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유자돈의 합사가 모돈과 자돈의 체표면 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ing of suckling piglets on change of body surface temperature in sows and pigle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 2017년, pp.135 - 140  

김두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영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광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기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포유기간 중 이복자돈과의 합사가 모돈과 자돈의 체표면 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임신모돈 12두를 공시하여 6두는 개별 분만펜에 위치시켜 분만 후 이유시까지 복당 사육을 유지하였으며(대조구), 6두는 중간 칸막이의 제거가 가능한 가변형 분만펜에서 3복이 한 펜이 되도록 분만 11일차에 칸막이를 제거하여 이유시까지 유지하였다(처리구). 합사 30분 후에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모돈 및 자돈의 체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분만 후 포유모돈의 평균 체표면 온도는 처리구에서 $37.1^{\circ}C$로 대조구의 $36.3^{\circ}C$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p<0.05), 최고온도에서는 두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포유 자돈의 평균 체표면 온도는 포유기 합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대조구 37.5, 처리구 $36.0^{\circ}C$; p<0.01). 최고온도에서 또한 대조구와 처리구에서 각각 $39.4^{\circ}C$$39.1^{\circ}C$로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지만 대조구에서 낮은 경향으로 관찰되었다(p=0.079). 결론적으로 포유기간 중에 이복자돈과의 합사에 의해 모돈의 체표면 온도는 상승되지만, 자돈의 체표면 온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더 나아가 체표면 온도와 심부온도와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 합사에 의한 모돈 및 자돈의 생리적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xing with unfamiliar piglets on changes in the body surface temperature of sows and piglets during the suckling period. A total of 123 pigs (12 sows and 111 piglets) were used for this study. A control group of piglets of the same litter was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포유기간 동안 이웃한 돼지와 조기에 합사를 실시하면 자돈의 이유 스트레스를 감소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이것은 모돈과 자돈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스트레스의 발생은 호흡과 심장 박동수를 증가시키며 체온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유 기간에 이복자돈과의 합사가 모돈과 자돈의 체표면 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 최근 첨단 디지털 장비 및 ICT기술의 발달로 생물체의 생체지표를 수집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16], 과거 가축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일반 온도계 혹은 수의용 온도계를 이용하여 가축의 직장 내에 직접 접촉식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이 관행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체온 측정방식인 직접접촉식 측정 방법이 아닌 디지털장비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돼지의 체표면 온도측정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고, 포유기간 동안 자돈의 합사가 자돈 및 모돈의 체표면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생자돈의 체온조절이 어려운 이유는? 신생자돈의 경우 출생 후 2주 이내에는 2% 미만의 체지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체온조절이 매우 어렵다[19]. 신생자돈은 열을 차단하는 기능이 부족하기 때문에 체표면 온도는 주변 환경요인에 의해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
적외선 열화상 (Infrared thermography) 또는 적외선 온도측정장비의 축산분야에서의 장점은? 적외선 열화상 (Infrared thermography) 또는 적외선 온도측정장비 (Infrared thermometry equipment)는 비접촉 온도측정 방법으로 대상물과의 접촉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손쉽게 대상물의 표면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축산분야에서의 활용에 있어서는 질병 감염의 확산 위험을 줄일 수 있고, 동물을 취급할 때에 스트레스를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에 대상 가축의 온도를 측정하는 데에 매우 유리한 장비이다[11]. 이러한 첨단장비는 최근 ICT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생활밀착형 장비[12]에서 더욱 나아가 농업과의 접목을 통해 활발히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생산자의 노동력과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시도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13-15].
처리구에서 포유모돈의 체표면 평균온도가 올라간 이유는? 처리구에서 포유모돈의 체표면 평균온도가 올라간 이유는 합사로 인해 자돈들이 자유롭게 이동함에 따라 다른 분만펜의 자돈들과 자연스러운 스킨쉽과 투쟁 등 사회적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반면, 포유모돈은 분만틀 안에서 행동의 규제를 받는 상황에서 불안, 초조함 그리고 소란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더 심한 스트레스 받음으로써 체표면 온도가 상승한 것으로 보여진다. Pedersen 등[17]은 외부 자돈의 존재가 자돈의 포유 행동에는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J. M. Campbell, J. D. Crenshaw, J. Polo, The biological stress of early weaned piglets. J. Anim. Sci. Biotechnol., 4, 19-22. 2013. DOI: https://doi.org/10.1186/2049-1891-4-19 

