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 조절력의 매개 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Smart Device Immersion Tendency and Pro-Social Behavior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5 no.1, 2017년, pp.1 - 12  

김서희 (인천후정초등학교) ,  황성온 (인천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smart device immersion tendency,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ro-social behavior as well as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between children's smart device immersion tendency and pro-social behavior. Participants were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스마트기기가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인으로 삼은 연구[33]는 있었으나 한 편에 불과하며, 친사회성 발달과 연관이 높은 자기조절력을 매개변인으로 분석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이 자기조절력을 매개로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직접, 간접)가 어떠한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미디어에 쉽게 노출되는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사회의 유아들에게 있어서 자기조절력과 같은 내적 변인이 친사회성 발달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주로 스마트미디어보다는 스마트폰에 한정되었기에, 유아가 자주 접하는 스마트 TV [28], 태블릿 PC, 인터넷 웹(동영상, 게임, 사진 찍기, 음악 및 e-북 듣기, 교육용 컨텐츠 이용 등) 등을 포함시킨 보다 포괄적인 의미에서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스마트미디어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어떻게 활용하고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Weir와 Duveen [54]의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PBQ)를 Lee [30]가 번안·수정하여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해 유아교사가 평가하도록 하였다. 본 검사도구는 총 18문항으로 Likert 4점 척도(1, 전혀 그렇지 않다; 4, 매우 그렇다)로 구성되어 있다.
  •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개발한 유·아동 인터넷 중독진단 척도[41]를 Lee [27]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에 대해 부모가 평가하도록 하였다. 총 15문항으로 Likert 5점 척도(1, 전혀 그렇지 않다; 5, 매우 그렇다)로 구성되어 있다.
  •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해 Kendall과 Wilcox [16]의 자기조절능력 검사도구(Self-Control Rating Scale, SCRS)를 Park [45]이 번안·수정하고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대해 유아교사가 평가하도록 하였다. 총 33문항 중 충동성 감소 영역의 3문항(이 유아는 자주 말썽을 피우는 편입니까?, 이 유아는 어떤 일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안정되지 못할 때가 있습니까?, 이 유아는 자기가 가는 길을 주의해서 살펴보는 편입니까?)이 제외된 총 30문항이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과 자기조절력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이 자기조절력을 매개로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직접, 간접)가 어떠한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미디어에 쉽게 노출되는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사회의 유아들에게 있어서 자기조절력과 같은 내적 변인이 친사회성 발달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도울 수 있는 관련 변인을 유아의 ‘자기조절력’으로 설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미디어란? 이를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매체 중 하나인 스마트미디어(smart media)는 ‘스마트 혁명’이라 불릴 정도로 사회 전반에 걸쳐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42]. 스마트미디어란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의 스마트기기에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방송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웹·앱 콘텐츠를 제공하는 신유형의 서비스를 의미한다[35]. 스마트기기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프로그램과 콘텐츠가 다양해지면서 스마트미디어의 이용자 수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17, 42].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과 친사회성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는? 이 중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과 친사회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스마트미디어에 지나치게 몰입한 유아는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이 결여되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에 미숙하여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며 자아중심적인 반면, 스마트미디어 몰입도가 낮은 유아일수록 타인과 어울리길 좋아하고 대인관계가 좋으며 활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3]. 즉, 사람이 아닌 기기와의 몰입은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시간과 기회를 감소시켜 사회성 발달을 저해하고, 결과적으로 또래로부터 소외되는 결과를 야기한다는 것이다[20].
스마트기기와 미디어의 대중화 관련 연구는 어떤 것이 있을까? 우리나라는 최근 5-6년간 스마트기기와 미디어의 대중화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관련 연구 또한 2011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다[9]. 이를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첫째로 영유아를 대상으로 스마트기기 및 미디어의 이용실태 및 사용현황을 조사한 연구[26, 28, 47, 58], 둘째로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및 미디어의 몰입경향성과 관련하여 발달영역과의 관계 및 영향을 분석한 연구[3, 11, 20, 21, 33, 48, 60, 61], 셋째로 영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스마트기기 및 미디어 중독에 관한 연구[12, 22, 29, 37, 39]가 있다. 이 중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및 미디어의 몰입경향성에 관한 선행연구의 경우, 유아의 환경적 요소로 부모변인(예: 어머니 취업 여부,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스마트폰 중독수준)과의 연관성을 살펴본 연구[13, 34]가 많으며, 영유아 발달과 연관하여서는 영유아의 친사회성[4, 11, 20, 27, 47, 53, 59, 60]과 자기조절력[4, 11, 23, 37, 48, 49, 58, 59]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Cho, E. H. (2013). Influences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s and acknowledgement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e degree of its practice on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s and problem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 Cho, E. J., & Kim, J. (2010). Preschoolers' usage of Internet-game in a family context and their level of Internet-gam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9(6), 967-980. https://doi.org/10.5934/KJHE.2010.19.6.967 

