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라디오 요리프로그램의 특성과 내용
A Study on Radio Cooking Program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2 no.6, 2017년, pp.487 - 497  

이규진 (경남대학교 식품영양생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2nd broadcasting cooking program of Gyeongseong Radio from April 26th 1933, when the 2nd broadcasting for Koreans started, to December 1941. From its opening date, there were continuously regular cooking programs such as 'Recipes' and introducing 'Japcha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을 위한 제 2방송이 시작된 1933년 4월 26일부터 전시체제로 접어들기 전인 1941년 12월까지의 약 7년 8개월 동안 경성라디오 제2방송 요리프로그램을 살펴보는 것이다. 방송에서 어떤 음식이 소개되었는지 살펴보고, 방송을 한 인물들에 대해서도 알아보려고 한다. 본연구는 지금까지 전혀 연구되지 않은 일제강점기 라디오 방송 요리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라는 의의를 갖으며, 당시 요리 프로그램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일제강점기 우리나라 식문화의 실체에 한걸음 더 접근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을 위한 방송이 시작된 1933년 4월 26일부터 1941년 12월까지 경성라디오 제2방송 요리프로그램을 살펴보는 것이다. 요리프로그램에 방송된 음식명을 분석한 결과, 한식 332회 (224종), 양식 71회(64종), 일식 24회(19종), 중식 18회(14종), 기타 7회(7종)로 총 452회(328종)가 방송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을 위한 제 2방송이 시작된 1933년 4월 26일부터 전시체제로 접어들기 전인 1941년 12월까지의 약 7년 8개월 동안 경성라디오 제2방송 요리프로그램을 살펴보는 것이다. 방송에서 어떤 음식이 소개되었는지 살펴보고, 방송을 한 인물들에 대해서도 알아보려고 한다.
  • 주로 3면이나 4면에 실린 라디오 편성표를 통해 요리프로그램의 편성과 음식명, 방송을 한 인물 등 관련내용을 조사하였으며 부족한 부분은 「Dong-A Ilbo(동아일보)」「, Chosun Ilbo (조선일보)」「, Choseonjungangilbo(조선중앙일보)」등 다른 신문에 실린 방송 편성표와 대조 검토하였다. 이외에도 당시 잡지에 나타난 기사, 회고록, 방송관련 자료 등 다양한 문헌연구를 통해 관련내용을 최대한 추적하여 다음의 연구 문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대 일본의 식문화 특징은 무엇인가? 근대 일본의 서양식 수용방식 연구에 따르면, 근대시기 서양과 일본의 요리재료와 요리방식을 서로 혼용하는 ‘절충요리’의 대중화가 이루어졌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오므라이스’, ‘카레라이스’, ‘고로케’, ‘돈카츠’ 등이었다(Kim 2015).
Frederick이 라디오 요리프로그램 편성에 관한 주장은 어떠했는가? 세계 최초의 방송 요리프로그램은 1923년 프랑스 라디오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미국에서 요리프로그램은 1924년 첫 라디오 전파를 탔다(MM Pack). 미국 라디오 방송 초기인 1922년에 여성소비자 분야 마케팅 전문가인 Frederick은 “Radio for the Housekeeper”라는 제목의 글에서 라디오가 여성의 삶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주장하며, 주부들을 위해 살림과 요리법 등 교육적이며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매일 편성할 것을 제안했다(Michele 1997).
우리나라 라디오 방송의 시작은 어떠하였는가? 한국 방송 요리프로그램의 시초는 일제강점기 라디오 방송이다. 우리나라 라디오 방송은 일본의 한반도 통치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1927년 2월 16일 서울 정동 1번지에서 호출부호 JODK, 출력 1kw로 시작되었고, 일본어 방송과 한국어 방송을 3대 1의 비율로 편성하였다(Choi & Han 2004). 호출부호 JODK는 일본이 ITU로부터 JO를 받은 후 도쿄가 AK, 오사카가 BK, 나고야가 CK로 개국한 다음 경성 방송국이 네 번째 호출부호인 DK를 부여받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i DH, Kim MS. 1997. Public farces in records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일제강점기 유성기 음반속의 대중희극]. Taehaksa, Seoul, Korea, p 242, p 27 

