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Effects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nnona muricata Leaf Extrac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8 no.5 = no.217, 2018년, pp.540 - 546  

김영완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김태훈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안희영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조영수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잎으로부터 정제수, 에탄올, 메탄올로 추출하여 수율, 총 페놀성 화합물과 이에 속하는 flavonoid 함량, 미네랄 함량을 측정하고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 환원력, 간 조직의 microsome 생체막지질과산화 억제능 및 linoleic acid를 이용한 지질과산화, ${\beta}$-Carotene 탈색화 정도를 비교검토하였다. 그라비올라 잎의 수율은 수용성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1.76%),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그라비올라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높았으나 페놀성 화합물에 속하는 폴리페놀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미네랄 함량은 Ca, K, Mg, Na, Mn의 순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DPPH를 이용한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그라비올라 잎의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대조구인 BHT 0.05%와 가장 근접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Fe와 Cu의 환원력은 모든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그 중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Cu/Fe 환원력 활성이 매우 강하였다. 그러나 간 조직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지질과산화 억제활성과 TBA법으로 지질과산화를 측정한 결과, 그라비올라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보였다. ${\beta}$-Carotene bleaching에서 높은 lipid peroxyl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그라비올라 잎은 기능성 식품의 개발을 위한 천연 항산화제 소재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nona muricata, generally known as soursop, graviola, or sirsak, is native to the warmest tropical areas of North and South America and is now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ropical and subtropical parts of the world, including India and Nigeria. This study tested the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그라비올라 잎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로 그라비올라 잎에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의 소재 개발을 위하여, 그라비올라 잎을 용매별로 추출하여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in vitro 실험계에서의 항산화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가능한 근거는 무엇인가? 페놀계 합성 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toluene (BHT)과 butylated hydroxyanisole(BHA)는 좋은 효과와 경제성 때문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복용할 경우 간, 위장, 신장 등에 독성을 초래하며 발암의 위험성이 제기되고 있어 합성항산화제의 사용량이 법적으로 제한되고 있다[7, 23]. 식물 속에 함유된 phytochemicals과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는 체내에 들어오면 항산화 작용이나 세포 손상을 억제하는 작용을 통하여 항암, 항염증 등의 예방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에, 신체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는 안전하며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필요하다[14].
그라비올라의 다른 이름과 현재 분포하고 있는 지역은?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는 가시여지(soursop), 구아나바나(guanabana), 포포(paw-paw), 시르삭(sirsak)이라고도 불리며, 남미와 북미의 열대성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현재는 인도, 나이지리아, 말레이시아 등 세계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그라비올라(A.
그라비올라의 과육은 어떤 효과를 가지는가? muricata)는 포포나무과(Annonaceae)에 속하며, 크고 광택있는 짙은 녹색의 잎과, 녹색의 타원형의 식용 가능한 과육을 가지는 5~8 m 높이의 작은 상록수이다[20]. 그라비올라의 과육은 출산 후 모유의 양을 증가시켜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열을 내려주고, 설사, 이질과 구충의 억제 효과가 있다. 또한, 그라비올라의 잎은 항종양, 항암, 진정제, 항경련, 혈압강하 등 효과를 가지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O.A.C. 197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2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Saiga, A., Tanabe, S. and Nishimura, T. 2003. Antioxidant activity of peptides obtained from porcine myofibrillar proteins by protease treatment. J. Agric. Food Chem. 51, 3661-3667. 

  3. Baskar, R., Rajeswari, V. and Kumar, T. S. 2007. In vitro antioxidant studies in leaves of Annona species. Indian J. Exp. Biol. 45, 480-485. 

  4.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4. 

  5. Cha, J. Y. and Cho, Y. S. 1999. Effect of potato polyphenolics on lipid peroxidation in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28, 1131-1136. 

  6. Cha, J. Y., Ahn, H. Y., Eom, K. E., Park, B. K., Jun, B. S. and Cho, Y. S. 2009. Antioxidative activity of Aralia elata shoot and leaf extracts. J. Life Sci. 19, 652-658. 

  7. Choe, S. Y. and Yang, K. 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 (BHA). Kor. J. Food Sci. Technol. 14, 283-288. 

  8. Choi, J. I., Kim, Y. J., Kim, J. H., Song, B. H., Yoon, Y. H., Byun, M. W., Kwon, J. H., Chun, S. S. and Lee, J. W.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 fractions from Suaeda japonica. J. Kor. Soc. Food Sci. Nutr. 38, 131-135. 

  9. Duncan, D. B. 1959.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 1-42. 

  10. Jia, Z., Tang, M. and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1. Kim, E. Y., Baik, I. H., Kim, J. H., Kim, S. R. and Rhyu, M. 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12. Kim, J. S., Lee, Y. J., Yang, J. F., Sa, Y. J., Kim, M. O., Park, J. H., Park, D. S., Yu, C. Y. and Kim, M. J. 2013. Biological activity of Sorghum bicolor M. cv. Bulgeunjangmoksusu extracts. Kor. J. Plant Res. 26, 111-118. 

  13. Kim, M. J., Cho, S. Y., Lee, M. K. and Shin, K. H. 2004. Effects of Aralia elata water extracts on activities of hepatic oxygen free radical generating and scavenging enzym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33, 653-658. 

  14. Kim, M. J., Chu, W. M. and Park, E. J. 2012. Antioxidant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shiitake mushroom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 Soc Food Sci. Nutr. 41, 1041-1048. 

  15. Lee, H. J., Lee, B. J., Lee, D. S. and Seo, Y. W. 2003.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in vitro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by Portulaca oleracea. Kor. J. Biotechnol. Bioeng. 3, 165-169. 

  16. Luthringer, C., Rayssiguier, Y., Gueux, E. and Berthelot, A. 1988. Effect of moderate magnesium deficiency on serum lipids,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reactivity in normotensive rats. Br. J. Nutr. 59, 243-250. 

  17. Matsushige, A., Kotake, Y., Matsunami, K., Otsuka, H., Ohta, S. and Takeda, Y. 2012. Annonamine, a new aporphine alkaloid from the leaves of Annona muricata. Chem. Pharm. Bull. 60, 257-259. 

  18. Mattaus, B. 2002. Antionidant activity of extracts obtained from residues of different oilseeds. J. Agric Food Chem. 50, 3444-3452. 

  19. McLaughlin, J. L. 2008. Paw paw and cancer: Annonaceous acetogenins from discovery to commercial products. J. Nat. Prod. 71, 1311-1321. 

  20. Moghadamtoushi, S. Z., Fadaeinasab, M., Nikzad, S., Mohan, G., Ali, H. M. and Kadir, H. A. 2015. Annona muricata (Annonaceae): a review of its traditional uses, isolated acetogenins and biological activities. Int. J. Mol. Sci. 16, 15625-15658. 

  21. Swain, T. and Hillis, W. E.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22. Wong, S. F., Holliwell, B., Richimond, R. and Skowroneck, W. R. 1981. The role of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in the degradation of hyaluronic acid induced by metal ions and by ascorbic acid. J. Inorganic Biochem. 14, 127-134. 

  23. Yeo, J. S., Chun, S. S. and Choi, J. H. 2014.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Rosa multiflora. J. Life Sci. 24, 1217-1223. 

  24. Zhu, Q. V., Hackman, R. M., Jodilensunsa, X. X., Holt, R. R. and Keen, C. L.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olong tea. J. Agric. Food Chem. 50, 6229-62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