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edictors of Empathy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 2017년, pp.177 - 184  

여현주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정도를 알아보고 공감능력과 다양성 수용도, 정서인식명확성, 타인인식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증진을 위한 중재 전략을 구축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173명의 간호대학생이었고, 자료는 일반적 특성과 다양성 수용, 정서인식명확성, 타인인식 및 공감능력으로 구성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수집하였다. IBM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의 t-test, ANOVA, $scheff{\acute{e}}^{\prim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은 학년, 실습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공감능력은 학년, 다양성 수용도, 정서인식명확성, 타인인식에 따라 유의한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 다양성 수용도, 정서인식명확성 및 타인인식으로, 이들 변인은 공감능력을 51.9%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배경을 가진 대상자를 수용하고 다른 사람의 내면에 초점을 두며, 치료적 관계 안에서 자신의 정서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는 간호 교육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볼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n intervention strategy for nursing students' empathic ability enhancement by confirming the degree of empathy ability of nursing student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bility and diversity acceptance, emotion recognition clarity, and oth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양성 수용도, 정서인식 명확성 및 타인인식과 공감능력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대 학생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전략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서인식 명확성을 높임으로써 나타나는 효과는? 정서는 사고, 감정, 행동과 관련된 심리적‧신체적 상태로, 다양한 감정을 포괄하는 개념이다[12]. 자신의 정서 상태를 구체적으로 정확히 인식하고 이해하며, 이를 구분하고 명명하는 능력을 정서인식 명확성이라고 하는데[13], 사람은 정서를 명확히 함으로써 자신의 정서를 어떻게 다루고 표현할 지를 결정하며 적응적으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14].
정서의 정의는? 정서는 사고, 감정, 행동과 관련된 심리적‧신체적 상태로, 다양한 감정을 포괄하는 개념이다[12]. 자신의 정서 상태를 구체적으로 정확히 인식하고 이해하며, 이를 구분하고 명명하는 능력을 정서인식 명확성이라고 하는데[13], 사람은 정서를 명확히 함으로써 자신의 정서를 어떻게 다루고 표현할 지를 결정하며 적응적으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공감능력이 간호 전문 인력으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이유는? 공감능력이란 타인과 동일한 위치에서 상대의 입장과 관점을 정확히 이해하고 수용하는 능력으로[4], 간호사 에게는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고 돌봄을 실천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5]. 이러한 공감은 간호사와 대상자의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6], 대상자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대상자의 욕구를 인식하고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만족감을 준다[7]. 따라서 공감능력은 간호대학생이 간호 전문 인력으로 성장하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J. Campinba-Bacote. The process of cultural competence in the delivery of healthcare services: A model of care.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vol. 13, no. 3, pp. 181-184, 2002. DOI: https://doi.org/10.1177/10459602013003003 

  2. W. O, Oh.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sensitivity among nursing students.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ol 17, no. 4, pp. 222-229, 2011. DOI: https://doi.org/10.4094/jkachn.2011.17.4.222 

  3. S. Tanzia, G. Biascob, W. F. Baile. Enhancing the empathic connection: using action methods to understand conflicts in end-of-life care. Journal of Patient Experience, vol 1, no. 1, pp. 14-21, 2014. DOI: https://doi.org/10.1177/237437431400100104 

  4. D. Rogers, C. Hudson. The role of emotion control and emotional rumination in stress management tra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vol. 2, no. 3, pp. 119-132, 1995. DOI: https://doi.org/10.1007/BF01740298 

  5. M. H. Jeong, M. A. Shin. Empath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 Journal fo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9, pp. 89-105, 2014. DOI: http://doi.org/10.5762/KAIS.2015.16.9.6044 

  6. S. Y. Chung. The effects of breath meditation with neurofeedback on memory and concentration of healthy adult volunte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7. S. Moghaddasian, S. Lak Dizaji, M. Mahmoudi. Nurses empathy and family needs in the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Caring Sciences, vol 2, no. 3, pp. 197-201, 2013. DOI: https://doi.org/10.2307/2943979 

  8. E. T. Pascarella, M. Edison, A. Nora, L. S. Hagedorn, P. T. Terenzini. Influences of student's openness of diversity and challenge in the first year of colleg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 67, no. 2, pp. 147-195, 1996. 

  9. E. I. Jeong. Effects of diversity acceptability and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on career adaptability for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vol 28, no. 2, pp. 307-337, 2016. 