  2. H. C. Hu, K. Xiao, J. Song, Early weaning increases intestinal permeability, alters expression of cytokine and tight junction proteins, and activates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in pigs. J. Anim. Sci., 91, 1094-1101. 2013. DOI: https://doi.org/10.2527/jas.2012-5796 

  3. Y. L. Yin, Birth oxidative stress and the development of an antioxidant system in newborn piglets. Free Radical Res., 47, 1027-1035. 2013. DOI: https://doi.org/10.3109/10715762.2013.848277 

  4. G. B. Tactacan, S. Y. Cho, J. H. Cho, I. H. Kim, Performance responses,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characteristics, and measures of gastrointestinal health in weanling pigs fed protease enzyme. Asian-Australas. J. Anim. Sci., 29, 998-1003. 2016. DOI: https://doi.org/10.5713/ajas.15.0886 

  5. I. C. De Jong, E. Lambooij, S. M. Korte, H. J. Blokhuis, J. M. Koolhaas, Mixing induces long-term hyperthermia in growing pigs. Anim. Sci., 69, 601-605. 1999. 

  6. R. C. Sulabo, E. J. Wiedemann, J. Y. Jacela, M. D. Tokach, J. L. Nelssen, J. M. De Rouchey, R. D. Goodband, S. S. Dritz, Effect of varying creep feeding duration on proportion of pigs consuming creep feed and pre-weaning performace. Swine Day, Kansas State University, Manhattan, KS, Conference paper, 38-45. 2007. 

  7. E. Hillman, F. von Hollen, B. Bunger, D. Todt, L. Schrader, Farrowing conditions affect the reactions of piglets towards novel environment and social confrontation at weaning. Appl. Anim. Behav. Sci., 81, 99-109. 2003. DOI: https://doi.org/10.1016/S0168-1591(02)00254-X 

  8. D. M. Weary, E. A. Pajor, M. Bonenfant, D. Fraser, D. L. Kramer, Alterative housing for sows and litters. Part 4. Effect of sow-controlled housing combined with a communal piglet area on pre- and post-weaning behavior and performance. Appl. Anim. Behav. Sci., 76, 279-290. 2002. DOI: https://doi.org/10.1016/S0168-1591(02)00011-4 

  9. R. B. D'Eath, Socialising piglets before weaning improves social hierarchy formation when pigs are mixed post-weaning. Appl. Anim. Behav. Sci., 93, 199-211. 2005. DOI: https://doi.org/10.1016/j.applanim.2004.11.019 

  10. H. H. Yang, W. G. Min, Y. H. Ba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adio telemetry system to monitor the deep body temperature of broiler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9, 81-86, 2008. DOI: https://doi.org/10.5762/KAIS.2008.9.1.081 

  11. D. D. Soerensen, L. J. Pedersen, Infrared skin temperature measurements for monitoring health in pig: a review. Acta Vet. Scand., 57(5), 1-11. 2015. DOI: https://doi.org/10.1186/s13028-015-0094-2 

  12. S. H. Lee, A study on digital convergence related with our life using ICT. J. Digit. Converg., 11, 429-434. 2013. DOI: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1.429 

  13. D. W. Lee, S. H. Lee, The future of ICT fusions based on smart technology. J. Digit. Converg., 10, 147-152. 2012. 

  14. K. S. Kang, Production of content for regional sources of the convergence industrialization. Based on agricultural management entities of the sixth industrialization in Chungcheongnam-do. J. Digit. Converg., 13, 483-490. 2015. DOI: https://doi.org/10.14400/JDC.2015.13.10.483 

