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실무 발전방향 연구 - 생태계 분야 기후변화 적응 시행계획 수립 및 이행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Initiative for Public Practices of Local Governmentsin Korea - Focused on the Local Adaptation Planning in Ecosystem Sector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9 no.2, 2020년, pp.79 - 92  

여인애 (국립생태원) ,  홍승범 (국립생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 분야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및 이행 단계에서 정책 실무자에게 주어지는 정보 현황과 수요를 파악하고 향후 생태계 분야 기후변화 지식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우리나라 17개 광역지자체 및 이하 기초지자체 생태계 분야 소관부서에서 적응 실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생태계 분야 기후적응 지식기반 진단 및 정보수요"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무에 활용되는 생태정보활용현황을 분석하고 활용도 증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설문응답자 전체(231명)의 75%(광역 85%, 기초 72%)는 생태정보의 존재 및 활용이 적응사업 수행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적응업무를 포함한 생태계 소관부서 내 업무 전반을 위해 생태정보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광역 82%, 기초 72%). 그러나 실제로 국가 및 지자체에서 생산하는 생태정보를 업무에 활용하는 비율은 크게 낮았다(광역 28%-64명, 기초 18%-42명). 지자체 행정 실무자들이 현업에서 생태정보를 활용할 때 느끼는 주요 한계점은 생태정보의 존재에 대한 인식과 업무 연계방안 등 정보 자체에 대한 사전 지식의 부족이었다. 이에 현존하는 기후변화 지식과 생태정보를 지자체 행정 실무자에게 교육 및 홍보를 통해 전달하는 것이 급선무로 나타났다. 향후 지자체 실무자들에게는 지자체 정책 목적에 따라 생태계 보전 또는 주민생활 지원 사업 등 생태계서비스 증진 측면의 활용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도록 생태계 현황에 대한 기초 정보와 지역개발 및 보전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생태정보가 마련되어야 한다. 정보 활용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생태정보 활용방안에 대해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동시에 이용활성화를 위한 제도의 운영 및 관리가 필요하다. 국가적으로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정보에 대한 홍보, 업무 활용방안에 대해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지자체의 적응지식 및 생태정보 활용역량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further needs of ecological information which is provided with the civil servants in the proces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ning in ecosystem sector and at providing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ecological knowledge on climate chang...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수행한 “생태계 분야 기후적응 지식기반 진단 및 정보수요” 조사는 지자체의 정책 수립 및 이행을 담당하는 공무원(이하, 적응 실무자)이 필요로 하는 지식 및 정보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 분야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및 이행 단계에서 적응사업 실무자에게 주어지는 정보 현황과 수요를 파악하고 향후 생태계 적응 지식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우리나라 지자체 공무원들이 적응사업 수립 및 이행 시 생태정보의 존재 유무에 대해서 인지하고 실무에 활용할 필요성을 느끼는지 여부를 파악한 결과 광역지자체를 중심으로 생태정보의 존재 및 활용이 적응사업 수행과 관련이 있고(광역 85%, 기초 72%) 적응업무를 포함한 생태계 소관부서 내 업무 전반에도 생태정보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광역 82%, 기초 72%).
  •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 분야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및 이행 단계에서 정책 실무자에게 주어지는 정보 현황과 수요를 파악하고 향후 생태계 분야 기후변화 지식으로서의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17개 광역지자체 생태계 분야 소관부서에서 적응 실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생태계 분야 기후적응 지식 기반 진단 및 정보수요”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무에 활용되는 생태정보 활용현황을 분석하고 정보 활용도 증진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조사는 기후변화 적응대책 중 생태계 분야 실무에 종사하는 전국 지자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생태정보 수요와 발전방향을 주제로 우리나라에서 처음 진행된 설문이라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기존 연구를 통해 제시된 이슈와 쟁점을 찾기 어려워 본 설문 조사 분석은 응용통계를 활용한 분석을 수행하기보다는 기술통계적 분석방법으로 지자체 공무원의 적응사업 실무를 위한 생태정보 활용 현황(인식, 정보활용 현황)에 대해 소개하고, 지자체 공무원의 생태계 적응 실무를 위한 생태정보 활용도 증진 방안(생태정보 활용 시 발생하는 문제점, 실무 지원을 위한 생태정보 수요, 생태정보 활용도 제고를 위한 정책 및 제도적 보완방안)에 대해 정리하였다.
  • 행정 실무자들이 국가 및 지자체 생산 정보를 활용한다고 응답한 경우, 구체적 활용처는 다음과 같다. 실무자가 생태정보를 업무에 활용하는 목적은 야생동물 보호사업, 생물다양성 전략, 서식지 보호 등과 같은 적응 업무를 비롯하여 지역계획 및 도시설계, 지자체 민원 대응을 위한 근거자료, 지자체 생태계에 대한 교육 및 홍보였다. 활용 자료는 국가 공간 기초자료(토지피복도 등), 멸종위기종 목록 등을 웹사이트에서 검색하거나 민원 발생지역 중심의 현장 방문을 통해서 지역의 생태계 현황을 확인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 외래종 및 교란종과 지역의 취약종 및 멸종위기종 정보 역시 생태계 보전차원에서는 외래종 확산에 따른 자생종 피 해 대책 마련, 멸종위기종 복원 및 보전 계획에 활용 하려는 수요가 있는 한편 생태계서비스 증진 차원에 서는 주민생활에 미치는 피해와 인식 제고를 위한 수요가 동시에 존재했다. 특히 인간의 복지와 생태계 보전이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 지역계획 측면에서 토지 및 수자원 보호와 주민생활에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보 활용처가 구3) 생태정보 활용도 제고를 위한 정책 및 제도적 보완방안분되었다. 향후 생태정보를 고도화하고 지역의 관련 정보를 신규 구축할 때, 생태계 보전과 생태계서비스 측면의 수요를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활성화를 위해 개선되어야 할 사항과 필요를 조사하였다. 행정 실무자들은 정보의 시공간적 정밀도 향상, 지역 수요에 적합한 생태정보 제공, 생태정보의 사전 지식 함양 및 직무 교육을 통한 정보이용 역량 향상을 바라고 있었다.
  • 정보 수요 관련 문항으로는 소속 부서에서 수행하는 업무 일반을 비롯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적응’에 대한 업무 수행 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생태정보의 종류와 내용을 기술 하도록 하였다. 활용도 증진방안으로는 업무 수행 시 생태정보 활용도가 낮다고 인식하는 이유와 생태정보의 업무 활용도 제고를 위한 정책 및 제도적 보완방안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 초안은 워크숍에 참여하였던 행정 실무자를 중심으로 구성 및 내용을 정리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의 감수(자문회의 및 서면자문)를 거쳤다.

