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인식한 센터아동의 신체활동 증진 장애요인과 개선방안
Barriers and Improvements to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mong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Perspectives of Service Provider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2 no.1, 2018년, pp.109 - 121  

박지영 (인제대학교 간호학과.건강과학연구소,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황가희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  조정현 (인제대학교 간호학과.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barriers and improvements to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mong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Methods: A qualitative research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was employed.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8 ser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대상 초점집단면담은 2016년 9월에 시행되었으며 S 구 지역아동센터 협의회의 도움을 받아 면담 참여를 희망하는 센터장 12명과 생활복지사 6명을 참여자로 모집하였다. S구에 위치한 20개의 지역아동센터의 센터장과 생활복지사를 대상으로 협의회의 알림방을 통해 본 연구의 목적 및 방법 등에 대해 공지하였으며, 참여를 희망하는 대상자 명단을 협의회 회장에게 전달받아 연구자가 전화로 본 연구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또 한 면담 전날 문자 메시지로 면담일정에 대해 재 안내하였다.
  • 본 연구는 일부 대도시 지역아동센터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지역 및 환경에 따라 특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지역아동센터 전체로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더불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신체활동 증진과 관련된 현상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측면들이 개입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센터 종사자들의 경험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지역 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신체활동 증진에 대한 보다 총체적인 이해를 위해 개인적, 가족적, 환경적, 제도적, 정책적 측면 등 다각적인 입장이나 경험을 반영한 연구를 제언한다.
  • 즉, 센터마다 획일화된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센터의 요구를 반영하여 넓은 공간이 확보된 센 터에서의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과 협소한 장소에서의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은 차별화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또한, 신체활동 위한 공간의 확보를 위해 관 내 체육시설 이용 시 아동의 입장료 및 체육시설 이용료의 감면에 대한 바람을 표현하였다.
  • 본 면담은 저소득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기반 비만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기초연구는 저소득가정 아동비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대상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자 아동과 주 양육자,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급식 도우미를 대상으로 한 개별 연구로 기획되었으며, 각기 다른 일정에 각각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센터 내에서 신체활동을 증진함에 있어 종사자들이 인식한 장애요인을 생생하게 기술하고, 그들이 제안하는 효과적인 개선방안을 파악하기 위한 초점집단면담 형식의 질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관점과 언어를 통해 센터 이용 아동의 신체활동 증진에 대한 장애요인 및 개선방안을 파악하고자 초점집단면담 기법을 적용하여 질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신체활동 증진의 장애요인으로 “자원의 부족”과 “프로그램 구성의 한계”의 2가지 주제 아래 ‘인적자원의 부족’, ‘재정의 부족’, ‘공간의 부족’, ‘일회성 및 단기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학습 위주의 프로그램’의 5가지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담을 실시하여 아동이 센터 내에서 신체활동을 증진함에 있어 그들이 인식한 장애요인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아래와 같다.
  • 본 연구는 초점집단면담 기법을 적용하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센터 내에서 신체활동을 증진함에 있어 센터 종사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장애요인은 무엇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것들이 요구되는지 살펴봄으로써, 국내 상황과 맥락적 특성을 반영한 비만예방 및 관리 전략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센터 이용 아동의 신체활동 증진의 장애요인으로 “자원의 부족”과 “프로그램 구성의 한계”의 2가지 주제 아래 ‘인적 자원의 부족’, ‘재정의 부족’, ‘공간의 부족’, ‘일회성 및 단기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학습 위주의 프로그램’의 5가지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주제와 함께 이에 대한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표준화된 질적 연구의 보고기준 (Consolidated Criteria for Reporting Qualitative Research [COREQ]; Tong, Sainsbury, & Craig, 2007)에 따라 초점집단면담을 진행함으로써 보고의 질은 높이고자 하였다.