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판 음악 기능 척도의 타당화와 정서적 적응과의 관계
Validation of RESPECT-Music With a Korean Sample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4 no.2, 2017년, pp.45 - 70  

이정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김민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음악을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개인의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음악 기능 척도(RESPECT-Music)를 한국어로 번안 및 타당화하고, 정서적 적응과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대학생 212명으로 구성된 표본 A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대학생 296명으로 구성된 표본 B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신뢰도 분석 및 정서적 적응 변인과의 상관분석을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어로 번안된 음악 기능 척도는 원 척도와 동일하게 배경 음악, 가치 발달, 집중 향상, 춤 유도, 가족과의 유대, 문화적 정체성 반영, 정치적 태도 표현, 스트레스 해소, 정서 전달, 친구와의 유대의 10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0요인 35문항 모형의 적합도가 적절하였고, 문항 신뢰도도 양호하였다. 정서적 적응 변인들과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음악 기능 척도는 정적 정서, 재해석 정서조절 방략, 정서개선 신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 대체적으로 정서적 적응과 연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개 하위요인 중 춤 유도 기능이 정서적 적응과 가장 뚜렷한 연관성을 나타냈으며 정치적 태도 표현 기능은 예외적으로 정서적 적응과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연구 결과를 음악 기능의 세 차원으로 설명하면, 음악을 개인적, 사회적 목적으로 사용할수록 정서적 적응 수준이 높았고, 문화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정서적 적응과의 관련성이 낮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RESPECT-Music, which measures personal, social and cultural function of music, an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RESPECT data and the data measured from other scales for emotion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wo sepa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Boer 등(2012)이 음악을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개인의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척도(RESPECT-Music: Ratings of Experienced Social, PErsonal and Cultural Themes of Music functions)를 한국판으로 타당화하여 국내에서도 다양한 맥락에서의 음악의 심리적 기능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도구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로 번안한 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여 한국인 샘플에서도 원 척도와 동일한 요인구조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 나아가 기존의 선행 연구들에서 음악 경험과 높은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된(Chin & Rickard, 2012; Miranda & Claes, 2009). 정서 변인들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개인이 음악을 사용하는 여러 양상과 정서적 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 척도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음악과 심리 분야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음에도 아직 국내에 번안되어 소개되거나 이와 유사한 도구가 개발되지 않았으므로 본 타당화 연구를 바탕으로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 차원까지 아우르는 한국인의 음악 경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척도 개발 시 탐색적 요인분석만을 실시했던 점을 보완하고 보다 공고하게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병행하였다.
  • 개인의 감정을 움직이는 음악의 힘은 Aristotle에 의해 언급되며 오래 전부터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며(350BC/1997) 최근까지도 음악이 개인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여러 경험적 연구들이 수행되었다(Juslin & Västfjäll, 2008; Konečni, 2008; Kreutz, Ott, Teichmann, Osawa, & Vaitl, 2008; Lundqvist, Carlsson, Hilmersson, & Juslin, 2009; Saarikallio, 2008; Saarikallio, 2011; Saarikallio & Erkkilä, 2007; Van Goethem & Sloboda, 2011). 반면 음악의 사회적, 문화적 기능과 정서적 적응의 관계를 다룬 선행연구들은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음악 기능의 세 차원과 정서적 적응 과의 관계가 일관적인지 혹은 차별적인지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 음악의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기능과 정서적 적응과의 관계는 기본적으로 탐색적이나, 선행 연구에 근거했을 때 음악의 개인적 기능에 가까울수록 정서적 적응과의 관련성이 더 높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병행하여 기존의 10요인 구조가 적합하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둘째, 음악 기능 척도와 정서적 적응 변인 간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목적으로 음악을 사용하는 개인의 성향이 정서적으로 잘 기능하는 것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악의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기능은 무엇인가? 하지만 학자들은 각자의 관점에 보다 부합하는 기능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는데, 심리학적 관점에서는 음악 기능의 개인적인 측면에 보다 집중한다. Sloboda(1999)의 연구에 따르면, 음악과 관련된 경험은 많은 경우 집에 있거나 혼자 있을 때처럼 개인적인 상황에서 일어났다. 경험적 연구 결과, 사람들은 일상적으로 겪는 문제들을 잊거나 이에 대처하기 위한 방략으로서 음악을 사용하며(Larson, 1995; Tekman & Hortacsu, 2002), 음악으로 인한 정서의 변화는 치료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Gabrielsson & Lindström, 1996). 또한 음악은 흥분 상태를 가라앉히거나 추억에 잠기고 싶을 때 사용되는 등 넓은 의미에서 정서를 관리, 조절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Juslin & Laukka, 2004; Saarikallio & Erkkilä, 2007). 음악은 청소년의 발달과도 연관이 있는데, 청소년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탐색하고 표현하기 위해서 음악을 사용했으며(Arnett, 1991; Larson, 1995; North & Hargreaves, 1999), 개인적인 문제를 자주 경험하는 청소년들은 그에서 벗어나기 위해 더 빈번하게 음악을 듣는 것으로 보고하였다(Behne, 1997).
음악의 기능은 무엇과 연관되는가? 음악의 기능을 정의하고 분류하려는 노력은 심리학, 음악학, 인류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도되어 왔는데, 여기서 음악의 ‘기능’이란 ‘음악을 듣는 목적’과 관련된다(Clayton, 2009; Sloboda, O’Neill, & Ivaldi, 2001). 몇몇 연구자들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음악의 기능에 대해 종합적인 분류를 시도하기도 했다.
Laiho는 음악의 기능을 어떻게 정리하였는가? 몇몇 연구자들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음악의 기능에 대해 종합적인 분류를 시도하기도 했다. Laiho(2004)는 음악의 기능에 대한 13개 연구를 분석하여 정서, 대인관계, 정체성, 주도성의 네 가지 범주로 정리하였고, Chin과 Rickard(2012)는 설문, 인터뷰, 뇌 영상 촬영 등 다양한 방법론을 이용한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여 음악이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기능을 갖는다고 주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Aristotle (1997). Poetics. In P. Atherton & J. Baxter (Eds.), Aristotle's poetics (pp. 3-34). Montreal: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 Arnett, J. J. (1991). Adolescents and heavy metal music: From the mouths of metalheads. Youth & Society, 23(1), 76-98. 