가설 설정

  • Q1. Do you think the ecological information i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adaptation projects in the ecosystem sector?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B 관리 종합시스템을 구비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 시점에서 지자체가 보유한 생태 지식 및 정보 활용 역량이 낮기에, 국가차원에서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정보에 대한 홍보, 업무 활용방안에 대해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지자체의 적응지식 및 생태정보 활용역량을 강화시킬 책임이 크다. 정보생산처라는 입장에서 국가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객관성과 신뢰성 향상을 위해 정보 구축 체계의 보완과 선진적 수준의 정보 품질관리, 정보에 접근하기 쉬운 DB 관리 종합시스템을 구비해야 한다. 실무자들은 지자체 생태계 분야의 적응사업 활성화를 위해 예산 및 인력의 부족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었다.
행정 실무자들이 생태정보에 대한 사전 지식이 부족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 결과 과반이 넘는 행정 실무자들은 생태정보의 존재 유무와 업무와의 연계성 및 활용성 등 정보 자체에 대한 사전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첫 번째로, 생태정보의 존재 유무 또는 내용, 생산처 등에 대한 지식이 없어 현업에 활용하고 있지 않거나(57%), 현행 생태정보에 대한 지식이 있다 하더라도 현업에 활용해야 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3%). 두 번째로, DB 활용여건이 불편하기 때문에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생태정보 접근에 대한 권한이 낮거나 정보취득 절차의 불편함 등으로 인해 정보 활용도가 낮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세 번째로, 생태정보 품질의 측면에서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가 충실하지 못한 것도 큰 한계점으로 나타났다(Table 8).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세부시행계획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17개 광역지자체 대부분1)과 이하 기초지자체 일부에서는 제2차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 (2016∼2020)에 준하여 세부시행계획(2017∼2021) 을 수립하고 이행중이다(KEI 2016 ; 관계부처 합동 2018). 지자체의 적응대책은 환경부가 제공하는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매뉴얼’ 에 따라 7개 부문(건강, 재난/재해, 농업, 산림, 해양 /수산, 물관리, 생태계)에서 취약성 및 리스크 평가를 기반으로 수립되고 있다(KEI 2016). 구체적으로는 지자체의 연구자(지자체 산하 연구기관 또는 대학교 소속)들이 현재 지역의 기후변화 정보와 전문가적 지식에 근거하여 취약성 및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에 필요한 적응정책을 지자체 정책 실무자에게 제안하면 정책의사결정 과정을 거쳐 지자체의 시책으로 수립 및 이행되는 절차이다(NIE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ommittee on Climate Change. 2017. UK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evidence report : UK Government Report. 