  10. I, P. Gurin, E. I, Dey, S. Hurtado, G, Gurin. Diversity and higher education: Theory and impact on educational outcomes. Harvand Educational Review, vol. 72. no. 3, pp. 330-365, 2002. DOI: https://doi.org/10.17763/haer.72.3.01151786u134n051 

  11. H. J. Nam. Effects of a Diversity Education Program on the Students' Empathy Ability, Cultural Sensitivity and Disabilities Acceptance Attitudes in an Inclusive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Research, vol. 13, no. 3, pp. 53-76, 2014. 

  12. H. K. Kwon, J. H. Jang. Impacts of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acceptance on counseling outcomes in counseling.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23. no. 4, pp. 811-831, 2011. 

  13. C. L. Gohm, G. L. Clore. Mood regu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dividual differenc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84, pp. 594-607, 2003.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84.3.594 

  14. P. Salovey, J. D. Mayer, S. L. Goleman, , C, Turney, P. Palfai.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 Wasington, DC.: APA. 125-154, 1995. 

  15. M. Berking, P. Wupperman. Emotion regulation and mental health: recent findings,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Current Opinion in Psychiatry, vol. 25, pp. 243-255. DOI: https://doi.org/10.1097/yco.0b013e3283503669 

  16. Y. W. Choi, S. J. Le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al awareness on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9, no. 4, pp. 887-901, 2004. 

  17. S, M. Park, C. G. Kim, C. S. Kyung. Influence of emotional awar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style of nursing student adjust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0, no. 2, pp. 300-311, May, 2014.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300 

  18. S. M. Park, C. C. Kim, S. K. Cha, Influence of emotional awar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style on nursing student adjust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0, no. 2, pp. 300-311, 2014.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300 

  19. H. K. Lee, J. H. Kim. Effects of role acceptance on empath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13 no. 1, pp. 15-29, 2001. 

  20. H. G. Eun, J, Y. B. The Elementary students' self-awareness and other-awarenes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5, no. 1, pp. 191-204. 2004. 

  21. H. G. Eun, Adolescents' self-awareness, other-awareness, interpersonal skills and the satisfa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 the difference among the grades and between the Sexe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vol. 9, pp. 136-157, 2001. 

  22. S. B. Im, B. K. Min, J. K. Goh.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Health Communication, vol. 2, no. 2, pp. 105-112, 2007. 

  23. E. J. Oh, S. H. Kim, J. Y. Kim, S. R. Kim, Self-awareness, other-awareness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1, no. 4, pp. 426-434, September, 2015.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4.426 

  24. M. O. Kang.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self-awareness, other-awareness and empathy in nursing students, Korean Philosoph,. vol. 47, pp. 207-238, March, 1988. 

  25. E. J. Ji.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empathic ability on communication ability in senior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6, no. 3, pp. 1685-1697, 2004. 

  26. J. H. Park, S. K. Chung.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empathy, communication skill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1, pp. 7698-7707,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1.7698 

  27. M. O. Chae. Ego resilience, empathic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5, pp. 95-103.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5.95 

  28. H. S. Lee. The impact of university students' openness to diversity on creativ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014. 

  29. S. J. Lee, S. K. Lee. The Research on the Validation of the Trait Meta-Mood Scale : The Domain Explora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 11, no. 1, pp. 95-116, 1997. 

  30. M. H. Davi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o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vol 10., pp. 85, 1980. 

  31. B. K. Bryant. An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vol. 53, pp. 413-425, 1982. DOI: https://doi.org/10.2307/1128984 

  32. S. H. Park. Empathy and empathic understanding. Seoul: Wonminsa. 

  33. J. H. Nam. The effect of a loving-kindness meditation program of the empathy, emotion, and stress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l. 2016. 

  34. A. L. Antonio, M. J. Chang, K. Hakuta, D. A. Kenny, J. F. Milem. Blending content and contact: the roles of diversity curriculum and camp heterogeneity in fostering diversity management competency. Academy of Management Leaning & Education, vol. 3. no. 4, pp. 380-396, 2004. DOI: https://doi.org/10.5465/AMLE.2004.15112544 

  35. S. E. Wilson, J. Prescott, G. Becket. Empathy levels in first-and third-year students in health and non-health disciplines.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vol. 76. no. 2, pp. 1-4, 2012. DOI: https://doi.org/10.5688/ajpe76224 

  36. C. Jimenez, P.M. Navia-Osorio, C. V. Diaz. Stress and health in novice and experience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6, no. 2, pp. 442-455, 2010. DOI: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9.05183.x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