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농산물가공식품 소비의향 수준별 지불의향금액 분석
An Analysis of the Amount of Willingness to Pay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by the Level of Consumption Intention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6 no.4, 2018년, pp.543 - 558  

정학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림산업정책연구본부) ,  한재환 (순천대학교 농업경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mount of willingness to pay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by the level of consumption intention.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the study a consumer survey was conducted for quantitative analysis regarding consumption patter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은 친환경가공식품 소비의향 정도별 지불의사금액을 분석함으로써 소비의향별로 보다 정교한 소비촉진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친환경가공식품 소비의향과 지불의향 가격 간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어 대표적으로 쌀 지불의향가격 자료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이를 전체 품목으로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 기존 연구는 소비의향 요인을 파악하거나 지불의사금액을 도출하였지만 소비의향 정도별 지불의사금액을 분석하지는 못하여 보다 정교한 소비촉진 방안을 도출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친환경가공식품 소비의향과 지불액간 관계를 헤크만 타입 2단계 기법(Heckman-type two-stage method)2)인 순위프로빗 선택 모형(ordered-probit selection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친환경가공식품 소비촉진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년 기준 국내 유기농산물 품목별 시장규모 중 쌀이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인가? 2015년 기준 국내 유기농산물 품목별 시장규모를 살펴보면 전체 3,279억 원 가운데 쌀이 차지하는 비중은 50.0%이다. 국내산 품목류별 가공식품 취급액 관련 자료는 부재하지만 쌀의 시장규모가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쌀로 만든 과자, 면류, 이유식 등이 적지 않은 비중으로 유통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Table 1).
기존의 친환경가공식품 및 친환경농산물의 소비에 대한 연구의 한계는? 지금까지의 친환경가공식품 및 친환경농산물의 소비확대 요인과 지불의사금액 연구는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되었다. 기존 연구는 소비의향 요인을 파악하거나 지불의사금액을 도출하였지만 소비의향 정도별 지불의사금액을 분석하지는 못하여 보다 정교한 소비촉진 방안을 도출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친환경가공식품 소비의향과 지불액간 관계를 헤크만 타입 2단계 기법(Heckman-type two-stage method)2)인 순위프로빗 선택 모형(ordered-probit selection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친환경가공식품 소비촉진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정부의 제4차 친환경농업 육성 5개년 계획으로 친환경농산물의 수요와 생산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정부의 정책이 실행될 경우 친환경농산물 생산량은 지금보다 크게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며, 친환경농산물 생산농가는 판매가격 하락의 위험을 가질 수 있다. 즉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신뢰성 저하로 수요가 줄어든 상황에서 생산량의 증가는 가격하락을 초래하여 생산자가 지속적으로 친환경농산물을 생산하는데 제약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부가 정책 목표를 안정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판매가격 하락의 위험에 대응하여 친환경농산물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긴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eckman, J. 1979. Sample Selection Bias as a Specification Error. Econometrica. 47: 153-162. 

  2. Heo, S. W. and H. Kim. 2004. Green Marketing Strategies and Willingness to Pay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Metropolitan Area.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12(3): 317-331. 

  3. Jeong, H. K. and J. K. Jang. 2011. Analysis of Consumption Situations towards Homemade Organically Processed Food. Research Report P139.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4. Jeong, H. K., H. J. Lee and C. G. Kim. 2016. Production Status and Market Prospect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Home and Abroad in 2016. KREI Agricultural policy Focus 131. 

  5. Kim, C. G., H. K. Jeong, and D. H. Moon. 2012. Production and Consumption Status and Market Prospects for Environment-Friendly Agri-foods. Research Report P157.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6. Kim, C. G., T. Y. Kim, and S. C. Seo. 2005.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s and Purchasing Behaviors Towards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Research Report R500.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7. Kwon, O. S., W. B. Kim, K. S. Kim, and I. S. Son. 2009. Merging Brands and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for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32(1): 89-109. 

  8. Kim, S. H., C. S. Sohn, and K. Y. Lee. 2015. Analysis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Consumers about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Focusing on Grape and Tangerin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56(2): 109-131. 

  9.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Inside Data. 2015. 

  10.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Inside Data. 2018. 

  11. Oh, H. S., H. C. Lee, G. S. Na, S. C. Oh, S. Y. Ryu, T. Y. Kim, J. K. Kim, G. C. Kwon, and G. I. Yang. 2000. Marketing Development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Sungkyunkwan University. 

  12. Yoon, S. W. and Y. B. Park. 2000. An Analysis of Korean Consumer on Organic Farming Products.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8(3): 35-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