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드라마 수용에 있어서 국가별 감정 반응 분석: 드라마 <도깨비>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Emotional Response to Korean Drama among Countries: With Drama 'Goblin'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0 no.4, 2017년, pp.31 - 40  

이예원 (KAIST 문화기술대학원) ,  우성주 (KAIST 문화기술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류 콘텐츠 소비 시 나타나는 한국, 일본, 미국의 감정 반응을 통해 국가별 소비 성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대해진 텍스트 리뷰를 이용한 감정 분석 연구가 주목받고 있고, 콘텐츠 수요에 환경적 특성이 주요한 영향을 주고 있음에도, 국가별 감정 반응 차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ussell(1980)이 제시한 감정 원형 모델을 사용하여 한국형 판타지 멜로드라마 <도깨비>에 대한 국가별 감정 단어의 변수 중요도 및 단어 간 연관을 비교하였다. 우선, 2017년 1월 26일부터 3월 26일까지 2달간의 텍스트 리뷰를 수집하였다. 둘째, 수집한 데이터로부터 Russell의 감정 모델에 해당하는 감정 단어를 선별하였다. 셋째, 선별한 데이터에 랜덤 포레스트를 적용하여 변수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넷째, Russell 축에 따른 주요 감정 단어 간 연관성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테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된 모델의 정확성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국가별 감정 단어의 변수 중요도에서 한국과 미국은 Happy, 일본은 Pleased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단어 간 연관성에서 한국은 수동적 불쾌감, 미국과 일본은 수동적 쾌감이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류 콘텐츠에 대한 국가별 감정 반응 차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Hallyu' contents consumption tendency of consumers from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by analyzing their emotional responses. With the development of social media, research on emotion analysis by reviewing text materials has grown. Whereas environmental var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심리학 분야에서 다루어지는 기본 감정 분류에 포함되는 단어를 추출하여, 국가별 문화콘텐츠 수요에서 나타나는 감정반응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러한 한국의 문화 콘텐츠를 수용하는 국가별 감정 차이에 대한 비교 연구는 문화 콘텐츠 성공 요인 및 수용자 행동 예측(Im et al.
  • , 2010), 감정과 매체와의 관계성(Song, 2011) 등 현재까지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감정 콘텐츠 반응 분석 연구에 꾸준히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에서 번안된 Russell의 감정 원형 모델을 이용하여 드라마 소비 시 나타나는 한국, 일본, 미국 수용자의 감정 차이를 비교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문화 교류의 측면에서 문화콘텐츠의 국가별 수요 반응을 비교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방송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존 장르를 혼합한 장르 세분화의 추세에 따른 콘텐츠 소비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한국에서 특유하게 나타나는 장르인 한국형 판타지 멜로드라마 <도깨비>를 선정하여, 한국, 일본, 미국 감정 반응을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 특유의 드라마 장르로 알려진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 감상 시에 나타나는 한국, 일본, 미국의 감정 반응을 비교하였다.
