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민들의 소통 플랫폼으로서 서울시 지하철 디지털 사이니지에 적합한 콘텐츠 및 인터랙션 연구
Content Types and Interactions Suitable for Digital Signage at Seoul Subway Stations as a Communication Platform for Citizen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 2017년, pp.337 - 350  

강민정 (홍익대학교 조형대학) ,  윤주현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터랙션과 네트워크가 가능한 디지털사이니지가 공공장소에 많이 설치가 되면서 이러한 플랫폼에 적합한 콘텐츠에 대한 연구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에 설치된 디지털사이니지에서 시민들의 소통에 적합한 콘텐츠의 유형과 인터랙션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사례연구,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기존에 공공장소에서 소통되는 콘텐츠 유형과 참여방식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토대로 설문조사를 하여 서울시 지하철에 설치된 디지털사이니지에서 소통하기 원하는 콘텐츠의 유형과 인터랙션 방향을 밝히고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연구 결과를 보완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지하철역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소통하기 원하는 콘텐츠의 유형은 연령대 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20대는 주로 개인적인 글, 40대는 주로 공공의 주제, 그리고 30대는 앞의 두 연령대에서 선호하는 콘텐츠 유형들을 모두 소통하기 원하였다. 소통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읽기/쓰기 모드에 따라 나눠서 질문한 결과 두 가지 모드에서 선호하는 콘텐츠 유형은 대체로 유사했지만 일상적인 글 또는 소원과 같은 개인 관련된 글은 읽기에서는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감표현을 위한 인터랙션을 조사한 결과 시민들은 댓글 보다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표현 하고자 하였고 스마트폰 보다는 스크린에서 직접 터치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소통 플랫폼에 저장된 데이터는 지역, 나이, 주제에 따라 분석이 되어 시민들의 생각을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리라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interactive digital signages with computer network have been increasingly popular in public space, the needs for studying content types and interactions suitable for the digital signages are emerging. In this study, we aim to find out what contents are preferred to share and how to interact in 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대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사이니지가 많이 실패한 이유는 무엇인가? 정부와 공공기관의 막대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실패 사례는 국내외에서 쉽게 찾아 볼수 있다[3]. 이는 디지털 사이니지에 적합한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정보와 정책의 부족으로 디지털 사이니지를 단순히 광고전략으로 활용해 버렸기 때문이다[4].
비포아이다이 프로젝트가 전세계적으로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지금도 지속적으로 세계 곳곳에서 만들어지고 있으며 여러 매체에서 이 벽이 만들어내는 긍정적 경험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26]. 이 프로젝트가 전 세계적으로 확장되고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소통의 목적과 주제가 분명했고 벽을 만들고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가 잘 정리되어 있다. 또한 칠판과 분필을 이용하여 쉽게 쓰고 지울 수 있게 만든 것도 참여의 문턱을 낮췄다고 볼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의 정의는 무엇인가?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이용자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종합적인 영상․정보․광고융합서비스 시스템으로서 하나의 독립적인 미디어나 커뮤니케이션 툴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기술, 콘텐츠, 네트워크, 기기 및 장치 등이 서로 연동된 융합커뮤니케이션시스템을 의미한다[1]. 디지털 사이니지의 1세대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에서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형태였다면 2세대는 스마트 기기와 소비자와의 접점에서 양방향 콘텐츠 허브로 진화하여 크로스 플랫폼이 가능한 형태로 진화하였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홍종배, 김형경, 박원준, 김아랑, "디지털 사이니지 활성화 제도 연구," 방통융합기반정책연구, pp.14-18, 2014. 

  2. http://vip.mk.co.kr/news/view/21/20/1257575.html 

  3. A. V. Moere and N. Wouters, "The role of context in media architecture,"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Pervasive Displays, p.12, 2012. 

  4. G. Boddington and P. Fink, Framework for the implementation of urban big screens in the public space, Bartlett School of Graduate Studies, University College London, 2009. 

