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부담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체계와 사회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Caregiving Burden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 on Marital Conflict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 2017년, pp.594 - 610  

박선원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부담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체계와 사회활동이 양육부담과 부부갈등의 관계에서 어떻게 조절효과를 보이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인천 시내의 특수학교에 등록하여 교육과 치료를 받고 있는 발달장애아동의 어머니로, 모두 124명에 대한 분석이 진행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동에 대한 양육부담은 부부 갈등을 증가시켰다. 둘째, 발달장애아동 양육부담이 부부 갈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비공식적인 사회적 지지가 유의미한 조절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발달장애아동의 양육부담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적인 사회 활동이 유의미한 조절요인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부부갈등에 대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giving burden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 on marital conflict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ies. For the purpose, a total of 124 mothers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who were e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아동 출산이 증가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최근 급격한 산업화 및 사회 환경적 영향으로 선천적이고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한 장애아동 출산이 증가하고 있다. 보건사회연구원[1]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현재 장애인구 가운데 장애아동(15세 미만)의 수는 약 57,700명으로 전체 장애인구의 2.
가정에 장애아동이 출생했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부모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가정에 장애아동이 출생했다는 것은 부모에게 커다란 충격과 함께 생각하지 못했던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됨은 물론, 아동양육에 대한 부담이 가족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2][3]. 특히 아동양육에 일차적 책임을 지는 어머니의 심리적 고통은 남편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남편과의 관계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발달 수준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상호 순환적으로 어머니의 양육부담을 증가시킨다[4-6].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 정서적 어려움은 비장애 자녀 어머니의 경우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7], 가부장적 한국 사회에서 장애아동 양육 책임뿐만 아니라, 장애아동 출산에 대한 배우자와 원가족의 비난까지 받고 있는 현실이다[8].
가정에 장애아동이 출생했다는 것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가정에 장애아동이 출생했다는 것은 부모에게 커다란 충격과 함께 생각하지 못했던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됨은 물론, 아동양육에 대한 부담이 가족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2][3]. 특히 아동양육에 일차적 책임을 지는 어머니의 심리적 고통은 남편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남편과의 관계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발달 수준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상호 순환적으로 어머니의 양육부담을 증가시킨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실태조사, 2010. 

  2. 전병주, "아동의 장애유형에 따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복지서비스 인식 및 삶의 질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492-502, 2016. 

  3. 황연화, 임종호, "장애아동을 그룹홈에 입소시킨 어머니의 양육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 권, 제8호, pp.257-267, 2016. 

  4. 김지혜, 진미경,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8권, 제4호, pp.285-305, 2015. 

  5. 박재국, 서보순, 김은라, "장애아동 어머니의 부모 역량 연구:역량요소 구인과 인식 경향," 특수교육, 제12권, 제3호, pp.179-202, 2013. 

  6. 정청자, 장애아 가정의 긴장과 적응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7. 권영욱, 황결열, "장애아동 어머니와 일반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 대처 방안 비교,"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제8권, 제1호, pp.45-59, 2005. 

  8. 황경자, 중복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9. M. Seligman and R. B. Darling, Ordinary families. Special children: A systems approach to childhood disability (Second Edition), NY: Guilford, 1997. 

  10. 이은숙, 발달장애아동 가정에서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1. 권명희, 장애아동의 특성, 부부의 개인적 특성, 사회적 지원이 발달장애아동 가정에서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평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12. 고정선,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 부담감, 우울 및 자아존중감의 상호 관계: 정신지체와 자폐 아동 어머니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전, 제9권, 제1호, pp.1-17, 2009. 

  13. 박진영, 발달장애아동을 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4. B. L. Baker, L. L. Mclntyre, J. Blacher, K. Crnic, C. Edelbrock, and C. Low, "Pre-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elay: behavior problems and parenting stress over time,"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Vol.27, No.4/5, pp.217-230, 2003. 

  15. S. Herring, K. Gray, J. Taffe, B. Tonge, D. Sweeney, and S. Einfeld, "Behaviour and emotional problems in toddlers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and developmental delay: associations with parental mental health and family functioning,"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Vol.50, No.12, pp.874-882, 2006. 

  16. 이한우, 발달장애아동 가족지원 특성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2. 

  17. 김세윤, 만성 정신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담감과 대처방안에 관한 질적연구 : 정신분열증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담감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8. J. S. Ko,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enting-burde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mothers of the child with disabilitie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Vol.9, No.1, pp.1-17, 2008. 

  19. M. Erickson and C. C. Upshur, "Caretaking burden and social support: comparison of mothers of infa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Vol.94, No.3, pp.250-258, 1989. 

  20. 오혜경, 전혜연, "장애아동 부양가족의 양육부담 및 가족지원욕구," 한국가족복지학, Vol.9, No.1, pp.79-100, 2004. 

  21. P. D. Singhi, "Psychosocial problems in families of disabled children,"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Vol.63, No.2, pp.173-182, 1991. 

