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세조절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stural Control Training on Balance and Walking 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2 no.2, 2017년, pp.59 - 66  

방대혁 (원광대학교 익산한방병원 물리치료실) ,  조혁신 (익산미소요양재활병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ostural control training on balance and walking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Eighteen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allocated equally and randomly to an experimental group (n=9) or a control group (n=9). All partici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임상현장에서 치료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중재 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위치에서 반복적 자세 변화를 이용한 자세조절훈련을 통해 균형 및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다양한 위치에서 자세 변화를 이용한 자세조절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의 향상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자세조절훈련이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자세조절훈련을 실시한 실험군과 트레드밀 위에서의 보행 훈련을 실시한 대조군 모두 균형과 보행능력에서 향상을 보였고, 자세조절훈련은 균형과 보행 능력의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환자가 다양한 위치에서 자세 변화를 직접 경험하고, 각 자세에 필요한 요소들을 반복적으로 연습한 연구 결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누운 자세,앉은 자세, 선 자세의 다양한 위치에서 반복적인 자세 변화를 통한 자세조절훈련을 적용하여 균형과 보행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가 가지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 혈관의 손상으로 신경학적 결손을 보이며, 이와 관련된 신체의 운동, 감각, 지각, 언어 기능 등의 장애를 유발한다(Bang과 Cho, 2016). 뇌졸중 환자는 대부분 근력 약화, 자세 조절 능력과 협응 능력 등의 감소로 독립적인 생활 능력을 감소와 이차적인 기능의 저하를 유발한다(Verheyden 등, 2006).
뇌졸중 환자의 일반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신체의 좌우 비대칭, 자세 동요의 증가, 체중 지지 능력의 감소 등으로 균형 능력의 제한을 보인다(Kong 등, 2015). 균형 능력은 앉은 자세, 앉은 자세에서 선 자세, 보행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적인 과제 수행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Kim 등, 2015).
최근에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비대칭적인 자세의 향상을 위한 접근 방법을 위해 연구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현재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비대칭적인 자세의 향상을 위한 접근 방법으로 등속성 체간 훈련,근력 강화 운동, 체간 안정화 훈련, 시각 되먹임 훈련 등이 적용되고 있다(Pollock 등, 2007). 최근에는 환자의 능동적 참여와 다양한 자세를 반복적으로 연습함으로써 동기를 부여하고, 과제 훈련을 통한 무의식적인 자세조절능력의 초점에 맞춘 반복적 자세변화를 통한 자세조절훈련방법이 연구되고 있다(Gandolfi 등, 2016). 운동 학습에 기초한 이 방법은 환자에게 다양한 위치에서 반복적으로 자세변화를 통한 자세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단순한 동작의 반복을 통한 자세조절능력의 습득이 아닌 다양한 자세변화를 통한 기능의 향상에 초점을 둔다(Pollock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dersson P, Franzen E. Effects of weight-shift training on walking ability, ambulation, and weight distribution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 pilot study. Top Stroke Rehabil. 2015;22(6):437-43. 

  2. Bang DH, Cho HS. Effect of body awareness training on balance and walking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Phys Ther Sci. 2016;28(1):198-201. 

  3. Bang DH, Shin WS. Effects of robot-assisted gait training on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NeuroRehabilitation. 2016;38(4):343-9. 

  4. Bang DH, Shin WS, Kim SY, et al. The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al training on walking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13;27(12):1118-25. 

  5. Bayouk JF, Boucher J, PLeroux A. Balance training following stroke: effects of task-oriented exercises with and without altered sensory input. Int J Rehabil Res. 2006;29(1):51-9. 

  6. Cheng PT, Wang CM, Chung CY, et al. Effects of visual feedback rhythmic weight-shift training on hemiplegic stroke patients. Clin Rehabil. 2004;18(7):747-53. 

  7. Dickstein R, Abulaffio N. Postural sway of the affected and nonaffected pelvis and leg in stance of hemiparet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0;81(3):364-7. 

  8. Eng JJ, Chu KS.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t-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2;83(8):1138-44. 

  9. Gandolfi M, Geroin C, Ferrari F, et al. Rehabilitation procedures in the management of postural orientation deficits in patients with poststroke pusher behavior: a pilot study. Minerva Med. 2016;107(6):353-62. 

  10. Hwang-Bo G, Kim BJ, Bae SS. Study on the Gait Characteristics in Knee Osteoarthrities Patients with GAITRite System Analysis. J Kor Phys Ther. 2004;16(1):113-24. 

  11. Kawanabe K, Kawashima A, Sashimoto I, et al. Effect of whole-body vibration exercise and muscle strengthening, balance, and walking exercises on walking ability in the elderly. Keio J Med. 2007;56(1):28-33. 

  12. Kim BS, Bang DH, Shin WS. Effects of Pressure Sense Perception Training on Unstable Surface on Somatosensory, Balance and Gait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J Korean Soc Phys Med. 2015;10(3):237-45. 

  13. Kong HN, Bang DH, Shin WS. Effect of Balance Training on Different Support Surface on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J Korean Soc Phys Med. 2015;10(3):275-83. 

  14. Lee CH, Kim YM, Lee BH. Augmented reality-based postural control training improves gait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Hong Kong physiother. 2014;32:51-7. 

  15. Medley A, Thompson M, French J. Predicting the probability of falls in community dwelling persons with brain injury: a pilot study. Brain Inj. 2006;20(13-14):1403-8. 

  16. Park YH, Lee CH, Lee BH. Clinical usefulness of the virtual reality-based postural control training on the gait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J Exerc Rehabil. 2013;9(5):489-94. 

  17. Pollock A, Baer G, Pomeroy V, et al. Physiotherapy treatment approaches for the recovery of postural control and lower limb function following strok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7;24(1):CD001920. 

  18. Rojhani-Shirazi Z, Amirian S, Meftahi N. Effects of Ankle Kinesio Taping on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tients. J Stroke Cerebrovasc Dis. 2015;24(11):2565-71. 

  19. Sackley CM. Falls, sway, and symmetry of weight-bearing after stroke. Int Disabil Stud. 1991;13(1):1-4. 

  20.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et al.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nd the relationship with balance, gait and functional ability. Clin Rehabil. 2006;20(5):451-8. 

  21. Wang CY, Hsieh CL, Olson SL, et 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Berg Balance Scale in a community-dwelling elderly resident population in Taiwan. J Formos Med Assoc. 2006;105(12):992-1000. 

  22. Yang YR, Chen YC, Lee CS, et al. Dual-task-related gait changes in individuals with stroke. Gait Posture. 2007;25(2):185-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