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 작용하는 메타정의의 사회역학적 기능
The Sociodynamical Function of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Procedur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0 no.1, 2017년, pp.85 - 99  

도주원 (서울방현초등학교) ,  백석윤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학 문제해결 능력의 향상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문제해결 활동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최근에 파악된 메타정의를 수학 학습 지도에 적용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메타정의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며 실제 문제해결 활동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물론, 정의적 측면에 대한 연구방법론이 갖는 일반적인 난점의 극복을 위하여 협업의 상황을 설정하였다. 즉, 2인 1조의 소집단 구성원이 협업을 통하여 성공적인 문제해결 과정에 보여주는 메타정의적 요소에 대한 사회역학적 작용 과정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파악된 메타정의의 메타적 기능 유형과 협업의 교류적 요소를 초등학생의 협업적 문제해결 활동 분석을 위한 준거로 삼았다. 소집단의 협업적 수학 문제해결 활동의 에피소드 단위별로 보여주는 메타정의의 메타적 기능 유형과 이와 결부된 교류적 요소의 구조 사례를 관찰, 분석하여 성공적인 문제해결로 유도하는 메타정의의 사회역학적 기능이 보여주는 특성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메타정의의 사회역학적 작용 원리는 성공적인 수학 문제해결의 교수 학습 방법 구현을 위한 연구에 정의적, 사회역학적 측면에서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mprov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there has been a need for research on practical application of meta-affect which is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blem-solving procedu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odynamical aspects of the meta-affect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타인지는 무엇을 설명하는가? 1997년 DeBellis & Goldin에 의해서 처음 定義1)된 메타정의(meta-affect)는 정의적 측면의 가장 복합적이면서 중요한 요소로(Goldin, 2002; Gómez-Chacón, 2000; DeBellis & Goldin, 1997, 2006; Hannula, Evans, Philippou, & Zan, 2004). 메타인지가 인지적 정신 체계가 어떻게 다루어지는지를 설명하듯이 메타정의는 마음(mind)이 정의를 어떻게 다루는지를 설명해준다(Schlöglmann, 2005). 예를 들어, 수학 문제해결 활동 중 발생한 좌절과 같은 감정(feeling)이 일부 학생들에게는 부정적인 감정이 되면서 실패를 예상하게 만드는데 이때의 메타정의적 맥락은 걱정이나 두려움과 같은 부정적인 성향을 띠게 된다.
메타정의는 무엇을 설명해주는가? 1997년 DeBellis & Goldin에 의해서 처음 定義1)된 메타정의(meta-affect)는 정의적 측면의 가장 복합적이면서 중요한 요소로(Goldin, 2002; Gómez-Chacón, 2000; DeBellis & Goldin, 1997, 2006; Hannula, Evans, Philippou, & Zan, 2004). 메타인지가 인지적 정신 체계가 어떻게 다루어지는지를 설명하듯이 메타정의는 마음(mind)이 정의를 어떻게 다루는지를 설명해준다(Schlöglmann, 2005). 예를 들어, 수학 문제해결 활동 중 발생한 좌절과 같은 감정(feeling)이 일부 학생들에게는 부정적인 감정이 되면서 실패를 예상하게 만드는데 이때의 메타정의적 맥락은 걱정이나 두려움과 같은 부정적인 성향을 띠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강완.김상미.박만구.백석윤.오영열 (2009). 초등수학교육. 서울: 경문사.(Kang, W., Kim, S., Park, M., Paik, S., & Oh, Y. (2009).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Seoul: Kyungmunsa.) 

  2. 김선희.김부미.이종희 (2014). 수학교육과 정의적 영역. 서울: 경문사.(Kim, S., Kim, B., & Lee, J. (2014). Mathematics education and Affective domain. Seoul: Kyungmunsa.) 

  3. 김선희.박정언 (2011). 수학 학습에서의 메타-정의유형 탐색. 학교수학, 13(3), 469-484.(Kim, S. & Park, J. (2011). Explorating meta-affect types in mathematical learning.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3(3), 469-484.) 

  4. 도주원.백석윤 (2016). 수학 문제해결에서 메타정의의 기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4), 563-581.(Do, J. & Paik, S. (2016). The function of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20(4), 563-581.) 

  5. 백석윤 (1994). 메타인지적 문제해결력의 지도를 위한 메타문제 유형의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 33(2), 177-188.(Paik, S. (1994). Development of meta-problem type for guidance of meta-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33(2), 177-188.) 

  6. 백석윤 (2016). 수학 문제해결 교육. 서울: 경문사.(Paik, S. (2016).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education. Seoul: Kyungmunsa.) 

  7. 이종희.김선희 (2002). 수학적 의사소통. 서울: 교우사.(Lee, J. & Kim, S. (2002). Mathematical communication. Seoul: Gyowoosa.) 

  8. Beals, L. (2006). Dyadic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on engineering tasks in a first grade classroom. Master thesis, Tufts University, Medford. 

  9. Bowen, B. A. (2008). Naturalistic inquiry and the saturation concept: a research note. Retrieved from http://qrj.sagepub.com. 

  10. Brendefur, J. & Frykholm, J. (2000). Prompt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the classroom: two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and practice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3, 125-153. 