  5. M. Tomitsch, I. McArthur, M. H. Haeusler, and M. Foth, "The Role of Digital Screens in Urban Life: New Opportunities for Placemaking," In Citizen's Right to the Digital City, pp.37-54, 2015. 

  6. W. Christ, "Public versus Private Space," IRS international symposium, Die europaische Stadt-ein auslaufendes Modell, 2000. 

  7. D. Gilmore, Another Brick in the Wall: Public Space, Visual Hegemonic Resistance, and the Physical/Digital Continuum, Thesis, Georgia State University, 2012. 

  8. S. Kiesler, J. Siegel, and T. W. McGuire,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merican Psychologist, Vol.39, pp.1123-1134, 1984. 

  9. http://scala.com/news-events/white-papers-more/top-10-rules-for-digital-signage/ 

  10. 사이시옷, 일인시위, hertz9, 2010. 

  11. A. P. Mathew, "Using the environment as an interactive interface to motivate positive behavior change in a subway station," CHI'05 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1637-1640, ACM, 2005. 

  12. 신동희, 김희경, "디지털 사이니지의 공간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77-84, 2015. 

  13. G. Tscherteu and M. Tomitsch, "Designing urban media environments as cultural spaces," CHI'11 Workshop on Large Urban Displays in Public Life, 2011. 

  14. L. Hespanhol, M. Tomitsch, I. McArthur, J. Fredericks, R. Schroeter, and M. Foth, "Vote as you go: blending interfaces for community engagement into theurban space,"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ties and Technologies, pp.29-37, 2015. 

  15. H. Brignull and Y. Rogers, "Enticing people to interact with large public displays in public spaces," Proceedings of INTERACT, Vol.3, pp.17-24, 2003. 

  16. Y. Rogers and H. Brignull, "Subtle ice-breaking: encouraging socializing and interaction around a large public display," Workshop on Public, Community and Situated Displays, 2002. 

  17. 이민주, 김재영, 성정환, "역공간에서 심리적 요인이 사적 정보 공유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 포럼, 제30권, pp.157-165, 2011. 

  18. R. Schroeter, "Engaging new digital locals with interactive urban screens to collaboratively improve the city," In Proc. of CSCW 2012, pp.227-236, 2012. 

  19. C. Fortin, C. Neustaedter, and K. Hennessy, "The appropriation of a digital speakers corner: lessons learned from the deployment of megaphone," Proceedings of the 2014 conference on Designing interactive systems, ACM, 2014. 

  20. S. Hosio, V. Kostakos, H. Kukka, M. Jurmu, J. Riekki, and T. Ojala, "From school food to skate parks in a few clicks: Using public displays to bootstrap civic engagement of the young," In Proc. of PERVASIVE, pp.425-442, 2012. 

  21. M. Struppek, "The social potential of Urban Screens," Visual Communication, Vol.5, pp.173-188, 2006. 

  22.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8/24/0200000000AKR20160824087600017.HTML 

  23. P. Dourish, "Re-space-ing place: "Place" and "space" ten years on," In Proceedings of the 20th anniversary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pp.299-308, 2006. 

  24. http://www.dailymail.co.uk/wires/afp/article-2871126/Hong-Kong-protesters-rebuild-Lennon-Wall.html 

  25. http://news1.kr/articles/?2667372 

  26. http://beforeidie.cc/site/about/ 

  27. http://blog.samsung.co.kr/4283/ 

  28. http://www.seoul.go.kr/main/index.html 

  29. http://www.yonhapnews.co.kr/society/2012/01/02/0701000000AKR20120102051000004.HTML 

  30.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40612_0012977661&cID10201&pI D10200 

  31. 한정호, 박노일, 정진호, "온라인과 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상황이 공중 세분화 변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7권, 제1호, pp.319-350, 2007. 

  32. F. G. Deters and M. R. Mehl, "Does posting Facebook status updates increase or decreaseloneliness? An online social networking experiment,"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Vol.4, pp.579-586,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