  15. B. C. Kim, The ICT convergence agriculture automated machines designed for smart agriculture. J. Digit. Converg., 14, 141-148. 2016. DOI: https://doi.org/10.14400/JDC.2016.14.2.141 

  16. I. G. Kim, S. H. Kang, Accuracy analysis of pulse wave sensor data of ear lable of husbandry livestock. J. Digit. Converg., 12, 387-393. 2014. DOI: https://doi.org/10.14400/JDC.2014.12.11.387 

  17. L. Pedersen, J. M. Studnitz, K. H. Jensen, A. M. Giersing, Suckling behavior of piglets in relation to accessibility to the sow and the presence of foreign litters. Appl. Anim. Behav. Sci., 58, 267-279. 1998. DOI: https://doi.org/10.1016/S0168-1591(97)00149-4 

  18. V. T. Kanaan, E. A. Pajor, D. C. Lay Jr, B. T. Richert, J. P. Garner, A note on the effect of co-mingling piglet litters on pre-weaning growth, injuries and responses to behavioural tests. Appl. Anim. Behav. Sci., 110, 386-391. 2008. DOI: https://doi.org/10.1016/j.applanim.2007.05.002 

  19. P. K. Theil, C. Lauridsen, H. Quesnel, Neonatal piglet survival: impact of sow nutrition around parturition on fetal glycogen deposition and production and composition of colostrum and transient milk. Animal, 8, 1021-1030. 2014. DOI: https://doi.org/10.1017/S1751731114000950 

  20. L. Olson, S. Faulkner, K. Lundstromer, A. Kerenyi, D. Kelen, M. Chandrasekaran, U. Aden, L. Olson, X. Golay, H. Lagercrantz, N. J. Robertson, D. Galter, Comparison of three hypothermic target temperatures for the treatment of hypoxic ischemia: mRNA level responses of eight genes in the piglet brain. Transl. Stroke. Res., 4, 248-257. 2013. DOI: https://doi.org/10.1007/s12975-012-0215-4 

  21. P. S. Yan, S. Yamamoto, Relationship between thermoregulatory responses and heat loss in piglets. J. Anim. Sci., 71, 505-509. 2000. 

  22. T. M. Brown-Brand, R. A. Eigengerg, J. A. Nienaber, S. D. Kachman, Thermoregulatory profile of a newer genetic line of pigs. Livest. Prod. Sci., 71, 253-260. 2001. DOI: https://doi.org/10.1016/S0301-6226(01)00184-1 

  23. E. K. Worobec, I. J. H. Duncan, T. M. Widowsky, The effect of weaning at 7, 14 and 28 days on piglets behavior. Appl. Anim. Behav. Sci., 62, 173-182. 1999. DOI: https://doi.org/10.1016/S0168-1591(98)00225-1 

  24. L. N. Cox, J. J. Coopert, Observations on the pre- and post-weaning behavior of piglets reared in commercial outdoor and indoor environments. Br. Soc. Anim. Sci., 72, 75-86. 2001. DOI: https://doi.org/10.1017/S1357729800055570 

  25. L. Melotti, M. Oostindjer, J. E. Bolhuis, S. Held, M. Mendl, Coping personality type and environmental enrichment affect aggression at weaning in pigs. Appl. Anim. Behav. Sci., 133, 144-153. 2001. DOI: https://doi.org/10.1016/j.applanim.2011.05.018 

  26. K. S. Kim, E. S. Cho, Y. H. Kim, J. E. Kim, K. H. Seol, K. H. Kim, Effect of mixing with non-familiar piglets on change of body temperature. Korean J. Agri. Sci., 42, 231-235. 2015. DOI: https://doi.org/10.7744/cnujas.2015.42.3.2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