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아동비만 중재연구의 동향 분석
Trends in Intervention Study for Childhood Obesity in Korea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3 no.1, 2017년, pp.81 - 90  

박지영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마현희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이유나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오희 (경북전문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ends in intervention studies on childhood obesity in Korea. Methods: From 1996, when the first research paper on childhood obesity intervention was published, to 2015, 192 published paper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The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아동비만 중재연구의 대상자 특성을 파악한다.
  • 또한, 전체논문 중 개념적 기틀을 적용한 연구는 극소수였으며, 순수실험 연구도 소수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아동비만의 관리를 위한 지속가능하고 효과적인 중재의 개발을 위해 대상자와 중재·평가방법의 다양성 모색 및 연구방법의 질적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더불어 비만아동 뿐 아니라 정상아동 및 비만 고위험군 아동을 대상으로 비만을 조기에 발견하고 비만으로의 이환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의 개발도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국내 아동비만 중재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개발될 아동비만 관련 중재연구에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국내에서 아동비만 중재연구가 처음으로 소개된 1996년부터의 연구동향을 분석해 보았을 때, 다수의 연구가 초등학생 비만아동을 대상으로 운동요법을 제공하고 중재의 생리적 효과를 측정한 중재연구로 획일화되어 있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구동향의 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아동비만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국내 중재연구를 분석하여 아동비만 중재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과 한국간호과학회지 및 8개 분과 학회지, 모자보건학회지와 부모자녀건강학회지의 창간호부터 2015년까지 게재된 논문들을 분석하여 국내 아동비만 중재연구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개발될 아동비만 관련 중재연구에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아동비만 중재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보다 효과적인 비만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비만은 어떠한 문제를 야기하는가? 아동비만은 고혈압, 당뇨, 대사증후군 등의 만성질환과 자존감 저하, 우울증 등의 다양한 심리·사회적 건강문제를 야기하고[4], 특히 아동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또한, 성인기 비만으로 이어져 각종 성인병 및 이와 관련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6].
국내에서 아동비만의 예방 및 관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반면, 현재까지 국내에서 아동비만의 예방 및 관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로는 비만 아동의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효과[9], 학교체육이 학생들의 비만에 미치는 효과[11], 국내보건의료기관 기반 청소년 비만관리 프로그램 현황[12]에 대한 연구가 전부이다. Sung 등[9]의 연구는 2000-2010년 사이의 연구 61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연구결과 운동요법, 영양교육, 생활습관교육, 행동수정, 놀이치료, 그림치료의 중재효과를 보고하였다.
아동비만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 획기적이고 지속가능한 전략의 개발이 시급한 이유는 무엇인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조사에 따르면, 식생활과 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해 1980년 이후 전 세계 비만인구가 2배 이상 급증하였으며[1], 특히 오는 2025년이 되면 전 세계 5-17세 아동 중 약 2억 6천만 명이 과체중이 되고 이 중 9천만 명 이상이 비만이 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까지 제기되고 있다[2]. 국내 아동 비만율 또한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으며[3], 아동비만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 획기적이고 지속가능한 전략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and overweight [Internet]. Geneva: WHO; 2016 [cited 2016 December 2].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1/en/. 

  2. Younhapnews. By 2025, 270 million children aged 5-17 are overweight and 90 million obese [Internet]. Seoul: Younhapnews; 2016 [cited 2016 December 2]. Available from: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4&oid001&aid0008822647&modeLSD.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December. Report No.2005-3662. 

  4. Reilly JJ, Kelly J. Long-term impac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on morbidity and premature mortality in adulthood: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11;35(7):891-898. http://dx.doi.org/10.1038/ijo.2010.222 

  5. Kim HS, Park J, Ma YM, Ham OK.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South Korea. Journal of School Nursing. 2013;29(5):361-369. http://dx.doi.org/10.1177/1059840513475363 

  6. Kuhle S, Kirk SF, Ohinmaa A, Veugelers PJ. Comparison of ICD codebased diagnosis of obesity with measured obesity in children and the implications for health care cost estimates. BMC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2011;11:173. http://dx.doi.org/10.1186/1471-2288-11-173 

  7. Waters E, Silva-Sanigorski AD, Burford BJ, Brown T, Campbell, KJ, Gao Y, et al.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obesity in children. Sao Paulo Medical Journal. 2014;132(2):128-129. http://dx.doi.org/10.1590/1516-3180.20141322T2 

  8. Luttikhui HO, Baur L, Jansen H, Shrewsbury VA, O'Malley C, Stolk RP, et al. Interventions for treating obesity in childre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9;3:1-57.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1872.pub2 

  9. Sung KS, Yoon YM, Kim EJ, Meta-analysis for domestic obesity-children obesity management program effectivenes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4):262-269. http://dx.doi.org/10.4094/chnr.2013.19.4.262 

  10. Williams AJ, Henley WE, Williams CA, Hurst AJ, Logan S, Wyatt KM.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overweight and obesity and primary school diet and physical activity polici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2013;10(1):101-122. http://dx.doi.org/10.1186/1479-5868-10-101 

  11. Cho OS, Cho SM. An analysis of research on the impact of schoolbased physical education for preventing students' obesity: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Korean Journal of Obesity. 2013;22(3):167-176. 

