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잎으로부터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을 제조하였고 이들 추출물/분획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1,1-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시험법을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루미놀 발광법을 이용한 총 항산화능$^1O_2$ 소광 효과를 평가하였다.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의 라디칼 소거 활성($FSC_{50}$)은 각각 45.6, 29.8 및 $18.0{\mu}g/mL$이었고, 총 항산화능($OSC_{50}$)은 4.4, 1.1 및 $2.8{\mu}g/mL$이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총 항산화능은 수용성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L-ascorbic acid ($1.5{\mu}g/mL$)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1O_2$ 소광 상수 실험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글리콘 분획은 비교물질로 사용된 L-ascorbic acid와 유사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1O_2$으로 유도된 적혈구 세포 손상에 있어서, 그라비올라 잎 50%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5-50{\mu}g/mL$)으로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에 사용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에 대하여 TLC 및 HPLC를 이용한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는 rutin (quercetin-3-O-rutinoside), kaempferol-3-O-neohesperidoside, nicotiflorin (kaempferol-3-O-rutinoside), p-coumaric acid을 확인하였다. 아글리콘 분획에서는 kaempferol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이 항산화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component analysis of 50% 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obtained from Annona muricata leaf were investigate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perform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ssay, total antioxid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라비올라 추출물 및 그 분획이 광증감 반응의 주생성물인 singlet oxygen을 효과적으로 소광시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광증감제인 rose-bengal에 빛이 조사되면 singlet oxygen (1O2)이 생성되는데, 1O2은 매우 높은 반응성을 갖는 활성산소종 중 하나로서 세포를 포함하는 체내 여러 물질에 손상을 입힌다.
  • 또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일부를 산 가수분해 반응을 이용하여 당을 제거시키고자 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0.
  • 본 연구에서는 그라비올라 잎 50%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들의 항산화 및 세포보호 효과를 평가하고 성분분석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그라비올라 잎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글리콘 분획을 제조하고,다양한 항산화 활성 평가(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Fe3+-EDTA/H2O2계에서 생성된 다양한 활성산소에 대한 총 항산화능, 1O2 소거 활성, 1O2으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활성)를 진행하고 활성 성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기능성 항산화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포외기질의 중요한 구조와 그들의 기능은 무엇인가? 지속적인 자외선 노출은 진피의 세포외기질(ECM)이라고 하는 결합 조직에서 가장 눈에 띄는 손상을 발생시킨다. 세포외기질의 가장 중요한 구조는 콜라젠, 엘라스틴 및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이며 이들은 피부의 탄력 및 수분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광노화 된 피부에서는 콜라젠이 손상되고 감소되며 비정상적인 엘라스틴 섬유와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이 축적되는 특징이 있다[1-4].
그라비올라는 무엇인가?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Linn.)는 남미⋅북미⋅필리핀⋅인도네시아 등 열대지방에서 재배되는 목련 목 포도나무과로, 잎은 타원형이며 7-20 cm의 길이, 2-5 cm의 폭을 갖는다. 주요 성분으로는 flavonoids, isoquinoline alkaloids, annonaceous acetogenins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19].
ROS에 의한 세포 구성 요소의 변형은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이들 ROS는 DNA, 지질 막 및 단백질과 같은 세포 구성 요소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는 비정상적인 세포 기능을 유발할 수 있으며 비정상적인 단백질 생성, 결합 조직의 분해 및 발암 등을 유발한다. 지속적인 자외선 노출은 진피의 세포외기질(ECM)이라고 하는 결합 조직에서 가장 눈에 띄는 손상을 발생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 Kammeyer and R. M. Luiten, Oxidation events and skin aging, Ageing Res. Rev., 21, 16 (2015). 

  2. M. Yaar and B. A. Gilchrest, Photoageing: mechanism, prevention and therapy, Br. J. Dermatol., 157(5), 874 (2007). 

  3. H. J. Yang, E. H. Kim, and S. N. Park,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sidium guajava leaf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4(3), 233 (2008). 

  4. H. U. Simon, A. Haj-Yehia, and F. Levi-Schaffer, Role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apoptosis induction, Apoptosis, 5(5), 415 (2000). 

  5. S. N. Park, Skin aging, and antioxidan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3(1), 75 (1997). 

  6. Y. Al-Nuaimi, M. J. Sherratt, and C. E. M. Griffiths, Skin health in older age, Maturitas, 79(3), 256 (2014). 

  7. J. Wohlrab, K. Hilpert, and L. Wolff, Epidermal aging and anti-aging strategies, Hautarzt, 67(2), 107 (2016). 

  8. S. A. Kyrtopoulos, N-nitroso compoud formation in human gastric juice, Cancer Surv., 8(2), 423 (1989). 

  9. R. S. Sohala and W. C. Orr, The redox stress hypothesis of aging, Free Radic. Biol. Med., 52(3), 539 (2012). 

  10. S. N. Park, Protective effect of isoflavone, genistein from soybean on singlet oxygen induc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3), 510 (2003). 

  11. J. Yamakoshi, F. Otsuka, A. Sano, S. Tokutake, M. Saito, M. Kikuchi, and Y. Kubota, Lightening effect on ultraviolet-induced pigmentation of guinea pig skin by oral administration of a proanthocyanidin-rich extract from grape seeds, Pig. Cell Res., 16(6), 629 (2003). 

  12. M. L. Circu and T. Y. Aw, Reactive oxygen species, cellular redox system, and apoptosis, Free Radic. Biol. Med., 48(6), 749 (2010). 