  22. 양경애, 장애아동 가족의 지원서비스에 대한 욕구조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3. 이은정, 장애아부모의 양육부담에 따른 가족지원서비스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4. 정종기, 장애아동가족의 양육 부담에 따른 가족 지원 서비스 연구,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5. 박형원, "기혼 성인의 가족건강성에 대한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pp.184-194 2015. 

  26. 송유미, "중년기 여성 사회복지사의 가족스트레스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 가족탄력성의 매개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235-254, 2016. 

  27. 정현주, 안수영, "경제적 스트레스와 교육적 스트레스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회참여의 조절효과 검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1권, 제3호, pp.267-290, 2012. 

  28. 남성희, 김현수, "발달지연 영유아 자녀를 둔 가 정에서 배우자의 양육참여와 자녀와의 상호작용이 어머니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재활복지, 제18권, 제2호, pp.151-179, 2014. 

  29. J. Korsh, P. Hodvat, P. Hausor-Cram, and M. E. Warfield, "The contribution of marital quality to the well-being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Vol.50, No.12, pp.883-893, 2006. 

  30. A. S. Eisenhower, B. L. Baker, and J. Blacher, "Preschool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yndrome specificity,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well-being,"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Vol.49, No.9, pp.657-671, 2005. 

  31. M. M. Bristol, J. J. Gallagher, and E. Schopler, "Mothers and fathers of young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nondisabled boys: Adaptation and spousal support,"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4, No.3, p.441, 1988. 

  32. 서경희, "전반적 발달장애아의 인지결손과 사회적 중재," 제13회 한국재활심리학회 연수회 자료집, pp.279-291, 2008. 

  33. 김영숙, "장애아가족의 가족지원제도의 요구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제도적 개선방안.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1권, 제3호, pp.395-418, 2010. 

  34. A. Beck, R. P. Hastings, D. Daley, and J. Stevenson, "Pro-social behaviour and behaviour problems independently predict maternal stress," Journal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Vol.29, No.4, pp.339-349, 2004. 

  35. G. L. Bowen, D. K. Orthner, and L. I. Zimmerman, "Family adaptation of single parents in the United States Army: An empirical analysis of work stressors and adaptive resources," Family Relations, Vol.42, No.3, pp.293-304, 1993. 

  36. B. A. Boyd,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lack of social support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제17권, 제4호, pp.208-215, 2002. 

  37. M. J. Hanson and M. F. Hanline, "Parenting a child with a disability: A longitudinal study of parental stress and adaptation,"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Vol.14, No.3, pp.234-248, 1990. 

  38. R. Hassall, J. Rose, and J. McDonald,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The effects of parental cognitions in relation to child characteristics and family support,"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Vol.49, No.6, pp.405-418, 2005. 

  39. J. S. Greenberg, M. M. Seltzer, M. W. Krauss, and H. W. Kim,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ging mothers of adults with mental illness or mental retardation," Family Relations, Vol.46, No.4, pp.383-394, 1997. 

  40. 최해경, "성인 발달장애인을 돌보는 부모의 보호 부담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제21권, 제2호, pp.243-263, 2010. 

  41. 심혜경, 취학 전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부담과 사회복지 서비스 욕구에 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42. 정성목, 정신지체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부담 감과 욕구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43. 조유리,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44. 여성가족부, 2010년 전국가정폭력실태조사, 2010. 

  45. 김호균, "조직공정성인식, 조직신뢰, 조직시민행동간 영향관계분석," 한국행정학보, 제41권, 제2호, pp.69-94, 2007. 

  46. 정규진, 서인석, 장희선,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자원의존이론의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보, 제22권, 제1호, pp.171-202. 2013. 

  47. K. K. Ness, S. Bhatis, K. S. Baker, L. Francisco, A. Carter, S. J. Forman, L. L. Robinson, J. Rosenthal, and J. G. Gurney, "Performance limitation and participation restrictions among childhood cancer survivors treated with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the bone marrow transplant survivor study," Arch Pediatric Adolescent Medicine, Vol.159, No.8, pp.706-713, 2005. 

  48. H. A. Williams, "Social support, social networks and coping of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Comparing White and African-American parents," Unpublished doctorate dissertation, Univ. of Florida, U.S.A. 1995. 

  49. 김재엽, TSL 가족치료와 가족복지, 소야, 2010. 

  50. 남석인, 남성노인의 은퇴 후 적응 향상을 위한 TSL 프로그램 효과 검증 : 뇌생명사회과학적 검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51. 김희진, 탈북여성의 정신건강과 부부적응을 위한 TSL 가족프로그램 개입 효과 : 의생명사회과학적 관점(biomedicosocial( BMS) perspective) 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52. 송향주, 중년여성의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 향상을 위한 TSL 프로그램 효과 : 뇌생명사회과학적 검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53. 이진석, 직장 TSL 프로그램의 다중역할 충실화와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 향상효과 : 기혼 남성근로자에 대한 의생명사회과학적 검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54. 최권호, 소아암 부모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가족 프로그램 TSL(R)-CCF 개발과 효과성 검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