  3. Behne, K. E. (1997). The development of "Musikerleben" in adolescence: How and why young people listen to music. In I. Deliege & J. A. Sloboda (Eds.), Perception and Cognition of Music (pp. 143-159). Hove, England: Psychology Press. 

  4. Boer, D. (2009). Music makes the people come together: Social functions of music preferences for young people across cultur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New Zealand. 

  5. Boer, D., & Abubakar, A. (2014). Music listening in families and peer groups: Benefits for young people's social cohesion and emotional well-being across four cultures. Frontiers in Psychology, 5, 392. 

  6. Boer, D., & Fischer, R. (2012). Towards a holistic model of functions of music listening across cultures: A culturally decentered qualitative approach. Psychology of Music, 40(2), 179-200. 

  7. Boer, D., Fischer, R., Tekman, H. G., Abubakar, A., Njenga, J., & Zenger, M. (2012). Young people's topography of musical functions: Personal, social, and cultural experiences with music across genders and six socie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7(5), 355-369. 

  8. Browne, M. W., & Cudeck, R. (1992).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21(2), 230-258. 

  9. Catanzaro, S. J., & Mearns, J. (1990). Measuring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negative mood regulation: Initial scal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4(3-4), 546-563. 

  10. Chin, T. C., & Rickard, N. S. (2012). The Music USE (MUSE) questionnaire: An instrument to measure engagement in music. Music Perception: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29(4), 429-446. 

  11. Clark, M., Isaacks-Downton, G., Wells, N., Redlin-Frazier, S., Eck, C., Hepworth, J., & Chakravarthy, B. (2006). Use of preferred music to reduce emotional distress and symptom activity during radiation therapy. Journal of Music Therapy, 43(3), 247-265. 