  12. Go DS, Choi MJ, Hong SW, Lee SH, Kim YE, Noh JW. Evalu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 based management program in Korea - Using chronic care model.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16;21(1):14-31. 

  13. Kang JH, Kang JG, Kang JH, Kim KG, Kim DJ, Kim KS, Kim KW, et al. Obesity treatment guideline 2012 [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2 [cited 2016 December 2]. Available from: http://www.kosso.or.kr/general/board/list.html?num72&start0&sortcount%20asc&codegeneral_03&key&keyword. 

  14. Yu SM Diagnosis and evaluation of childhood obesity, therapeutic approach. Poster presented at: 2006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Spring Conference Symposium and Seminar; 2006 May 21; Seoul Asan Hospital. Seoul. 

  15. Mehtala1 MAK, Saakslahti AK, Inkinen ME, Poskiparta MEH. A socio-ecological approach to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in childcare: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2014;11(1):1-12. http://dx.doi.org/10.1186/1479-5868-11-22 

  16. Kim HL. A strategy for child and adolescent health promotion: nutrition, overweight and obesity [Interne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8 [cited 2016 December 2]. Available from: https://www.kihasa.re.kr/web/publication/periodical/view.do?menuId48&bid19&aid146&ano3 

  17. Hong SW, Lim MT. The cause of obesity and difficulties caused by obesity in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009;15(2):61-74. 

  18. Byeon JI, Cho SO, Choi JC, Park HJ, Kim IS. Factual survey and outcome analysis of after-school operation in 2009. Basic Research. Seoul: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009 December. Reprot NO.: RR2009-13. 

  19. Lee SM, Howell W, Allison B. The role of schools in preventing childhood obesity.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2006;3:439. http://dx.doi.org/10.1123/jpah.3.4.439 

  20. Kong KL. Early prevention of childhood obesity: impact of maternal physical activity on pregnancy and child outcomes. [Dissertation]. United States, Ames Iowa: Iowa State University; 2013. P. 1-203. 

  21. Ahn YD, Joo SJ. Effects of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changes i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blood lipid in obese high school girls. The Sports Science Institute of Chosun University. 2012;23(1):1-220. 

  22. Yoo SM, Yoon SJ, Park HA, Song YJ. The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program model for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and control. Health promotion fund research. Seoul: Dankook University; 2002 February. Report No. 01-32. 

  23. Samuels SE, Craypo L, Boyle M, Crawford PB, Yancey A, Flores G. The California endowment's healthy eating, active communities program: A midpoint review.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0;100(11):2114-2123. http://dx.doi.org/10.2105/AJPH.2010.192781 

  24. McLeroy KR, Bibeau, D, Steckler A, Glanz K.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health promotion programs. Health Education Quarterly. 1988;15(4):351-377. 

  25. Kim SW, Cho YG, Kang JH, Lee SH, Lee JE, Park HA,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lifestyle habits and children's overweight. Journal of Korean Academic Family Medicine. 2008;29(6):395-404. 

  26. Power TG, Bindler RC, Goetz S, Daratha KB. Obesity prevention in early adolescence: student, parent, and teacher views. Journal of School Health. 2010;8(1):13-19. 

  27. Choe SG. Prevention of adolescent obesity.walking culture activation "Walking of Dulle-gil rai" [Internet]. Seoul: Dailyenvironment; 2016 [cited 2017 January 10]. Available from: http://www.dailyt.co.kr/news/articleView.html?idxno8264 

  28. Younhapnews. "Prevent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Voice from each country for introduction of sugar tax spreading [Internet]. Seoul: Younhapnews; 2016 [cited 2017 January 10]. Available from: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1/23/0200000000AKR20161123142400093.HTML 

  29. Li C, Yang W, Renee FW, Jodi BS, Kim MT, Wang Y. Effect of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programs on blood press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irculation. 2014;129(18):1832-1839.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13.005666 

  30. Song TM, Jang SH. U-healthcare: Issue and research trend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1;1:70-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