation in confronting and reducing uncertainty. Biological Conservation. 144: 1204-1213. 

  4. Defra. 2012.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for the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sector, UK. 

  5. Defra. 2017. UK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 Evidence Report. 

  6. HMGovernment. 2013. The National Adaptation Programme : UK Government Report. 

  7.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0. Manual for local adaptation planning(I). [Korean Literature] 

  8.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6. Manual for local adaptation planning(II) - ecosystem sector. [Korean Literature] 

  9. Korea Environment Institute(Chae et al). 2016. Developing climate change combat capability assessment framework. [Korean Literature] 

  10.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Yeo et al). 2017. Climate adaptation in Ecosystem sector - Current and future development in adaptation strategy for biodiversity in the advanced countries. [Korean Literature] 

  11.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and adaptation strategy research for ecosystem in Korea [Korean Literature] 

  12. UNFCCC [Internet]. http://unfccc.int(2019.1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