  12. Clayton, M. (2009). The social and personal functions of music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In S. Hallam, I. Cross, & M. Thaut (Eds.), The oxford handbook of music psychology (pp. 35-44).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3. Davis, R. N., Andresen, E. N., Trosko, M., Massman, P. J., & Lovejoy, M. C. (2005). Negative mood regulation (NMR) expectancies: A test of incremental validi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9(2), 263-270. 

  14. DeNora, T. (2000). Music in everyday lif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Extremera, N., & Fernandez-Berrocal, P. (2002). Relation of 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Psychological Reports, 91(1), 47-59. 

  16. Extremera, N., & Fernandez-Berrocal, P. (2005). 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life satisfaction: Predictive and incremental validity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9(5), 937-948. 

  17. Fabrigar, L., Wegener, D., MacCallum, R., & Strahan, E. (1999). Evaluating the use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psychological research. Psychological Methods, 4(3), 272-299. 

  18. Gabrielsson, A., & Lindstrom, S. (1996). Can strong experiences of music have therapeutic implications? In R. Steinberg (Ed.), Music and the mind machine: The psychophysiology and psychopathology of the sense of music (pp. 195-202). Heidelberg, Berlin: Springer. 

  19. Garofalo, R. (2010). Politics, mediation, social context, and public use. In P. N. Juslin & J. A. Sloboda (Eds.), Handbook of music and emotion: Theory, research, applications (pp. 725-754).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 Gross, J. J., & John, O. P.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2), 348-362. 

  21. Hargreaves, D. J., & North, A. C. (1999). The functions of music in everyday life: Redefining the social in music psychology. Psychology of Music, 27(1), 71-83. 

  22. Hofstede, G. (2001). Culture's consequences: Comparing values, behavior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cross nation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23. Hong, S.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24. Hui, E., Chui, B., & Woo, J. (2008). Effects of dance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lder person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9(1), 45-50. 

  25. Juslin, P. N., & Laukka, P. (2004). Expression, perception, and induction of musical emotions: A review and a questionnaire study of everyday listening. Journal of New Music Research, 33(3), 217-238. 

  26. Juslin, P. N., & Vastfjall, D. (2008). Emotional responses to music: The need to consider underlying mechanisms.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31(5), 559-621. 

  27. Keltner, D., & Haidt, J. (1999). Social functions of emotions at four levels of analysis. Cognition and Emotion, 13(5), 505-521. 

  28. Konecni, V. J. (2008). Does music induce emotion?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nalysis.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2(2), 115-129. 

  29. Krause, N., Goldenhar, L., Liang, J., Jay, G., & Maeda, D. (1993). Stress and exercise among the Japanese elderly. Social Science & Medicine, 36(11), 1429-1441. 

  30. Kreutz, G., Ott, U., Teichmann, D., Osawa, P., & Vaitl, D. (2008). Using music to induce emotions: Influences of musical preference and absorption. Psychology of Music, 36(1), 101-126. 

  31. Laiho, S. (2004). The psychological functions of music in adolescence.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13(1), 47-63. 

  32. Larson, R. (1995). Secrets in the bedroom: Adolescents' private use of media.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4(5), 535-550. 

  33. Laukka, P. (2007). Uses of music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8(2), 215-241. 

  34. Lee, S. J., & Lee, H. K. (1997). The research on the validation of the Trait Meta-Mood Scale: The domain explora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정서 지능의 하위 요인에 대한 탐색).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1(1), 95-116. 

  35. Lee, Y. J. (1994).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on mood level and its variability(성격특질이 기분의 수준 및 변화성에 미치는 영향).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36. Lundqvist, L., Carlsson, F., Hilmersson, P., & Juslin, P. N. (2009). Emotional responses to music: experience, expression, and physiology. Psychology of Music, 37(1), 61-90. 