  2. Lindenmayer DB, Steffen W, Burbidge AA, Hughes L, Kitching RL, Musgrave W, Smith MS, Werner PA. 2010. Conservation strategies in response to rapid climate change: Australia as a case study. Biol. Conser. 143: 1587-1593. 

  3. Defra. 2012.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for the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sector, UK. 

  4. Defra. 2017. UK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 Evidence Report. 

  5. Kim D, Kang JE. 2016. The Evaluation of Adaptive Capacity Using Needs Assessment. J. Environ. Policy. Admin. 24(3): 51-72. [Korean Literature] 

  6. Oh DK, Kim SB, Khark KH, Noh HK, Go Y. 2010. Residents Awareness Analysis for Climate Change Policy - Focus on Forest Sector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 Korean J Agric. Sci. 37(1): 19-25. [Korean Literature] 

  7. HMGovernment. 2013. The National Adaptation Programme : UK Government Report. 

  8. De Koning J, Winkel G, Sotirov M, Blondet M, Borras L, Ferranti F, Geitzenauer M. 2014. Natura 2000 and climate change-Polarisation, uncertainty, and pragmatism in discourses on fores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Europe. Environ. Sci. Policy. 39: 129-138. 

  9. Koh JK, Kim JH. 2011. Have local official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daptive policy?. J Korean Urban Mgmt. Assoc. 24(3): 51-72. [Korean Literature] 

  10. Koh J. 2017. A Study on Change in Climate Change Adaptation Governance of Korean Local Governments - Focusing o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Action Plan and Its Implementation Stage -. J Clim. Change Res. 8(2): 99-108. [Korean Literature] 

  11. Perry J. 2015.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the world’s best places: A wicked problem in need of immediate attention. Landscape Urban Plan. 133: 1-11. 

  12.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0. Manual for local adaptation planning(I). [Korean Literature] 

  13.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6. Manual for local adaptation planning(II) - ecosystem sector. [Korean Literature] 

  14. Korea Environment Institute (Chae et al). 2016. Developing climate change combat capability assessment framework. [Korean Literature] 

  15.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Oh et al). 2017. Survey on current status of building and using statistics for evidencebased policy. [Korean Literature] 

  16. Webster MS, Colton MA, Darling ES, Armstrong J, Pinsky ML, Knowlton N, Schindler DE. 2017. Who should pick the winners of climate change?. Cellpress Trends Ecol. Evol. 32: 167-173. 

  17.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Yeo et al). 2017. Climate adaptation in Ecosystem sector - Current and future development in adaptation strategy for biodiversity in the advanced countries. [Korean Literature] 

  18.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and adaptation strategy research for ecosystem in Korea [Korean Literature] 

  19. Government Relevant Ministry. 2018. Implementation planning for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2016-2020) [Korean Literature] 

  20. Kim S, Lee C, Choi Y, Kim J, Shin G, Seo S. 2015. Case Study on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Climate Change Prospect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the Awareness of Those by Public Officials and Citizens at Yeongwol County. J Clim. Change Res. 6(2): 133-142. [Korean Literature] 

  21. Hagerman SM, Satterfield T. 2013. Entangled judgments: Expert preferences for adapting biodiversity conservation to climate change. J Environ. Mgmt. 129: 555-563. 

  22. Oh S, Lee WK, Yoo S, Byun J, Park S, Kwak H, Cui G, Kim M, Jung R, Nam K, Shin D. 2012. A Study on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Prioritizing Sectors to Support Adaptation Strategy to Climate Change - Case Study of Gangwon Province -. J Clim. Change Res. 3(4): 245-257. [Korean Literature] 

  23. Booth TH. 2012. Biodiversity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Australia: Strategy and Research Developments. Advances in Clim. Change Res. 3(1): 12-21. 

  24. Kang YG, Ahn YJ, Park CS. 2016.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ies and Systematization. J Environ. Policy Admin. 24(1): 243-262. [Korean Literature] 

  25. Ban YU, Go IC, Baek JI. 2017. Comparative Analysi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related Recognition between Public Officials and Citizens - Focused on ChungCheong BukDo-Province. J Korean Reg. Sci. Assoc. 33(4): 19-28. [Korean Literature] 

  26. Jeong Y, Ha J. 2015. The Comparative Study of Perception of the Public and Stakeholder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J Clim. Change Res. 6(2): 159-166. [Korean Literature] 

  27. UNFCCC [Internet]. http://unfccc.int(2019.1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