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능적 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조절된 자세에서의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 기능과 균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readmill Gait Training in an Adjusted Position from Functional Training System on Chronic Stroke Patients' Walking and Balance Ability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2 no.1, 2017년, pp.35 - 42  

박지응 (익산원광효도요양병원 물리치료실) ,  이준호 (대전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 응급구조학과) ,  차용준 (대전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eadmill gait training in an adjusted position from the functional training system on the gait and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Thirty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w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의 뇌졸중 환자의 보행 기능 및 균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시되어온 트레드밀 보행훈련 방법은 트레드밀 속도 조절 방법 및 경사도 조절(Lee, 2014; Kim, 2012)에 의한 효과를 규명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트레드밀 보행훈련의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자세조절 상태에서의 트레드밀 보행훈련의 효과를 규명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절된 자세를 통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기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으며, 일반 트레드밀 보행훈련 방법과의 효과 정도를 비교하여 뇌졸중 환자의 기능 개선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트레드밀 보행훈련 방법을 제시하는데 이차적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조절된 자세에서의 트레드밀 보행훈련을 실시한 실험군과 일반 트레드밀 보행훈련을 한 대조군간의 보행 기능과 균형능력 향상 정도를 비교하여 뇌졸중 환자의 보행 기능과 균형능력에 더 효과적인 트레드밀 보행훈련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두 군 모두 보행 기능과 균형능력에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고,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더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 본 연구는 조절된 자세에서의 트레드밀 보행훈련과 일반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절된 자세에서의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일반 트레드밀 보행훈련 보다 보행 기능 및 균형능력에 더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의 장점은 무엇인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 TUG)는동적 균형능력을 나타내는 이동 능력과 운동성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방법으로서, 50 cm 높이의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3 m 거리의 반환점을 돌아 의자에 다시 앉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검사 방법은 높은 측정자내, 측정자간 신뢰도를 보이고 있다(Podsiadlo과 Richardson, 1991). 본 연구에서는 총 3회의 왕복 시간을 측정한 후 평균 시간을 기록 하였다.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허혈성 또는 출혈성 혈액 공급 장애로 인해 신경학적 손상이 발생되는 질환이다(Myklebust와 Gottlieb, 1997). 신체의 한쪽이 마비되는 편마비 증상이 일반적인 뇌졸중은 근력 및 감각 기능의 약화로 균형능력이 저하 된다(Goldie 등, 1996; Song과 Park, 2016).
균형 능력의 저하로 야기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신체의 한쪽이 마비되는 편마비 증상이 일반적인 뇌졸중은 근력 및 감각 기능의 약화로 균형능력이 저하 된다(Goldie 등, 1996; Song과 Park, 2016). 균형 능력의 저하는 뇌졸중 환자의 신체의 좌우 대칭성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정위반응과 평형반응에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자세조절 능력을 감소시키게 된다(Ikai 등, 2003; Jang과 Kim,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a L, Dean CM, Hall JM, et al. A treadmill and over ground walking program improves walking in persons residing in the community after stroke: a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0):1486-91. 

  2. Baer HR, Wolf SL. Modified emory functional ambulation profile: An outcome measure for the rehabilitation of poststroke gait dysfunction. Stroke. 2001;32(2): 973-9. 

  3.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et al.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0;81(4):409-17. 

  4. Dietz V. Human neuronal control of automatic functional movement: Interaction between central programs and afferent input. Physiological Reviews. 1992;72(1): 33-69. 

  5. Geiger RA, Allen JB, O'Keefe J, et al. Balance and mobility following stroke: effect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with and without biofeedback/force plate training. Phys Ther. 2001;81(4):995-1005. 

  6. Goldie PA, Matyas TA, Evans OM, et al. Maximum voluntary weight bearing by the affected and unaffected legs in standing following stroke. Clin Biomech. 1996; 53(11):333-42. 

  7. Hesse S, Helm B, Krajnik J, et al. Treadmill training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influence of body weight release on the gait of hemiparetic patients, J Neurol Rehabil. 1997;11(1):15-20. 

  8. Ikai T, Kamikubo T, Takehara I, et al. Dynamic postural control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AM J Phys Med Rehabil. 2003;82(6):463-9. 

  9. Jang JY, Kim SY. Effects of trunk control exercise performed on an unstable surface on dynamic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6;11(1): 1-9. 

  10. Johansson R, Maqnusson M. Human postural dynamics. Crit Rev Biomed Eng. 1991;18(6):413-37. 

  11. Kim EJ, Jung JM, Kim TH, et al. The effects of plantar foot pressure and muscular activity on treadmill gait training in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09;4(3):165-74. 

  12. Kim SG. Effect of treadmill gradient training on lower limb muscle activity in chronic stroke pati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1):220-6. 

  13. Kohen-Raz R. Application of tetra-ataxiametric posturography in clinical and developmental diagnosi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1991;73(2):635-56. 

  14. Laufer Y, Dickstein R, Resnik S, et al. Weight-bearing shifts of hemiparetic and healthy adults upon stepping on stairs of various heights. Clin Rehabil. 2000;14(2): 125-9. 

  15. Lee HS. The effect of gait pattern in hemiplegia patients through progressive speed increase treadmill trai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2014;2(1):23-34. 

  16. Massion J. Postural control system.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1994;4(6):977-87. 

  17. Mossberg KA. Reliability of a timed walk test in persons with acquired brain injury. Am J Phys Med Rehabil. 2003;82(5):385-90. 

  18. Myklebust BM, Gottlieb GL. Spinal reflex organization in early developments: Electro physiological measures and proposed motor path ways. Ment Retard Dev Disa bil Res Rev. 1997;3(2):175-83. 

  19. Nyberg L, Gustafson Y. Patient falls in stroke rehabilitation. A challenge to rehabilitation strategies. Stroke. 1995;26(5):838-942. 

  20. Patterson KK, Parafianowicz I, Danells CJ, et al. Gait asymmetry in community-ambulating stroke survivors. Arch Phys Med Rehabil. 2008;89(2):304-10. 

  21.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22. Runge M, Rehfeld G, Resnicek E, et al. Balance Training and Exercise in Geriatric Patients. J Musculoskelet Neuronal Interact. 2000;1:54-8. 

  23. Semenova K. The basis for application of the method of dynamic proprioceptive correction in the restorative therapy of patients with infantile cerebral paralysis in the residual stage. Korsakov's J Neurol Psychiatr. 1996; 96(3):47-50. 

  24. Shumway-Cook A, Woollacott M.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Marylan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25. Shumway-Cook A, Brauer S, Woollacott M, et al. Predicting the probability for fall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using the Timed Up & Go Test. Phys Ther. 2000;80(9):896-903. 

  26. Song GB, Park EC. The effects of balance training on balance pad and sand 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6;11(1):45-52. 

  27. Van Loo MA, Moseley AM, Bosman JM, et al. Test-re-test reliability of walking speed, step length and step width measurement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 pilot study. Brain Inj. 2004;18(10):1041-8. 

  28. Visintin M, Barbeau H, Korner-Bitensky N, et al. A new approach to retrain gait in stroke patients through body weight support and treadmill stimulation. Stroke. 1998;29(6):1122-8. 

  29. Winstein CJ, Gardner ER, McNeal DR, et al. Standing balance training: effect on balance and locomotion in hemiparetic adults. Arch Phys Med Rehabil. 1989;70(10):755-62. 

  30. Winter DA. Biomechanics of normal and pathological gait: implication for understanding human locomotor control. J Mot Behav. 1989;21:337-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