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센터 이용 아동의 신체활동 증진의 장애요인으로 “자원의 부족”과 “프로그램 구성의 한계”의 2가지 주제 아래 ‘인적 자원의 부족’, ‘재정의 부족’, ‘공간의 부족’, ‘일회성 및 단기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학습 위주의 프로그램’의 5가지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주제와 함께 이에 대한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주제들은 현재 지역아동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실무자 입장에서 바라본 장애요인과 개선방안이기 때문에 국내 지역아동센터의 특성을 반영한 보다 현실적이고 실천 가능한 방안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종사자들은 센터의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즉, 센터마다 획일화된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센터의 요구를 반영하여 넓은 공간이 확보된 센 터에서의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과 협소한 장소에서의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은 차별화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참여자들은 짧은 기간, 일 장소에 모여서 운영되던 기존의 신체활동 프로그램들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센터 내에서 아동들이 매일 접하고 활용할 수 있는 실생활과 연계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하지만, 실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건강증진에 관한 연구는 상당히 제한적이며, 특히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센터 이용 아동의 건강증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는 센터 아동의 정신건강(Bae & Choi, 2016), 구강건강관리(Chon & Choi, 2012)에 초점을 둔 연구가 있을 뿐 신체활동 증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인식하는 아동의 신체활동 증진의 장애 요인을 조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파악하고자 한다.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센터 이용 아동의 신체활동 증진의 장애요인으로 “자원의 부족”과 “프로그램 구성의 한계”의 2가지 주제 아래 ‘인적 자원의 부족’, ‘재정의 부족’, ‘공간의 부족’, ‘일회성 및 단기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학습 위주의 프로그램’의 5가지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주제와 함께 이에 대한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아동센터의 역할은 무엇인가? 아동복지정책의 일환으로 국내 취약계층 아동의 지역 사회 보호를 목적으로 설립된 지역아동센터는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전용공간을 설립하여 학기·방학 중, 토요일, 공휴일, 야간 보호를 제공한다. 이용 아동의 다수는 기초수급과 차상위 가정 아동이며, 조손가정, 소년소녀 가정, 다문화가정 아동 등의 취약계층 아동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2017).
아동·청소년기에 있어서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이점은 무엇인가? 아동·청소년기에 있어서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심장병, 암, 뇌졸중, 고혈압, 당뇨병, 골다공증, 비만 등의 발생위험률을 줄일 뿐만 아니라(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0), 우울증, 자살행동, 사회적 불안 및 수줍음, 발달양상 및 행동, 자아존중감 등 심리사회적 기능 및 정서적 안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Eime, Young, Harvey, Charity, & Payne, 2013). 이에 여러 나라에서는 신체활동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개발하고 적용하고 있는데, 세계보건기구 (WHO)의 신체활동 권장기준에 따르면 소아·청소년은 매일 적어도 60분의 중고강도의 신체활동을 해야 하며 근육과 뼈 강화활동을 포함한 격렬한 강도의 활동을 적어도 주 3회 이상 실시해야 한다고 하였다(WHO, 2010).
보육시설의 교사가 아동의 신체활동 증진에 기여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이러한 보육시설의 교사는 아동의 신체활동 증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Trost, Ward, & Senso, 2010). 교사가 직접 신체활동에 참여하고 지도를 많이 하며,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이 방과 후 프로그램에 조직화 되어있고, 관련 기구들이 준비되어 있을 경우 아동의 신체활동에 대한 참여가 증가한다(Huberty, Beets, Beighle, & Mckenzie, 2013). 또한 교사의 학력수준이 높고 신체활동에 대한 연수를 받은 경험이 많을수록 아동의 신체활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Trost et al., 2010), 아동의 신체활동 증진에 있어 교사의 인식과 역할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지역아동센터의 종사자는 방과 후 아동을 돌보는 보호자이자 지도자로써 학습, 정서적 지지뿐 아니라 아동의 건강증진을 위한 인력주체로써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으며(Shin, Jang, & Kim, 2012), 때문에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들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해 이들이 인식하는 아동의 신체활동 참여에 대한 장애요인과 개선에 대한 요구사 항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bott, R. A., & Davies, P. S. (2004). Habitual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activity intensity: their relation to body composition in 5.0-10.5-y-old children.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58(2), 285-291. https://doi.org/10.1038/sj.ejcn.1601780 