  2. Choi HC, Han JM. 2004. A History Study on Radio Broadcasting Programs in Korea. Hanulbooks, Seoul, Korea, p 15, p 39, p 41 

  3. Chosun Ilbo (조선일보) (1933.1.14. p 4) 

  4. Choseonjungangilbo (조선중앙일보) (1935.2.3. p 4) 

  5. Dong-A Ilbo (동아일보) (1925.3.24. p 6, 1934.9.19. p 8, 1939.5.10. p 4, 1996.4.3. p 8, 1936.3.21. p 2, 1981.11.21. p 11) 

  6. Hilmes, Michele. 1997. Radio Voices: American Broadcasting 1922-1952,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 147 

  7. JoongAng Ilbo (중앙일보) (1982.7.5. p 7) 

  8. Kang IH . 1987. Taste of Korea [한국의 맛]. Daehangyogwaseo, Seoul, Korea, p 151 

  9. Korean Broadcasting System. 1977. The history of Korea Broadcasting [韓國放送 史]. Daehangongnonsa, Seoul, Korea, p 40, p 50, p 56 

  10. Kim SH. 2015. A Study on the Reception of Western Food in Modern Japan-Chiefly on the Guideline for the Military Meals, the Model Food Materials and the Healthy Food for the Citizens-. Doctoral degree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pp 110-114, p117 

  11. Kim YH. 2002. Advent of Radio and Its Audience in Colonial Korea.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6(2):162-163, 165-167 

  12. Lee Eh. 2013. The Improvement of Dietary Life of the Upper Class in 1930s. Quarterly Review of Korean History, (88):296-297, 290 

  13. Lee KA. 2013. Review on Japchae in Cook Books Published during 1600s-1960s.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29(4):377 

  14. Lee KJ, Cho MS. 2008. Foodways in Korea during Japanese Occupation by Analysis of the articles in the Yeo-Sung Magazine -from 1936 to 1940-J. Korean Soc. Food Cult., 23(3):337 

  15. MaeilShinbo (매일신보) (1933.4.26.-1941.12.31. p 3, p 4) 

  16. Samcheolli (삼천리) (1934. 6 issue 11, p 123) 

  17. Seventy years of Dongdeok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1980. Seventy years of Dongdeok history. Dongdeokyeohakwon. Seoul, Korea, p162 

  18. Sixty years of Deokseong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1985. Sixty years of Deokseong history. Deokseong publication, Seoul, Korea, p90 

  19. Society for the preservation of Korea Broadcasting historical sources [韓國放送史料保存會]. 1994. Source book of the Korea Broadcasting [韓國放送史料集] No 4. Somangakademi, Ansan, Korea, pp 13-14 

  20. Thirty five years of Seongsi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1972. Thirty five years of Seongsin history. Sambok, Seoul, Korea, p 475 

  21. MM Pack, A Brief History of Food Radio, Available from: http://www.austinchronicle.com/food/2011-07-15/a-brief-history-of-food-radio/, [accessed 2017. 3.15] 

  22.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Available from: http://www.koreantk.com/ktkp2014/kfood/kfood-view.view?foodCd106948 [accessed 2017.4.17.] 

  23.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b,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Available from: http://www.koreantk.com/ktkp2014/kfood/kfood-view.view?foodCd107070 [accessed 2017.4.17.] 

  24.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c,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Available from: http://www.koreantk.com/ktkp2014/kfood/kfood-view.view?foodCd106454 [accessed 2017.4.17.] 

  25.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d,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Available from: http://www.koreantk.com/ktkp2014/kfood/kfood-view.view?foodCd105295 [accessed 2017.4.17.] 

  26.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e,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Available from: http://www.koreantk.com/ktkp2014/kfood/kfood-view.view?foodCd107091 [accessed 2017.11.9.] 

  27.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Available from: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accessed 2017. 3.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