  11. Carlson, M. P. & Bloom, I. (2005). The cyclic nature of problem solving: An emergent multidimensional problem-solving framework.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8(1), 45-75. 

  12. Chalmers, C. (2009). Group metacognition during mathemaitcal problem solving. In R. Hunter, B. Bicknell, & T. Burgess (Eds.), Crossing divides: Proceedings of the 32nd annual conferenc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1. Palmerston North. NZ: MERGA. 

  13. Conti, G., & Fellenz, R. (1991). Assessing adult learning strategies. Proceedings of the 32nd Annual Adult Education Research Conference, 2-27. 

  14. Damon, W. & Phelps, E. (1989). Critical distinctions among three approaches to peer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3, 9-19. 

  15. DeBellis, V. A., & Goldin, G. A. (1997). The affective domain i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In: E. Pekhonen (Ed.), Proceedings of the PME 21 2, 209-216. 

  16. DeBellis, V. A., & Goldin, G. A. (2006). Affect and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representational perspectiv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2), 131-147. 

  17. Fawcett, L. M. & Garton, A. F. (2005). The effct of peer collaboration on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British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75, 157-169. 

  18. Goldin, G. A. (2002). Affect, meta-affect, and mathematical belief structures. In G. C. Leder, E. Pehkonen, & G. Torner (Eds.), Beliefs: A hidden variable in mathematics education? (pp. 59-72). Dordrecht: Kluwer. 

  19. Goldin, G. A. (2009). The affective domain and students' mathematical inventiveness. In R. Leikin, A. Berman, & B. Koichu (Eds.), Creativity in mathematics and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pp. 181-194). Rotterdam: Sense Publishers. 

  20. Goldin, G. A. (2014). Perspectives on emotion in mathematical engagement,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In R. Pekrun and L. Linnenbrink-Garcia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Emotions in Education (pp. 391-414). New York : Routledge. 

  21. Gomez-Chacon, I. M. (2000). Affective influence in the knowledge of mathematic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3, 149-168. 

  22. Goos, M. (1995). Metacognitive knowledge, belief and classroom mathematics. In B. Atweh & S. Flavel (Eds.), Galtha(Proceedings of the 18th annual conferenc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pp.300-306). Darwin: MERGA. 

  23. Goos, M. & Galbraith, P. (1996). Do it this way! Metaconitive strategies in collaborativ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0(3), 229-260. 

  24. Goos, M., Galbraith, P. & Renshaw, P. (2002). Socially mediated metacognition: Creating collaborative zones of proximal development in smallgroup problem solv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9(2), 193-223. 

  25. Gottman, J. M., Katz, L. F., & Hooven, C. (1996). Parent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emotional life of families: Theoretical models and preliminary data.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3), 243-268. 

  26. Hannula, M. (2001). The metalevel of cognitionemotion interaction. In M. Ahtee, O. Bjorkqvist, E. Pehkonen & Vatanen (Eds.), Research o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From beliefs to cognition, from problem solving to understanding (pp. 55-65). Jyvaskyla: University of Jyvaskyla printing house. 

  27. Hannula, M., Evans, J., Philippou, G., & Zan, R., (2004).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 exploring theoretical frameworks. Proceedings of the 28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1, 107-136. 

  28. Lai, E. R. (2011). Collaboration: a literature review. research report. Retrieved from http://www.pearsonassessments.com/research. 

  29. Lester, F. K., Garofalo, J., & Kroll, D. L. (1989). Self-confidence, interest, beliefs, and metacognition: Key influences on problemsolving behavior. In D. B. McLeod & V. M. Adams (Eds.), Affect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new perspective (pp. 75-88). New York: Springer-Verlag. 

  30. McLeod, D. B. (1992). Research on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A reconceptualization. In D. A.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575-596). New York: Macmillan. 

  31. Malmivuori, M. L. (2001). The dynamics of affect, cognition, and social environment in the regulation of personal learning processes: The case of mathematics. Research Report 172. Helsinki: Helsinki University Press. 

  32. Malmivuori, M. L. (2006). Affect and self-regul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149-164. 

  33. Moscucci, M. (2010). Why is there not enough fuss about affect and meta-affect among mathematics teacher? Proceedings of the CERME-6, 1811-1820. 

  34.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VA: NCTM. 

  35. Schoenfeld, A. H.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New York: Academic Press. 

  36. Schoenfeld, A. H. (1989). Ideas in the air: Speculations on small group learning, environmental and cultural influences on cognition, and epistem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3, 71-88. 

  37. Schoenfeld, A. H.(1999). Looking toward the 21't century: Challenges of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Educational Researcher, 28(7), 4-14. 

  38. Schloglmann, W. (2005). Meta-affect and strategies in mathematics learning. Proceeding of CERME-4. 275-284. 

  39. Silver, E. A. (1987). Foundations of cognitive theory and research for mathematics problem-solving instruction. In A. H. Schoenfeld (Ed.), Cognitive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pp. 33-60). NJ: Hillsdale. 

  40. Yackel, E., Cobb, P., & Wood, T. (1991). Small-group Interactions as a source of learning opportunities in second-grade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2(5), 390-4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