  2. Bae, E. K., & Choi, I. S. (2016). A study on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perceptions of children's mental health foucusing on ADHD.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32(3), 193-215. 

  3. Bae, N. R. (2017).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satisfaction of the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in local child care cent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0),163-169. https://doi.org/10.5762/KAIS.2017.18.10.163 

  4. Baek, S. H. (2008).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children's obesity.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17(2), 55-64. 

  5. Byun, S. Y. (2010).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job's of community social workers for children. Journal of Youth Welfare, 12(4), 23-41. 

  6. Chon, J. E., & Choi, Y. H. (2012).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dental health care in the teacher of local children cen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2(4), 827-837.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4.827 

  7. Chung, I. J., Lee, K. R., & Lee, J. E. (2010). The effect of the workers' burnout on service outcomes in community child center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33, 23-46. 

  8. Cohen, B. E., & Reutter, L. (2007). Development of the role of public health nurses in addressing child and family poverty: a framework for ac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0(1), 96-107.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6.04154.x 

  9. de Rezende, L. F., Rodrigues, L. M., Rey-Lopez, J. P., Matsudo, V. K., & Luiz, O. C. (2014). Sedentary behavior and health outcomes: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PLoS One, 9(8). https://doi.org/10.1371/journal. pone.0105620 

  10. Drenowatz, C., Eisenmann, J. C., Pfeiffer, K. A., Welk, G., Heelan, K., Gentile, D., & Walsh, D. (2010). Influence of socio-economic status on habitual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in 8- to 11-year old children. BMC Public Health, 10, 214. https://doi.org/10.1186/1471-2458-10-214 

  11. Eime, R. M., Young, J. A., Harvey, J. T., Charity, M. J., & Payne, W. R. (2013). A systematic review of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benefits of participation in spor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forming development of a conceptual model of health through s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10, 98. https://doi.org/10.1186/1479-5868-10-98 

  12. Hsieh, H. F., & Shannon, S. E. (2005).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5(9), 1277-1288. https://doi.org/10.1177/1049732305276687 

  13. Huberty, J. L., Beets, M. W., Beighle, A., & Mckenzie, T. (2013). Association of staff behaviors and afterschool program features to physical activity: findings from movin' after school.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 Health, 10(3), 423-429. https://doi.org/10.1123/jpah.10.3.423 

  14. Kang, J. S., & Lyu, H. C. (2012).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psychological factors and spatial functions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and domestic case study-focused on the facilities for primary schoolers in northern area of Seoul.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37(0), 377-388. https://doi.org/10.21326/ksdt.2012..37.033 

  15. Kim, H. S. (2013). Health disparity and health welfare amo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9(4), 247-251. https://doi.org/10.4094/ chnr.2013.19.4.247 

  16. Kim, S. Y., & Choo, J. A. (2015). Health behavi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vulnerable children in a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6(3), 292-302. https://doi.org/10.12799/jkachn.2015.26.3.292 

  17. Lee, C. S., Nam, S. W., & Leo, J. K. (2013). Understanding of constraining factors of physical activity of girl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7(4), 57-76. 

  18. Lee, J. Y., Park, J. Y., Kim, H. S., Kim, W. S., & Hwang, G. H. (2017). Barriers to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mong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1(2), 327-340. https://doi.org/10.5932/JKPHN.2017.31.2.327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Korean community child center survey. Seoul: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20. Motl, R. W., Dishman, R. K., Saunders, R. P., Dowda, M., & Pate, R. R. (2007). Perceptions of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and self-efficacy as correlates of self-reported physical activity among adolescent girl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2(1), 6-12. https://doi.org/10.1093/jpepsy/jsl001 

  21. Nabors, L., Burbage, M., Woodson, K. D., & Swoboda, C. (2015). Implementation of an after-school obesity prevention program: helping young children toward improved health.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38(1), 22-38. https://doi.org/10.3109/01460862.2014.973081 

  22.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1). A study on th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of low-income children and adolescents (11-R19).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Retrieved November 25, 2017, from http://www.nypi.re.kr/brdrr/boardrrView.do ?menu_nix15klNsa2&brd_idBDIDX_PJk7 xvf7L096m1g7Phd3YC&srch_ctgry_idxCTIDX00002 

  23. Park, J. Y. (2018). Predictors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n ecological approach. Nursing & Health Sciences, 20(1), 60-68. https://doi.org/10.1111/nhs.12388 

  24. Shelton, R. C., Charles, T. A., Dunston, S. K., Jandorf, L., & Erwin, D. O. (2017). Advancing understanding of the sustainability of lay health advisor (LHA) programs for African-American women in community settings. Translational Behavioral Medicine, 7(3), 415-426. https://doi.org/10.1007/s13142-017-0491-3 

  25. Shin, S. J., Jang, J. Y., & Kim, C. H. (2012). The oral health behaviors for children and teachers by teacher-supervised toothbrushing in community child center.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2(6), 572-582. 

  26. Suh, H. J. (2007). Teacher's needs analysis on the community center for children. Korean Journal of After-School Child Education, 4(2), 25-51. 

  27. Tong, A., Sainsbury, P., & Craig, J. (2007). Consolidated criteria for reporting qualitative research (COREQ): A 32-item checklist for interviews and focus group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19(6), 349-357. https://doi.org/10.1093/intqhc/mzm042 

  28. Tremblay, M. S., Leblanc, A. G., Janssen, I., Kho, M. E., Hicks, A., Murumets, K., Colley, R. C., & Duggan, M. (2011). Canadian sedentary behaviour guidelines for children and youth. Applied Physiology, Nutrition, and Metabolism, 36(1), 59-71. https://doi.org/10.1139/H11-012 

  29. Trost, S. G., Ward, D. S., & Senso, M. (2010). Effects of child care policy and environment on physical activity.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42(3), 520-525. https://doi.org/10.1249/MSS.0b013e3181cea3ef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Retrieved November 30, 2017, from http://www.who.int/dietphysicalactivity/publications/9789241599979/e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