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업에서 조직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용불안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Worker's Safety Behavior: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원문보기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22 no.1, 2017년, pp.127 - 138  

서정규 (동의대학교 경영학과) ,  권혁기 (동의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산업안전사고의 감소율이 현저히 낮으며, 안전사고가 종사자의 생명에 치명적인 위협을 미치는 등 그 사고의 결과가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안전관리가 그 어느 산업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업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건설사에 종사하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이 안전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과 안전행동에 대한 고용불안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건설업에서 종사자의 안전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적인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부산지역 건설업 종사원 20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그리고 규범적 몰입 모두 안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즉 안전에 대한 종업원의 행동을 개선하고, 조직이 정한 안전행동의 실천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조직에 대한 몰입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고용불안의 조절효과에 관한 분석결과 지속적 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용불안의 조절효과만이 나타났다. 즉, 고용불안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즉 고용불안이 "저"인 집단이 고용불안이 "고"인 집단보다 지속적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았다. 조직몰입이 건설업 종사자의 안전에 대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고용불안의 조절효과에 관한 본 연구의 실증연구 결과를 토대로 건설업 경영자에 제공할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Safety Behavior. This Study Built a Exploratory Model that there is Causal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Employee's Performance that Safety Behavior.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 the Moderating Ef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제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원인이 작업자의 부주의나 안전지침에 대한 위반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건설업에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관리적 사점을제공하고자 한다. 조직차원에서 경영자가 관리 가능한 태도변수인 조직몰입과 안전행동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조직몰입과 안전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 고용불안이라는 조절효과를 분석했는데,다양한 변수들을 통해 안전행동과 관련된 조직행동연구의 양적 확장이라는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건설업 경영자에게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모형은 건설업기업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안전문제에 관한 행동주의적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건설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조직몰입이 안전에 대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조직몰입의 하위차원(정서적, 지속적, 규범적)은 모두 안전 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x2 통계량, d.f(자유도), p값, 적합도지수(Goodness of Fit Index, 이하 GFI),비교적합지수(Comparative Fit Index, 이하 CFI), 근사평균제곱오차의 제곱근(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이하 RMSEA)이다. x2 통계량의 값이 크다는 것은 곧 적합도가 나쁘다는 것을 의미하며, 연구모형이 통계적으로 기각될 가능성이 크다.
  • 본 연구의 목적을 다시금 정리하면 중소건설사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직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안전행동에 대한 고용불안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건설업 근로자에 대한 안전관리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을 다시금 정리하면 중소건설사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직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안전행동에 대한 고용불안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건설업 근로자에 대한 안전관리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조직몰입과 관련된 다수의 연구에서 조직성과를 유의하게 예측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조직몰입과 안전행동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건설업이 경기변동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현재와 같이 불경기의 상황에서 건설업에 종사하는 종사원들의 고용불안도 높아지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불안감은 개인의 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여, 고용불안과 안전행동의 관계도 추가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건설업에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관리적 사점을제공하고자 한다. 조직차원에서 경영자가 관리 가능한 태도변수인 조직몰입과 안전행동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조직몰입과 관련된 다수의 연구에서 조직성과를 유의하게 예측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가설 설정

  • 가설2: 고용불안은 조직몰입과 안전행동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질 것이다. 즉, 고용불안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감소 할 것이다.
  • 즉, 규범적몰입이 높은 구성원은 조직의 안전에 대한 정책과 규정, 규칙들에 대한 수용성이 높고 이러한 규칙들을 실천하기 위해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따라서 규범적몰입이 높을수록 안전행동은 높을 것이다.
  • 정서적몰입이 높은 구성원들은 조직이 설정한 안전에 대한 목표나 가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안전관련 규범을 지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이다. 따라서 정서적몰입이 높을수록 안전행동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업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경우 어떤 점에서 안전에 대한 예방과 관리가 중요한가? 기업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법률적인 책임뿐만 아니라 기업이미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전에 대한 예방과 관리가 중요하다. 하지만 산업현장 곳곳에서는 여전히 안전 불감증으로 인한 인명사고는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건설업의 경우 안전관리가 그 어느 산업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업종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건설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산업안전사고의 감소율이 현저히 낮으며, 안전사고가 종사자의 생명에 치명적인 위협을 미치는 등 그 사고의 결과가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안전관리가 그 어느 산업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업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건설사에 종사하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이 안전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과 안전행동에 대한 고용불안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건설업에서 종사자의 안전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적인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부산지역 건설업 종사원 20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건설업기업에서 건설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조직몰입이 안전에 대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중 고용불안의 조절효과에 관한 분석결과 지속적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용불안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는 결론은 무엇을 시사하는가? 둘째, 고용불안의 조절효과에 관한 분석결과 지속적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용불안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즉, 고용불안이 높은 종사자일수록 지속적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강화시킨다는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지속적몰입이 높은 종사자들에 대한 고용불안 관리가 낮은 종사자들과 비교해 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ur, J. M.,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s and Reform Measures of the Construction Trade Unions of Korea," Department of Industrial Relations The Graduate School of Labor and Industrial Relations Soong Sil University, 1997 