  37. Markus, H. R.,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2), 224-253. 

  38. Menon, V., & Levitin, D. J. (2005). The rewards of music listening: Response and physiological connectivity of the mesolimbic system. Neuroimage, 28(1), 175-184. 

  39. Merriam, A. P. (1964). The anthropology of music. Chicago: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40. Miranda, D., & Claes, M. (2009). Music listening, coping, peer affiliation and depression in adolescence. Psychology of Music, 37(2), 215-233. 

  41. Miranda, D., & Gaudreau, P. (2011). Music listening and emotional well-being in adolescence: A person- and variable-oriented study. European Review of Applied Psychology, 61(1), 1-11. 

  42. Morinville, A., Miranda, D., & Gaudreau, P. (2013). Music listening motivation is associated with global happiness in Canadian late adolescents.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7(4), 384-390. 

  43. North, A. C., & Hargreaves, D. J. (1999). Music and adolescent identity. Music Education Research, 1(1), 75-92. 

  44. North, A. C., & Hargreaves, D. J. (2008). The social and applied psychology of music.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45. North, A. C., Hargreaves, D. J., & Hargreaves, J. J. (2004). Use of music in everyday life. Music Perception: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22(1), 41-77. 

  46. North, A. C., Hargreaves, D. J., & O'Neill, S. A. (2000). The importance of music to adolescent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0(2), 255-272. 

  47. Ok, S. J. (2001).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f repressors (억압적 성격 성향자의 정서적 특성과 정서조절 방략)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8. Rentfrow, P. J., & Gosling, S. D. (2006). Message in a ballad: The role of music preferences in interpersonal perception. Psychological Science, 17(3), 236-242. 

  49. Russell, B. (1945).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and its connection with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from the earliest times to present study. New York: Simon and Schuster. 

  50. Saarikallio, S. (2008). Music in mood regulation: Initial scale development. Musicae Scientiae, 12(2), 291-309. 

  51. Saarikallio, S. (2011). Music as emotional self-regulation throughout adulthood. Psychology of Music, 39(3), 307-327. 

  52. Saarikallio, S., & Erkkila, J. (2007). The role of music in adolescents' mood regulation. Psychology of Music, 35(1), 88-109. 

  53. Salovey, P., Mayer, J. D., Golman, S. L., Turvey, C., & Palfai, T. P. (1995).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In J. W. Pennebaker (Ed.),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 (pp. 125-154).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4. Salovey, P., Stroud, L. R., Woolery, A., & Epel, E. S. (2002). 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stress reactivity, and symptom reports: Further explorations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Psychology and Health, 17(5), 611-627. 

  55. Schafer, T., & Sedlmeier, P. (2009). From the functions of music to music preference. Psychology of Music, 37(3), 279-300. 

  56. Sloboda, J. A. (1999). Everyday uses of music listening: A preliminary study. In S. W. Yi (Ed.), Music, Mind, and Science (pp. 354-369).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57. Sloboda, J. A., O'Neill, S. A., & Ivaldi, A. (2001). Functions of music in everyday life: An exploratory study using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Musicae Scientiae, 5(1), 9-32. 

  58. Sohn, J. M. (2005).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regulation strategies: cognitive reappraiser vs. emotion suppressor(정서조절 방략 사용에서의 개인차: 인지적 재해석인과 정서표현 억제인의 비교)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59. Stephens, T. (1988).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Evidence from four popular surveys. Preventive Medicine, 17(1), 35-47. 

  60. Tekman, H. G., & Hortacsu, N. (2002). Aspects of stylistic knowledge: What are different styles like and why do we listen to them? Psychology of Music, 30(1), 28-47. 

  61. Van Goethem, A., & Sloboda, J. (2011). The functions of music for affect regulation. Musicae Scientiae, 15(2), 208-228. 

  62. Watkins, G. R. (1997). Music therapy: Proposed physiological mechanisms and clinical implications. Clinical Nurse Specialist, 11(2), 43-50. 

  63. Watson, D., Clark, L.,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 1063-1070. 

  64. Zillmann, D. (1988). Mood Management through communication choices.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31(3), 327-3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