  3. Cho, J. J. (2015). The Effect of young children '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games on their prosocial behavior and problematic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Bucheon, Korea. 

  4. Cho, J. J., & Cho, A. (2015). The impact of young children'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games on their prosocial and problematic behavior.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10), 647-657. https://doi.org/10.5392/jkca.2015.15.10.647 

  5. Han, M. G. (2015).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ontrol 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elementary student 's excessive used of smart phone and agg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Korea. 

  6. Han, S. H. (2004). Reasoning about the realities on television in children aged 4 to 5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7. Hong, S. M. (2011).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phone applications for the baby multimedia book for supporting self-directed lear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8. Hwang, M. K., & Kwon, Y. H. (2014).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improvement activities on child's self-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1(1), 269-289. 

  9. Hwang, S. O., & Hwang, Z. O. (2016).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smart devices for young children: Focusing on domestic theses, dissertations and article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nd Review, 20(3), 299-317. 

  10. Hwang, T. K. (2013). The use of smart device and the relationships of immersion tendency to self-control and prosocial behavior of preschool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illa University, Busan, Korea. 

  11. Hwang, T. K., & Son, W. K. (2014). Uses of smart devices and their relations to immersion tendency, self-control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in preschoolers. Journal of Life-Span Studies, 4(1), 69-83. 

  12. Hyun, E., Park, E. M., Cho, M. M., & Kim, T. Y. (2013). Relationship among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levels, maternal depression and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3(5), 181-205. https://doi.org/10.18023/kjece.2013.33.5.008 

  13. Jang, J. J., & Jeong, I. (2015). Related factor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16(1), 65-81. 

  14. Jang, S. Y., & Jeong, H. (2013). Study on development of perception arts ac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focused on popcorn brain phenomenon.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8(4), 517-526. https://doi.org/10.13067/ jkiecs.2013.8.4.517 

  15. Jung, D. H., Cho, M. O., & Kwak, Y. M. (2014). The corelation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empathy ability.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18(2), 83-100. 

  16. Kendall, P. C., & Wilcox, L. E. (1979).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6), 1020-1029. 

  17. Kim, E. M., Shim, M. S., Kim, B. Y., & Oh, H. Y. (2012). The mediatization of everyday life: Focus group interviews of "smart" media user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6(4), 133-159. 

  18. Kim, H. S. (2012).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regulation and prosocial behavior of preschooler.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71), 203-221. 

  19. Kim, J. H.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parenting attitude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s of mothers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 

  20. Kim, J. J.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children 's game indulgence on emotional expression and pro-social ac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University of Suwon, Suwon, Korea. 

  21. Kim, J. M., Mun, J. J., & Kweon, M. R. (2014). Smart devices addiction in early childhood.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13(1), 199-219. 

  22. Kim, M. H. (2015).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smart devices addiction, and children's self regulation on their use of smart devices. The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11(6), 133-151. 

  23. Koo, H. J. (2013). The effects of resilience and temperament on young children's internet game overindulgence.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83, 201-220. 

  24. KT-Economic and Management Research. (2015). The first half of 2015 mobile trend. Retrieved March 14, 2016, from http://www. digieco.co.kr/ 

  25. Kwon, O. S. (2014, January 22). Digital device giving no rest of brain declines concentration. Hankyoreh. Retrieved April 21, 2016, from http://www.hani.co.kr/ 

  26. Lee, B. H. (2012). An exploratory study on early childhood smart device usage at hom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nd Review, 16(6), 511-532. 

  27. Lee, H. J. (2015). The effects of children 's smart phone addiction tendencies on their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usan, Korea. 