  • Russell 의 방법은 보편적인 감정 측면을 토대로 분석하는 모델이며 Feldman은 이와 대조적으로 개인 특성 차이를 부각시킨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감정 차이가 아닌 한국, 일본, 미국 감정 분석에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Lee, 1998)와 일본어(Shoda et al., 2015)로 번안 연구된 Russell의 감정 원형 모델을 채택하여, 한류 콘텐츠 감상 시 나타나는 한국, 미국, 일본의 주요 감정 단어를 비교하고, 단어 간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일본, 미국을 대상으로 SNS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가별 드라마 감정 소비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2017년 1월 26일부터 3월 26일까지 한국, 미국, 일본에 게시된 2달간 트위터 텍스트 600개를 크롤링하였고, 드라마 타이틀 ‘도깨비’를 포함한 해시태그에서 추출된 텍스트 리뷰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류 콘텐츠 소비 시 나타나는 한국, 일본, 미국 주요 감정 요인 차이를 국가별로 비교 하는 사례연구를 통해 사람들이 어떻게 한국 문화를 감정적으로 인식하는지 평가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데 공헌하고자 한다.
  • 특히, 최근 방송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존 장르를 혼합한 장르 세분화의 추세에 따른 콘텐츠 소비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한국에서 특유하게 나타나는 장르인 한국형 판타지 멜로드라마 를 선정하여, 한국, 일본, 미국 감정 반응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텍스트 리뷰를 바탕으로 대중 소비심리를 예측하는 연구들 중 초기에는 어떠한 연구가 이루어졌는가?  SNS, 블로그 등 뉴미디어의 발달로 국가 간 경계를 넘어서는 문화적 교류가 증가하면서, 음악,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소비하는 대중들이 양산하는 텍스트 리뷰를 바탕으로 대중 소비심리를 예측하는 연구들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초기 해외를 중심으로 비정형 텍스트를 이용한 콘텐츠에 대한 호감, 비호감 여부를 판단하는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감성 분석(Sentiment Analysis), 혹은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이라는 분야로 알려지게 되었다. 문화콘텐츠 분야에서는 영화 혹은 드라마 리뷰를 이용한 감성 분석(Thet et al.
감성 분석은 무엇을 연구하는 분야인가?  SNS, 블로그 등 뉴미디어의 발달로 국가 간 경계를 넘어서는 문화적 교류가 증가하면서, 음악,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소비하는 대중들이 양산하는 텍스트 리뷰를 바탕으로 대중 소비심리를 예측하는 연구들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초기 해외를 중심으로 비정형 텍스트를 이용한 콘텐츠에 대한 호감, 비호감 여부를 판단하는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감성 분석(Sentiment Analysis), 혹은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이라는 분야로 알려지게 되었다. 문화콘텐츠 분야에서는 영화 혹은 드라마 리뷰를 이용한 감성 분석(Thet et al.
<사랑이 뭐길래>는 왜 중국에서 인기를 끌었는가? 문화적 근접성이 크게 작용하는 드라마의 경우 동남아, 동아시아 등 아시아 지역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특징이 있어 한류 콘텐츠의 현지화 전략 및 콘텐츠 개발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장르이기 때문이다. 한류의 시작을 견인한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의 경우 가족과 유교라는 한중간의 문화적 공감대가 있었기에 중국 에서 인기를 끌었고. 이후 일본에서 흥행한 <겨울연가>, 중앙아시아에서의 사극 등도 모두 문화적 유사성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Ko,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ccianella, S., Andrea, E., & Fabriziom S. (2010). SentiWordNet3.0: An enhanced lexical resource forsentiment analysis and opinion mining. In Proceedings of the Seventh Conferenceon International Language Resources andEvaluation (LREC'10), 2200-2204. 