  2. Meyer, J. P., & Allen, N. J.,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 1, No. 1, pp. 61-89, 1991. 

  3. Weiner, B., "The Emotional Consequences of Causal Ascriptions," In M. S. Clark & S. T. Fiske (Eds.), Affect and cognition: The 17th Annual Carnegie Symposium on Cognition. Hillsdale, NJ: Erlbaum, 1982. 

  4. Kho, H.C., "Study on Dual Commitment of R&D Professionals : Focused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Department of Sociology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2003. 

  5. Garavan, T. N., & O'Brien, F.,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urs in Irish Organisations,” Irish Journal of Management, Vol. 22, No. 1, pp. 141-170, 2004. 

  6. Neal, Andrew, Mark A. Griffin, and Peter M. Hart.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Safety Climate and Individual Behavior," Safety Science, Vol. 34. No. 1, pp. 99-109, 2000. 

  7. Wallace, J. C., & Vodanovich, S. J., Workplace Safety Performance: Conscientiousness, Cognitive Failure, and Their Interact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8(4), 316-327, 2003. 

  8. Meyer, J. P., Stanley, D. J., Herscovitch, L., & Topolnytsky, L.,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 Meta-Analysis of Anteceden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61, No. 1, pp. 20-52, 2002. 

  9. Cooper-Hakim, A., & Viswesvaran, C., “The Construct of Work Commitment: Testing an Integrative Framework,” Psychological Bulletin, Vol. 131, No. 2, pp. 241-259, 2005. 

  10. Chang, Y.S., Kim, M.S., Lee,, K. M. & Cho, D.H., "The Effect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9 No. 3, pp103-114, 2014. 

  11. Lee, W. Y., "Influence of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afety Climate o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The 2005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2005. 

  12. Oah, S. Z., Choi,, S. C., Kim, H. S., & Hong S. H., "A Critical Review of Behavioral Studies for Accident Control,"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and Social Issue, Vol. 9, Special, pp. 75-88, 2003. 

  13. Moon, K. S., Lee, J. H., & Oah S. Z.,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Safety Behaviors: Moderating Effects of Safety Climat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4, No. 1, pp. 51-73, 2011. 

  14. Greenhalgh, L., & Rosenblatt, Z., “Job Insecurity: Toward Conceptual Clar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9, No. 3, pp. 438-448, 1984. 

  15. Han, J. H.,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or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etween the Antecedents of Job Insecurity and the Job Insecurity,"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 13, No. 4, pp.209-299, 2006. 

  16. Ashford, S. J., Lee, C., & Bobko, P., “Content, Cause, and Consequences of Job Insecurity: A Theory-Based Measure and Substantive Tes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32, No. 4, pp. 803-829, 1989. 

  17. King, J. E., "White­Collar Reactions to Job Insecurity and The Role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 39, No. 1, pp. 79-92, 2000. 

  18. Kinnunen, U., Mauno, S., Natti, J., & Happonen, M., “Organizational Antecedents and Outcomes of Job Insecurity: A Longitudinal Study in Three Organizations in Finland,”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21, No. 4, pp. 443-459, 2000. 

  19. Park, S. E., & Lee, Y. M.,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Job Insecurity, Trust and Job Performance of Survivor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Organizational Downsizing," Korean Management Review, Vol. 33, No. 2, pp.503-529, 2004. 

  20. Son, H. I., & Jeong H. W.,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To The Union Commitment, Dual Commitment and The Union-Related Orientatio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 34, No. 2, pp.131-149, 2015. 

  21. Hwang, H. Y., Yu, J. K., Lee, K. S., & Chol I. T., Investigation of Employment Instability of Adjustment Effect in the Rela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Team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Vol. 3, No. 2, pp. 25-49, 2011. 

  22. Yoo, E. H., & Kim J. K., "Effects of HRM Practices and LMX on Turnover Intention of SMEs employe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20, No. 6, pp91-106, 2015. 

  23. Kim, J. k., Dai, S., & Kim, J. H.,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Individual Motivations on Information Sharing and Community Promotion: Focused on a Chinese Virtual Community,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 25, No. 1, pp135-158, 2016. 

  24. Park, J. C., Perceived Job Insecurity of Internet Information System Employees Impact on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 9, No. 1, pp163-175,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