  28. Lee, J. R. (2013). A study on smart-media exposure of early childhood.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9. Lee, J. Y., & Jang, S. Y. (2014). The intermediary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smartphon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14(3), 61-79. 

  30. Lee, K. M. (2014). The effect of grandparents' traditional storytelling program based on concept learning situation model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Wonju, Korea. 

  31. Lee, S. H. (2007). The difference in children's moral judgment and the development level according to the computer addiction level.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6(4), 33-44. 

  32. Lee, S. H. (2013). Children's self-regulation. Seoul: EBS Media. 

  33. Lee, S. K., & Lee, H. K. (2014). The effects of smart device immersion tendency on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The meditating effect of children's ego-resilience. Korean Journal of Children's Media, 13(3), 227-243. 

  34. Lee, S. K., Lee, H. K., & Hong, H. K. (2014). A study on smart device usage and game immersion tendenc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4(3), 239-262. 

  35. Lee, S. Y. (2014). Discussion and implication about smart media regulation system. Trend and Prospect: Broadcasting, Communication, and Radio Signal, (71), 5-35. 

  36. Lee, Y. J. (2016). The relativ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child's self-regulation on 3- to 5-year-old preschooler's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facto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3(1), 101-125. 

  37. Lee, Y. M.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martphone usage habits of children and mothers and the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elf-control of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38.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5). A study of Internet addiction in 2014. Gwacheon: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39. Na, M. Y. (2016). Development of parents-involv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on of smartmedia addition for preschool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40. Nam, S. K. (2015). Effects of 5-year-old children '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regulation on pro-social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41.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A study on Internet addiction diagnostic scale. Retrieved February 20, 2016, from http://www.nia.or.kr/ 

  42.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2). A study on feature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of smart-media addiction. Retrieved January 11, 2016, from http://www.nia.or.kr/ 

  43. No, H. M., Choi, W. S., & Park, I. J. (2009). The effects of children's self-regulation on their friendships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2), 281-292. 

  44. Noh, M. N., & Kwon, Y. H. (2010). Mediated effect of children's self-regulation between their prosocial behaviors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8(4), 31-41. https://doi.org/10.6115/khea.2010.48.4.031 

  45. Park, M. J. (2008). The effect of meditation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on aggressive behaviors and self-regulating of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46. Park, S. Y., & Kang, J. H. (2005).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gg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1), 1-14. 

  47. Park, S. Y., & Moon, H. J. (2015, May). A study on young children 's smart device usage tendency.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the 72nd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Seoul, Korea. 

  48. Shin, H. J. (2016).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skills smart devices involvement in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tren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49. Shin, S. K., & Choi, K. N. (2014). A study of the relations among young children's self-concept, self-regulation and cellular phone addition degree. Korean Education Inquiry, 32(3), 91-111. 

  50. Shin, U. S.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self-regulation & pro-social behaviour of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51. Shin, Y. J. (2013). The digital world hurts children. Seoul: Bookloud. 

  52. Song, I. W. (2008). Study of appropriateness of the preschool animation for the development in the preschool peri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53. Sung, J., Byun, H. W., & Nam, J. H. (2015). An exploratory study of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use of smart devices and preschoolers' developmental level and empath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5(2), 369-394. 

  54. Weir, K., & Duveen, G. (1981). Furth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rosocial behaviour questionnaire for use by teacher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2(4), 357-374. https://doi.org/10.1111/j.1469-7610.1981.tb00561.x 

  55. Woo, J. P. (2013). SEM concepts and understanding: AMOS 4.0-20.0. Seoul: Hannarae. 

  56. Yang, O. S. (2006).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3(2), 161-187. 

  57. Yang, S. A., & Kwon, O. S. (2014, January 2). The fatal attraction of smart phone as childcare tool. Hankyoreh. Retrieved May 23, 2016, from http://www.hani.co.kr 

  58. Yim, K. S., Kim, S. H., & Hong, H. K. (2014). A study of correlation among young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self-respect, and self-regulatio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1(4), 203-221. 

  59. Yoo, S. (2015). The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accordance with their smart device us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Korea. 

  60. Yu, E. J.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endency of addiction of smartphone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Korea. 

  61. Yu, O. S. (2007). The effect of self-control and stress coping method o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Nonsa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