  2. Bae, I. H., & Kim, H. S. (2011). A korean wave diffusion strategy through success of culture contents in thailand. Journal of Product Research, 29(5), 21-32. DOI: 10.6115/fer.2017.012 

  3. Bartsch, A., Appeal, M., & Storch, D. (2010). Predicting emotions and meta-emotions at the movies: The role of the need for affect in audiences' experience of horror and drama. Communication Research, 37(2), 167-190. DOI: 10.1177/0093650209356441 

  4. Biau, G., & Scornet, E. (2016) A random forest guided tour. Test, 25(2), 197-227. DOI: 197-227.10.1007/s11749-016-0481-7 

  5. Breiman, L. (2001). Random forests. Machine Learning, 45(1), 5-32. DOI: 10.1023/A:101093340 

  6. Cho, B. C., & Sim, H. C. (2013). Sucess factor analysis of K-POP and a study on sustainable korean wave: Focus on smart media based on realistic cont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5), 90-102. DOI: 10.5392/JKCA.2013.13.05.090 

  7. Chon, B. S. (2005). Genre preferences for domestic and foreign television program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19(3), 209-241. 

  8. Eisenberg, N., Cumberland, A., & Spinard, T. L. (1998). Parental socialization of emotion. Psychological Inquiry, 9, 241-273. DOI: 10.1207/ s15327965pli0904_1 

  9. Feldman, D. C., & Turnley, W. H. (1995). Underemployment among recent business colleg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6, 691-706. DOI: 10.1002/job.4030160708 

  10. Ho, T. K. (1995). Random decision forests. Proc. 3rd Int. Document Analysis and Recognition, 1, 278-282. DOI: 10.1109/icdar.1995.598994 

  11. Hwangbo, H. W., & Kim, J. H. (2016).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o the export performance for korean drama using sentimental analysis. The e-Business Studies, 17(6), 87-99. DOI: 10.20462/TeBS.2016.12.17.6.87 

  12. Im, Y. J., Jang, H. W., & Kim, S. H. (2010). Research models for predicting foreign tourists behavior toward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Focu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4(6), 131-149. 

  13. Jang, K. A., Park, S. H., & Kim, W. J. (2015). Automatic construction of a negative/positive corpus and emotional classification using the internet emotional sign. Journal of KIISE, 42(4), 512-521. DOI: 10.5626/jok.2015.42.4.512 

  14. Jin, Y. H., Hong, K. W., & Kim, H. J. (2000). A Study on the research consumer's action style and important proper degree at the select fast food.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6(3), 167-192. 

  15. Kim, B. K., Hong, S. J., Oh, J. I., Lee, S. K., Kim, G. C., & Kang, M. C. (2014). A study on global strategy for expanding korean broadcasting market.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16. Kim, J. O. (2012). Impact analysis of nonverbal multimodals for recognition of emotion expressed virtual human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13(5), 9-19. DOI: 10.7472/jks ii.2012.13.5.9 

  17. Kim, M. H., Jang, H. Y., Jo, Y. M., & Shin. H, P. (2013). KOSAC: Korean Sentiment Analysis Corpus.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2013(6), 650-652. 

  18. Kim, W. S., Ham, J. S., Sohn, C. Y., Yun, J. S., Lim, C., & Ko, I. J. (2010). Measurement of emotional transition using physiological signals of audienc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8), 168-176. DOI: 10.5392/jkca.2010.10.8.168 

  19. Ko, J. M. (2009). The Korean Wave Across Asia and Throughout the World. Korea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e Exchange. 

  20. Ko, J. M. (2012). A study 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cultural industry. Humanities Contents, 27, 143-154. 

  21. Kwon, Y. H. (2005). The effects of affective responses and attitude toward TV film on destination image formation.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8(4), 335-356. 

  22. Lee, C. S., Choi, D. H., Kim, S. S., & Kang, J. W. (2013).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emotion in Korean microblog texts.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3), 159-167. 

  23. Lee, E. K., Suh, E. K., Thai C., Kim, H. J., & David, K. S, (2009). Is emotion suppression that bad? Comparing the emotion sup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link in two cultures.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3(1), 131-146. 

  24. Lee, S. H. (1998). An empirical study on the process of consumption emotio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 

  25. Lee, Y. S. (2011). Effect of toruism image on tourism motivation and experientiality of chinese tourists' on korean wav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 387-395. DOI: 10.5392/jkca.2011.11.1.387 

  26. Moon, H. J., & Park, S. H. (2013). An exploratory study the popular factors and likability of korean wave.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17(3), 19-47. DOI: 10.18327/jias.2013.10.17.3.19 

  27. Ortony, A., & Turner, T. (1990). What's basic about basic emotion?. Psychological Review, 97(3), 315-331. DOI: 10.1037//0033-295x.97.3.315 

  28. Russell, J. A. (1980).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and Social Psychology, 39, 1161-1178. DOI: 10.1037/h0077714 

  29. Shoda, H., Nitta, H., Suzuki, N., Kishimoto, W., & Sakata, M. (2015). Audio-visual interaction in the emotion perception of face and voice: Analyses of emotion judgment and reaction time. Cognitive Studies, 22(3), 480-485. DOI: 10.11225/jcss.22.480 

  30. Song, H. S. (2011).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and color in healing video Art.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4(3), 79-86. 

  31. Thet, T. T., Na, J. C., & Khoo, C. (2010). Aspect-based sentiment analysis of movie reviews on discussion board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6(6), 823-848. DOI: 10.1177/0165 551510388123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