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실습 중 간호대학생이 경함하는 무례함, 소진, 전공만족도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Rudeness, Burnout, Major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which Nursing Students Experience During Clinical Practi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 2017년, pp.339 - 346  

전미경 (문경대학교 간호학과) ,  오재우 (충북보건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중 경험하는 무례함,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소진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질적인 임상실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상관성 조사연구로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 4학년 2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0월 1부터 10월 15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Program20.0을 이용하여 Correlation coefficient,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무례함은 소진과 정적 상관관계를, 전공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은 소진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대학생의 소진에는 무례함,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이 영향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무례함을 감소하기 위한 병원과 학생, 임상실습지도자 및 병원의 유기적인 관계형성 및 대처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nursing students and was attemp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udeness, major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burnout which they experience during clinical practice and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qualitative clinical practice. This study, as a correlation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이 임상실습 중 경험하는 무례함, 소진, 전공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임상실습 중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무례함,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소진을 파악하고 각 변수와의 관계,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임상실습 중 간호대학생이 간호사로부터 경험한 무례함을 파악하고 소진, 전공만족도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질적인 임상실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례함은 간호사들에게 어떻게 인식되어 왔는가? 무례함은 다른 사람에게 의도되지 않고 해를 입히려는 의도도 분명하지 않으나 사회적 기준에서 비추어 비폭력적이며 낮은 공격성을 가지는 행동으로, 모호한 의도성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3]. 그러나 임상실습 중에 경험하는 무례함은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스트레스를 가중시킨다[2], 또한 무례함은 실습 중에 종종 일어나는 상황이었으나, 학점과 연결되어 있고 졸업을 위해 거쳐야 하는 과정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임상실습에서 견뎌야 하는 관문이며[4], 미래에 간호사가 되기 위한 과정으로 생각하고 간호대학생으로서 견뎌야 하는 의미로 받아들이는 학생들도 있었다[5]. 이렇듯 무례함은 간호대학생에게 정서적인 소진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향후 간호사로서의 역량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임상실습 교육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한다[6].
전공만족도 뿐만 아니라 무엇을 고려해야 긍정적인 기대를 할 수 있는가? 전공만족도란 자아 성취와 배움에 대한 기대, 향후 특정한 직업세계를 긍정적으로 평가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졸업 후 진로 태도에 중요하게 영향을 주며, 전공만족도가 높을 때 전문직 간호사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형성할 수 있다. 자신의 직업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관은 대학에서 교육과정을 어떻게 운영하느냐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전문지식과 임상실습, 더불어 간호학에 대한 철학이나 가치에 대한 고려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학생들은 자신의 전공에 만족할수록 이론 교육과정 및 실습에 있어 적극적 또는 소극적으로 참여하는 등의 태도에 차이를 보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간호현장에서 전문직 간호사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역할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하였다[9, 28].
자기효능감은 어떤 요인인가? 자기효능감이란 어떤 행동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 및 자신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을 조절하고 그것에 필요한 행동을 선택하고 지속하는데 가장 중요한 영향을 주는 정서적인 요인이다[10]. 자기효능감은 새로운 상황에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선택하고 수행하는 바탕으로[11], 임상이라는 낯선 환경에서 실습과목을 이수해야 하는 간호대학생에게는 중요한 요인이며, 여러 학문 분야에도 강조되고 있는 심리적 요인이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rammer, J. D., "RN as gatkeeper :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RN buddy role in clinical practiceexperience."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 6, No. 6, pp. 389-396, 2006. 

  2. S. L. Kim, J. E. Lee, "Relationship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in Nursing Students Taking Clinical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1, No. 1, pp. 98-106, 2005. 

  3. Andersson, L. M., Pearson, C. M. "Tit for that the spiraling effect of incivility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4, No. 3, pp. 452-471, 1999. 

  4. Curtis, J., Bowen, I., Reid, A. You have no credibility: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horizontal violence."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 7, No. 3, pp. 156-163, 2007. 

  5. Anthony, M., Yastik, J., "Student nurses' expriences with incivility clinical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50, No. 3, pp. 140-144, 2011. 

  6. Palaz, S., "Turkish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bullying behavior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Vol. 3, No. 1, pp. 23-30, 2013. 

  7. Hu, Q., Schaufeli, W. B., "The factorial valdity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student survey in China." Psychological Reports, Vol. 105, No. 2, pp. 394-408, 2009. 

  8. Gibbons, C., "Stress, coping and burn-out in nursing studens." Internatoi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47, No. 10, pp. 1299-1309, 2010. 

  9. D. J. Oh, C. J. Choi, B. E. Kwon, Y. H. Park, "The Effects of Image of Nurses on Professional Socialization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1, No. 1, pp. 62-72, 2005. 

  10.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e." Psychological Rewiew, Vol. 82, No. 2, pp. 191-215, 1977. 

  11. K. H. Park, "The Influence of Learned helplessness and Failure Tolerance of Life long Learner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Job Performance." Korea Knowledge Management Society. Vol. 14, pp. 335-352, 2005. 

  12. K. H. Kim, G. D.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3, No. 2, pp. 229-236, 2007. 

  13. Babenko-Mould, Y., Laschinger, H. K., "Effects of incivility in clinical practice settings on nursing student burnout." Internatoi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 11, No. 1, pp. 145-154, 2014. 

  14. Y. K. Hong, "Incivility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 coping, and burnout in clinical practice."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6. 

  15. Schaufeli, W. B., Martinez, I. M., Pinto, A. M., Salanova, M., Bakker, A. B.,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 33, No. 5, pp. 229-236, 2002. 

  16. K. H. Kim, H. S. Ha, " A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Factors of Undergraduate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 No. 1, pp.7-20, 2000. 

  17. S. M. Park, "The Effects of Major-related Job-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Hospitality 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2011. 

  18. A. S. Jung,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a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in General Hospital nurse."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07. 

  19. S. H. Kim, H. J. Cho, J. H. Dong, J. M. An, B. R. Yun, G. Y. Lee, J. Y. Lee, H. M. Lee, H. I. Jang, "Verbal Abuse, Verbal Abuse Response, and Stress on Verbal Abuse of Nursing Student in Clinical Training."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 10, 2011. 

  20. S. R. Le, "Nurse Image, Satisfaction of Major effect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Male Students in Nursing." A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2011. 

  21. D. Barron, E. West, R. Reeves, "Tied to the job: Affective and relational components of nurse retention."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icy, Vol. 12, pp. 46-51, 2007. 

  22. S. J. Whang,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2, No. 2, pp. 205-213, 2006. 

  23. N. H. Kim, K. W. Kim, "Self-Efficacy,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5, No. 4, pp. 41-51, 2011. 

  24. H. Y. Hwan,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Attitude of Patient Safety, and Safety Care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2015. 

  25. C. M. Ho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using MBI-SS and mental health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5, No. 4, pp. 353-362, 2015. 

  26. Rudman, A., Gustavsson, J. P., "Burnout dursing nursing educatin predicts lower occupational preparedness and future clinical perfomance: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oi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49, No. 8, pp. 988-1001, 2012. 

  27. S. Y. Kim, J. K. Kim, K. O. Park, "Path Analysis for Workplace Incivility, Empowerment,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Acad Nurs Adm, Vol. 19, No. 5, pp. 555-564, 2013. 

  28. K. A. Chung, J. H. Cho, "Differences between Major Satisfacti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the Time of Department Selection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at One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5, 143-155, 2015 

  29. H. J. Lee, "Convergence Study on Nursing Students'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4, pp. 75-83,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