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노인의 죽음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를 중심으로
Factors Related to Death Preparednes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Using Korean National Survey on Elderly 2014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4 no.3, 2017년, pp.264 - 274  

김향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윤주영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death preparedness and factors related to the death preparednes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Methods: A total of 6,879 older adults' data, selected from the Korean National Survey on the Elderly 2014 data, were analyzed. The cri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인의 죽음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사회활동 참여 수준을 좀 더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노인의 대부분은 평균 한 개 이상의 사회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활동이 한 가지 늘어날수록 죽음에 대한 준비가 1.
  • 따라서 이와 같은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전국 16개 시·도 층화 표본으로 65세 이상 노인에게 죽음에 대비하여 준비를 하였는지를 묻는 문항을 처음으로 추가하여 조사가 실시된 2014년도 노인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죽음준비와 관련한 실제 현황과 죽음준비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죽음준비에 관한 문항이 처음으로 추가된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879명의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인지기능 정상 노인들의 죽음준비에 대한 실태와 죽음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죽음준비 실태를 파악하고 죽음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죽음준비 현황과 죽음준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고,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살고 있는 노인의 죽음준비의 현황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관련 요인, 사회활동 요인이 죽음 준비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실시한 이차자료를 활용한 조사연구이다. 선행연구 대부분은 표본이 대표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운 점, 그리고 국내에서 개발된 죽음준비 측정도구는 죽음에 대한 실제 준비 보다는 죽음 준비에 대한 생각을 물었다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국 만 65세 이상 노인을 모집단으로 하여 층화2단계 집락추출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한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인지기능이 정상인 노인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죽음 준비를 하였는 지와 죽음준비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 따라서 이와 같은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전국 16개 시·도 층화 표본으로 65세 이상 노인에게 죽음에 대비하여 준비를 하였는지를 묻는 문항을 처음으로 추가하여 조사가 실시된 2014년도 노인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죽음준비와 관련한 실제 현황과 죽음준비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죽음에 대한 준비가 취약한 지역사회 노인들의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탐색하여 더 효과적인 정책 및 중재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표적 노인인구집단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년이란 어떤 시기인가? 더욱이 Statistics Korea(2017) 출생․사망통계에 따르면 2016년 연령별 사망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아져 90세 이상에서 가장 높은 수준(192.3명)을 보이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노년은 어떤 세대보다도 삶과 죽음, 그리고 죽어감이 공존하는 시기이다(Chan & Yau, 2009). 과거 마을공동체에서 삶의 한 과정으로서 죽음을 함께 준비하고 경험하던 일들은 사라지고 의료기관 내부에서 죽음이 일어나는 일명 갇힌 죽음이 늘어나면서 개인이 자신에게 맞는 죽음에 대한 준비를 하기가 더욱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갇힌 죽음은 노인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과거 마을공동체에서 삶의 한 과정으로서 죽음을 함께 준비하고 경험하던 일들은 사라지고 의료기관 내부에서 죽음이 일어나는 일명 갇힌 죽음이 늘어나면서 개인이 자신에게 맞는 죽음에 대한 준비를 하기가 더욱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현실은 노인들로 하여금 숨겨진 죽음에 대한 공포와 불안을 경험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가올 죽음을 준비하여 고통 없이 자율성과 위엄, 그리고 소중한 사람들과의 연계속에서 죽음을 받아들이고 삶을 완성할 수 있다면 에릭슨에 따른 노인의 발달과제인 자아통합을 달성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Moon & Nam, 2008).
Hebert와 Prigerson은 사별가족의 죽음에 대한 준비를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가? 후자에서 의례적 준비는 전자에서 물리적 준비와 사후준비를 포괄하고 있다. 국외의 연구로는 Hebert와 Prigerson 등(2006)이 사별가족의 죽음에 대한 준비를 의료적, 심리사회적, 영적, 실제적 차원으로 구분하였으나, 후속연구에서는 인지적(정보적), 정서적, 행위적 준비로 구분하였다(Hebert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an, C. K., & Yau, M. K. (2009). Death preparation among the ethnic Chinese well-elderly in Singapore: An exploratory study. Omega (Westport), 60(3), 225-239. 

  2. Choi, S. Y. (2006). The effect the degree of death readiness has on death anxiety in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Gangwon. 