  13. Y. Gavamukulya, F. Abou-Elella, F. Wamunyokoli, and H. AEl-Shemy, Phytochemical screening, anti-oxidant activity and in vitro anticancer potential of ethanolic and water leaves extracts of Annona muricata (Graviola), Asian Pac. J. Trop. Med., 7S1, S355 (2014). 

  14. J. Paul, R. Gnanam, R. M. Jayadeepa, and L. Arul, Anti cancer activity on Graviola, an exciting medicinal plant extract vs various cancer cell lines and a detailed computational study on its potent anti-cancerous leads, Curr. Top. Med. Chem., 13(14), 1666 (2013). 

  15. S. Sun, J. Liu, H. Kadouh, X. Sun, and K. Zhou, Three new anti-proliferative Annonaceous acetogenins with mono-tetrahydrofuran ring from graviola fruit (Annona muricata), Bioorg. Med. Chem. Lett., 24(12), 2773 (2014). 

  16. T. D. Thang, D. N. Dai, T. M. Hoi, and I. A. Ogunwande, Study on the volatile oil contents of Annona glabra L., Annona squamosa L., Annona muricata L. and Annona reticulata L., from Vietnam, Nat. Prod. Res., 27(13), 1232 (2013). 

  17. M. Nawwar, N. Ayoub, S. Hussein, A. Hashim, R. El-Sharawy, K. Wende, M. Harms, and U. Lindequist, A flavonol triglycoside and investigation of the antioxidant and cell stimulating activities of Annona muricata Linn., Arch. Pharm. Res., 35(5), 761 (2012). 

  18. A. Matsushige, Y. Kotake, K. Matsunami, H. Otsuka, S. Ohta, and Y. Takeda, Annonamine, a new aporphine alkaloid from the leaves of Annona muricata, Chem. Pharm. Bull. (Tokyo), 60(2), 257 (2012). 

  19. A. Matsushige, K. Matsunami, Y. Kotake, H. Otsuka, and S. Ohta, Three new megastigmanes from the leaves of Annona muricata, J. Nat. Med., 66(2), 284 (2012). 

  20. S. Adewole and J. Ojewole, Protective effects of Annona muricata Linn. (Annonaceae) leaf aqueous extract on serum lipid profiles and oxidative stress in hepatocytes of streptozotocin-treated diabetic rats, Afr. J. Tradit. Complement. Altern. Med., 6(1), 30 (2009). 

  21. G. A. Asare, D. Afriyie, R. A. Ngala, H. Abutiate, D. Doku, S. A. Mahmood, and H. Rahman,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aqueous leaf extract of Annona muricata L. on the prostate, BPH-1 cells, and some target genes, Integr. Cancer Ther., 14(1), 65 (2015). 

  22. I. O. Ishola, O. Awodele, A. M. Olusayero, and C. O. Ochieng, Mechanisms of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Annona muricata Linn. (Annonaceae) fruit extract in rodents, J. Med. Food, 17(12), 1375 (2014). 

  23. S. Z. Moghadamtousi, H. Karimian, E. Rouhollahi, M. Paydar, M. Fadaeinasab, and H. A. Kadir, Annona muricata leaves induce G1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through mitochondria-mediated pathway in human HCT-116 and HT-29 colon cancer cells, J. Ethnopharmacol., 156, 277 (2014). 

  24. M. P. Torres, S. Rachagani, V. Purohit, P. Pandey, S. Joshi, E. D. Moore, S. L. Johansson, P. K. Singh, A. K. Ganti, and S. K. Batra, Graviola: a novel promising natural-derived drug that inhibits tumorigenicity and metastasis of pancreatic cancer cells in vitro and in vivo through altering cell metabolism, Cancer Lett., 323(1), 29 (2012). 

  25. S. N. Park, Quenching effect of carotenoids on singlet oxygen,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10(1), 75-89 (1984). 

  26. K. M. Kim, A. R. Kim, A. Y. Kim, J. H. Ha, S. H. Xuan, Y. J. Jeong, Y. M. Park, H. J. Jeong, I. G. Hong, and S. N. Park, Antioxidative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Dolwoe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extracts against oxidative stress, Kor. J. Pharmacogn., 48(2), 125 (2017). 

  27. A. Y. Kim, J. H. Ha, A. R. Kim, H. J. Jeong, K. M. Kim, and S. N. Park, Cellular protective effect and active component analysis of Lavender (Lavandula angustifolia) extract/fraction, Appl. Chem. Eng., 28(4), 479 (2017). 

  28. S. H. Xuan, G. Y. Kim, J. Y. Yu, J. W. Kim, Y. R. Yang, Y. H. Jeon, Y. J. Jeong, A. R. Kim, and S. N. Park, Antioxidant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of Calendula officinalis flowers extracts in human skin cells, Appl. Chem. Eng., 27(6), 620 (2016). 

  29. R. J. Grayer, G. C. Kite, M. Abou-Zaid, and L. J. Archer, The application of atmospheric pressure chemical ionisation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in the chemotaxonomic study of flavonoids: characterisation of flavonoids from Ocimum gratissimum var. gratissimum, Phytochem. Anal., 11, 257 (2000). 

  30. A. Plazonic, F. Bucar, Z. Males, A. Mornar, B. Nigovic, and N. Kujundzic,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in Burr Parsley (Caucalis platycarpos L.),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diode array detection and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Molecules, 14(7), 2466 (2009). 

  31. T. Iwashina and G. Kokubugata, Flavone and flavonol glycosides from the leaves of Triumfetta procumbens in Ryukyu islands, Bull. Natl. Mus. Nat. Sci., 38(2), 63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