  3. Chung, K. H., Oh, Y. H., Kang, E. N., Kim, J. H., Seon, O. D., Oh, M. A., Lee, Y. K., Hwang, N. H., Kim, K. R., Oh, S. W., Park, B. M., Shin, H. K., & Lee, K. R. (2014). 2014 Elderly survey (Report No. 2014-61).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4. Chung, S., Kim. S., & Koo, M.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related factors and death preparation: A comparison of pre-elderly and baby-boomer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7(1), 131-153. 

  5. Chung, Y. J. (2010). Influencing factors to attitude, preparation about death and hospice perception in elderly home resi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eoul. 

  6. Dormann, C. F., Elith, J., Bacher, S., Buchmann, C., Carl, G., Carre, G., Garcia Marquez, J. R., Gruber, B., Lafourcade, B., Leitao, P. J., Munkemuller, T., McClean, C., Osborne, P. E., Reineking, B., Schroder, B., Skidmore, A. K., Zurell, D., & Lautenbach, S. (2013). Collinearity: A review of methods to deal with it and a simulation study evaluating their performance. Ecography, 36(1), 27-46. 

  7. Hebert, R. S., Dang, Q., & Schulz, R. (2006). Preparedness for the death of a loved one and mental health in bereaved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Findings from the REACH study.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9(3), 683-693. 

  8. Hebert, R. S., Prigerson, C., Schulz, R., & Aronld, R. (2006). Preparing caregivers for the death of a loved one: A theoretical framework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9(5), 1164-1171. 

  9. Hebert, R. S., Schulz, R., Copeland, V. C., & Arnold, R. M. (2009). Preparing family caregivers for death and bereavement. Insights from caregivers of terminally ill patient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37(1), 3-12. 

  10. Ju, K. H. (2011). Activity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Korea: Focusing on gender and age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2(2), 5-39. 

  11. Kim, H. S., & Kim, J. M. (2013). The relation among religiosity, psychological stability and death acceptance of the elderly people. Journal of Family and Counseling, 3(1), 79-92. 

  12. Kim, K. J. (2012). The improvement on the current law about mutual aid service and information 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17(3), 185-191. 

  13. Kim, M., Ha, C., & Kim, H. (2011).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the view of the afterlife and readiness for death. Korea Journal of Family Welfare, 16(1), 111-136. 

  14. Kim, S., & Han, J. (2012). Adults' death perception, death preparation, and death anxiety.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5(1), 23-48. 

  15. Kim, S. H., & Song, Y. M. (2013).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for the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ath anxiet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3(1), 190-219. 

  16. Kwack, M. (2011). A study on modern shroud culture in accordance with changes of Korean mourning and funeral custom. Journal of the Asian Ethno-Forms, 9, 87-114. 

  17. Lee, D., Jaen M., & Jeon, H. (2016). A study on how consumers think about the industry-type funeral service.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47(1), 67-89. 

  18. Lee, K., & Lee, Y. (2009). A study on attitudes toward death and demand for death preparatory education of the aged.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13(2), 427-444. 

  19. Levasseur, M., Richard, L., Gauvin, L., & Raymond, E. (2010). Inventory and analysis of definitions of social participation found in the aging literature: Proposed taxonomy of social activities. Social Science & Medicine, 71(12), 2141-2149. 

  20. Moon, N., & Nam, K.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ath preparation of the aged and successful aging-focusing on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as media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4), 1227-1248. 

  21. Park, J. E. (2009).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the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of the elderly.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8(0), 79-109. 

  22. Pinquart, M., & Sorensen, S. (2002). Preparation for death and preparation for care in older community-dwelling adults. OMEGA-Journal of Death and Dying, 45(1), 69-88. 

  23. Schulz, R., Boerner, K., Klinger, J., & Rosen, J. (2015). Preparedness for death and adjustment to bereavement among caregivers of recently placed nu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18(2), 127-133. 

  24. Sim, Y. (2013). A study on the elderly life satisfaction and on how their preparation for death influences on their death anx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woon University, Daegu. 

  25. Statistics Korea. (2016-a). Future population estimate: 2015-2065. Retrieved July 19, 2017, from http://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57935 

  26. Statistics Korea. (2016-b). 2016 Statistics for over 45 year adults. Retrieved July 19, 2017,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1/index.board?bmoderead&aSeq356426 

  27. Statistics Korea. (2017). 2016 Birth and death statistics (tentative). Retrieved July 19, 2017,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592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